♣ 六友堂記 1194

화개면 운수리 내원수행처 1박 2일(200711~12)

화개면 운수리 내원수행처 1박 2일(200711~12) ▣ 일 시 : 2020년 07월 11일(토)~12일(일) ▣ 코 스 : 쌍계사-내원수행처 ▣ 인 원 : 홀로 ▣ 날 씨 : 흐리고 비 아래로 내려와 청학동 하류에 도착하니 수석(水石)이 더욱 기이하여 정신이 상쾌해짐을 갑절이나 깨달았다. 계곡 주위를 배회하다가 [갑자기 시 한 수가 바위 사이]에 있음을 보았다. 장원암(狀元巖)-오핵 [吳翮], (1615~1653) 청학봉 앞 길을 따라 내려가니 / 靑鶴峯前路 맑은 연못에는 비취빛 삼나무 그림자 / 澄潭影翠杉 羽仙이 경치 좋아 찾은 곳이라고 / 羽仙探勝處 장원암(狀元巖)이라고 부른다네 / 仍號狀元巖 이 시는 계부(季父 : 오핵)께서 직접 쓰신 시이다. 그리고 우선(羽仙 : 오숙)은 돌아가신 아버지의 호..

지리동부 쑥밭재와 청이당의 어원에 대하여

지리동부 쑥밭재와 청이당의 어원에 대하여 ​ 1. 문헌에 나타난 쑥밭재의 명칭 쑥밭재의 명칭은 1871년 배찬의 유듀류록에는 애현(艾峴), 1877년 박치복 남유기행과 허유의 두류록, 1937년 김학수의 유방장산기행에는 애전령(艾田嶺), 1887년 정재규의 두류록과 1956년 함양군지에는 봉전령(蓬田嶺)으로 1933년 석전(石顚) 박한영의 석전사문에는 봉전치(蓬田峙)로 나타난다. 애현, 애전령, 봉전령, 봉전치는 쑥밭재를 한역한 명칭이나 쑥과는 연관이 없는 듯하다. 쑥은 1,000m가 넘는 고지대에서 자라지 않는다. 2. 쑥밭재, 일명 애전령(艾田嶺), 초령(草嶺) 경남 산청군 삼장면 유평리 쑥밭의 '쑥'은 원시어소 [슬/sur]의 변이음이고 '밭'은 [불/bru]의 변이음이다. 기슭을 가리키는 [슬/s..

지리산 역사문화조사단&서복연구회 2차 합동 조사(200704~05)

지리산 역사문화조사단&서복연구회 2차 합동 조사(200704~05) ▣ 일 시 : 2020년 07월 04일(토)~05일(일) ▣ 장 소 : 김종직 선생의 유두류록에 나오는 九隴(아홉 모랭이) 길의 소림선방과 방장문 ▣ 코 스 : 적조암-지장사터-환희대-선열암-독녀암-신열암-의논대-고열암-일강-소림선방-동부-방장문-구롱-청이당-광점동 ▣ 인 원 : 10명(지리산국립공원 역사문화조사단 3명, 함양서복연구회 7명) ▣ 날 씨 : 종일 안개비 지난 3월 14일~15일 김종직 선생의 아홉 모랭이길 발견으로 점필재의 구롱(九隴) 길이 548년 만에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구롱(九隴)에서 롱(隴)은 언덕부(阝=阜)와 용용(龍)이 결합한 글자이다. 롱(隴)은 용처럼 구불구불한 모롱이 언덕길을 의미한다. 롱(隴)은 경..

세석평전의 명소 탐방(200620~21)

세석평전의 명소 탐방(200620~21) ▣ 일 시 : 2020년 06월 20일(토)~21일(일) ▣ 코 스 : 거림-세석연못-촛대봉-좌고대-영신대-창불대-음양수-거림옛길-거림 ▣ 인 원 : 4명(미산님, 조박사님, 산영님) ▣ 날 씨 : 흐림, 맑음, 최저온도 12도 지리산 촛대봉에 자연석의 면을 다듬고 새긴 '의인나주정씨묘(宜人羅州鄭氏之墓)' 석각이 있다. 이 무덤(墓)의 주인은 의인나주정씨인데, 지리산길 지도에 정걸방(鄭乞方)의 묘라고 표기하고 있다. 어떤 근거로 정걸방의 묘라고 하는지 모르지만, 의인(宜人)은 종 6품이나 정 6품 부인의 품계이다. 정걸방(鄭乞方)은 한말과 일제 강점기에 지리산 세석 음양수 근처에 살았던 사람으로, 거지 행색을 하여 별호가 걸방(乞方)이다. 의인 나주 鄭씨는 여자이..

구롱 길의 소림 선방과 방장문을 찾아서(200606)

구롱 길의 소림 선방과 방장문을 찾아서(200606) ▣ 일 시 : 2020년 06월 06일(토) ▣ 코 스 : 적조암-지장사-환희대-선열암-독녀암-신열암-의논대-고열암-일강-소림선방-동부-방장문-청이당-광점동 ▣ 인 원 : 4명(산영님, 허상옥님, 최광주님) ▣ 날 씨 : 흐림, 비 금년 들어 22번째 지리 산행 중에 지리동부 20회 산행... 어느덧 점필재 길과 감수재 길을 마무리하는 시점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칠선 휴게소 허상옥 사장에게 구롱 길과 방장문을 답사하고 싶다는 연락을 받았다. 허 사장은 평소 가야의 역사에 관심이 많을 뿐만 아니라, 구전으로 전해오는 민간 역사에 해박한 분이다. 동강에서 출발하여 지적도에 나오는 도로를 좇아 지장사 갈림길과 지장사 터부터 확인하였다. 일제시대 작성한 지..

