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友堂記 1195

1610년 <박여량>선생의 [두류산일록]을 읽고

1610년 선생의 [두류산일록]을 읽고 ▣ 일 시 : 1610년(광해 2) 09월 02일 ~ 09월 08일 ▣ 대상산 : 지리산 ▣ 동 행 : 박여량[57세](전世子侍講院文學), 정경운[55세](남계서원임), 박명부[40세](합천군수), 박명계, 신광선, 박명익, 이윤적, 노륜, 안국사 승려(처암, 운일), 악공(윤걸), 종[박여승의 종(혜금연주), 신광선의 종(피리연주), (박여량의 종(옥로, 손득)]등외(15명외) ▣ 일정&코스 • 9/2 : 함양 도천- 어은정- 목동 박춘수의 집(1박) • 9/3 : 목동(함양군 휴천면 목현리) - 탄감촌(휴천면 문정리) - 용유담 - 군자사(마천면 군자리) • 9/4 : 군자사 - 백모당 - 하동암(우리동) - 옛제석당터 - 제석당 • 9/5 : 제석당 - 향적사..

쌍계석문 後面에 刻字된 이름들

쌍계석문 後面에 刻字된 이름들 # 1. 雙磎石門의 刻字 쌍계석문의 각서가 고운 최치원 선생의 친필이라고 전한다. # 2. 雙磎石門 北面 刻書 한말 권문세족이며 을사오적 이완용의 3부자 이호준, 이윤용, 이완용을 비롯하여 하동군수 권재윤, 친일파 김기태, 서양화가 김창섭, 형평사(전국백정협회) 하동분회를 이끌었던 백정 조동혁, 경상좌병사 李基赫의 무장으로 忠壯將을 지낸 權在豊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과 직업을 망라한 만무방들이 이름을 새겼고, 기가 막힌 것은 최근에 새긴 것도 있다는 사실이다. 아무튼 친일파의 명단이 쌍계사 석문에 남아있는 것을 보면 아마 전국 방방곡곡 명승지마다 그들의 더러운 이름을 남겼을 것이다. * 만무방 : 염치가 없이 막된 사람 ★ 石刻의 시점(1883~4년) : 1882년~188..

철의 계곡 봉산골과 하점골(170610~11)

철의 계곡 봉산골과 하점골(170610~11)  ▣ 일 시 : 2017년 06월 10일 ~ 11일▣ 코 스 : 봉산골초입-봉산골야철지-합수점-봉산좌골-봉산우골(얼음골)-심마니샘-심마니능선-하점좌골-합수점-야철지-달궁▣ 동 행 : 미산님, 차황님, 송연목님, 김자준님, 육자님▣ 날 씨 : 맑음, 새벽비, 맑음    # 1. 철의 계곡에 대한 호기심   지난해 4월 말 하점 좌골 상단부에서 冶鐵의 흔적인 슬러그(slag)를 보고 야철 유적지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하점좌골 중류 좌측으로 상당한 경사면인데도 불구하고 잘게 깬 철광석 더미가 쌓여있었고, 계곡 이곳 저곳에는 슬러그 덩어리가 흩어져 있었다. 아무런 사전 정보없어 전혀 내용을 몰랐기때문에 슬러그 사진만 찍었고 산행을 마치고 돌아와서  검색해보고..

자율동아리 제일고산악부 대둔산 비박체험(170520~21)

자율동아리 제일고산악부 대둔산 비박체험(170520~21) ▣ 일 시 : 2017년 05월 20일 ~ 21일 ▣ 코 스 - 1일차 : 수락리 - 석천암 - 허둔장군절터 - 낙조산장 - 마천대 - 칠성봉 - V계곡 - 낙조산장 - 2일차 : 낙조산장 - V계곡 - 삼군봉 - 낙조대 - 낙조산장 - 석천암 - 수락리 ▣ 인 원 : 자율동아리 제일고 산악부 5명 + 학교장 ▣ 날 씨 : 맑고 포근함 지난해에 이어 세 번째 자율동아리 제일고 산악부 비박체험을 대둔산에서 실시하였다. 부장 안세현과 차장 신예엽이 준비물을 배분하여 단톡방에서 정보를 공유하며 계획을 세우고 산행을 하였다. 날씨가 맑아서 일출과 일몰을 보았고 막영준비를 한 후 마천대에 올랐다가 석양에 대둔산 암릉을 돌아보았다. 아침 5시에 기상하여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