1924년 강계형의 사립재에서 통천문 길을 잇다(200530~31)

1924년 강계형의 사립재에서 통천문 길을 잇다(200530~31) ▣ 일 시 : 2020년 05월 30일(토)~ 31일(일) ▣ 코 스 : 새재-상류암터-옹암-통천문에서 사립재 길-두리의 폐사-집터-통천문-옹암 옹암-통천문-강계형 길-다섯 모롱이 능선-집터-통천문-옹암-상류암터-새재 ▣ 인 원 : 2명(산영 조박사님), 새벽 01:00 박지 합류(狂狂子 銷魂님, 백곰님) ▣ 날 씨 : 첫날 맑음, 둘째 날 흐림 지난 5월 16일 지리산 역사문화 조사단에서 방장문 석각의 발견으로, 또 다른 의문이 들불처럼 일어났다. 유몽인의 석문과, 권도용의 금강문과 강계형의 통천문은 새로 발견한 방장문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 1611년 유몽인의 석문은 옹암을 언급했기 때문에 재론의 여지가 없지만, 그래서 이번 산행은..

점필재의 구롱(아홉 모롱이) 길 방장문 석각 발견(200516)

점필재의 구롱(아홉 모롱이) 길 방장문 석각 발견(200516) ▣ 일 시 : 2020년 5월 16일(토) 12:00경 ▣ 장 소 :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구롱 길 중 여덟 모롱이) ▣ 좌 표 : E 127.741100, N 35.378400 고도, 1,097m ▣ 답사자 : 8명(조용헌 박사 외 역사문화조사단 7명) 조선일보의 칼럼니스트 조용헌 박사의 취재 지원 산행을 하면서, 지리산국립공원 역사문화조사단에서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구롱(아홉 모롱이) 길을 조사하던 중, 여덟 모롱이(팔롱, 八隴)의 석문(石門)에서 방장문(方丈門) 석각을 발견하였다. 이 석문(石門)은 송대와 벽송사 그리고 엄천과 오봉리에서 천왕봉에 오르는 길목에 있다. 쉽게 설명하면 방장문(方丈門)은 지리 동북부에서 천왕봉으로 오르는 자..

상류암 터에서 방장문을 지나 영랑대까지(200523~24)

상류암터에서 방장문을 지나 영랑대까지(200523~24) ▣ 일 시 : 2020년 05월 23일(토)~ 24일(일) ▣ 코 스 : 새재-상류암터-집터-일곱 모롱이-여덟 모롱이-방장문-청이당-마암(행랑굴)-영랑대-중봉-써리봉-치밭목-새재 ▣ 인 원 : 2명(미산 선생님), 만난 분(순천산님) ▣ 날 씨 : 첫날 맑음, 둘째날 오후 비 지리산의 푸른 바람과 그리움과 지리산 아흔 아홉 골 그 아득하고 그리운 능선과 봉우리들 짐승처럼 헤매고 다닌 적이 있습니다. 지금 나는 지리산 천왕봉에 오를 수 없지만 준엄한 자연의 순리와 세월 겸허히 순종하려 합니다. 벅차게 울렁이는 회한들도 선승처럼 다스려야만 하겠지요. 살아온 날들은 눈물겹도록 행복할 뿐입니다. 지리산에서 부는 영원한 푸른 바람과 그리움 속에서 몇 번의 ..

조선일보 칼럼니스트 조용헌 박사 취재 산행(200515~17)

조선일보 칼럼니스트 조용헌 박사 취재 산행(200515~17) ▣ 일 시 : 2020년 05월 15일(금)~ 17일(일) ▣ 코 스 : 새재-상류암터-청이당-구롱-방장문-집터-청이당(회귀)-행랑 굴(마암)-영랑대-청이당-상류암터-새재 ▣ 인 원 : 一丁 민선생님, 休休子 趙龍憲박사, 山影 曺박사, 狂狂子 銷魂, 완폭대 조봉근, 가야산 정혜종, 土山 칠성님 ▣ 날 씨 : 첫날 비, 흐리고 맑음 지난달 4월 21일 대둔산 석천암 천산 스님으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석천암에 있는 일엄(一广)의 마애 석각 침석(枕石)과 수천(漱泉)에 대한 자료를 보내달라는 것과, 오후에 조선일보 주필&칼럼니스트 조용헌 박사가 석천암에 온다는 이야기였다. 일엄(一广)의 석각에 대한 자료를 보내고, 저녁을 먹고 석천암을 향..

지리산국립공원 역사문화조사단

지리산국립공원 역사문화조사단 2018년 3월부터 지리산국립공원 역사문화조사단 활동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합동조사 활동을 하였다. 그해 4월 15일 완폭대 석각 발견, 같은 날 상류암지 첫 답사, 4월 28일 오암의 석각과 완폭대 석각과 옥소암 영대암 불출암터 확인 답사, 5월 5일 상류암터 2차 답사, 5월 18~일 20일 세석의 영신봉 일원 답사, 5월 26일~27일 용유담과 두류암터 답사, 6월1일~3일 불일협곡 화첩 산행, 6월 23일~24일 상류암과 두류암 답사, 7월 6일~7월 7일 사라암터 부도 지대석 발견, 7월 14일~15일 갈월령&군자사터 답사를 하였고, 7월 말과 8월 초에 최석기 교수님과 이호신 화백님을 모시고 2박 3일간 2회에 거쳐 점필재 길 화첩산행을 하였다. 2019년에는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