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友堂記 1195

김종직 선생의 유두류록과 기행시를 좇아서(170503~06)[3박4일]

​ 김종직 선생의 유두류록과 기행시를 좇아서(3박4일) [1472년 점필재 김종직선생 유루류 일정] ★ 일 시 : 1472년(성종) 08월 14일 ~ 8월 18일(4박 5일)(陰曆) ★ 날 씨 : 맑음,흐림,비,안개, 맑음 ★ 동 행 : 10명 (유호인.조위,임대동.한인효,승려 해공,법종,아전 옥종,용상,노비) ★ 일 정 : 8/14 : 함양군 관아 - 엄천 - 화암 - 지장사 - 환희대 - 선열암 - 신열암 - 고열암(1박) 8/15 : 고열암 - 쑥밭재 - 청이당 - 영랑재 - 해유령 - 중봉 - 마암 - 천왕봉 - 성모사(2박) 8/16 : 성모사 - 통천문 - 향적사(3박) 8/17 : 향적사 - 통천문 - 천왕봉 - 통천문 - 중산(帝釋峰) - 沮여汝原(세석?) ​- 창불대 - 영신사(4박) 8..

청이당 터로 추정되는 석축(170504)

청이당 터로 추정되는 석축(170504) 5월초 초파일 연휴 동강마을을 출발 3박4일 동안 점필재의 길 全 코스를 걸었습니다. 청이당에서 하봉 옛길 쪽으로 작은 실계곡을 건너면 가운데에 넓은 반석이 있습니다. 그 반석에서 시내 건너편의 15m정도 아래에 오래된 석축이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석축 뒷부분의 지대가 조금 높은데 나무가 있지만 이곳이 청이당 터로 추정이 됩니다. 선생의 유두류록에 기술된 淸伊堂> 抵淸伊堂。以板爲屋。四人各占堂前溪石上。小憩。청이당에 이르니 판자로 집을 지었다. (우리) 네 사람은 각각 점당(청이당) 앞의 계석 위에서 잠깐 쉬었다. ​ * 抵 :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以A爲B : A로 B를 만들다. 占堂 : 점집, 무당집, 청이당 이곳 바위를 지나 실계곡을 건너면 ..

대둔북릉과 마천대 가는 길(170422~23)

대둔북릉과 마천대 가는 길(170422~23) ▣ 일 시 : 2017년 04월 22일 ~ 23일 ▣ 코 스 - 1일차 : 수락전원마을 - 대둔북릉 - 돛대봉 - 낙조대 - 삼군봉 - V계곡 - 낙조산장 - 2일차 : 낙조산장 - 칠성봉전망대 - 케이블카전망대 - 구름다리 - 삼선교 - 마천대 - 829봉 - 청룡능선 - 군지계곡 구름다리 -석천암 - 상수락 ▣ 인 원 : 첫날 2명(솔레이님), 둘쨋날 3명(솔레이님, 김선권님) ▣ 날 씨 : 포근함 月夜聞子規 : 달밤 子規 울음소리를 듣고 이규보(李奎報) 寂寞殘宵月似派(적막잔소월사파) : 적막한 밤, 달빛은 물결처럼 잔잔한데 空山啼遍奈明何(공산제편내명하) : 텅빈 산 곳곳에서 두견새 울음소리 날이 새면 어이하나 十年痛哭窮途淚(십년통곡궁도루) : 십년을 통..

불일협곡의 학연과 학담 이야기(170311~12)

불일협곡의 학연과 학담 이야기(170311~12) ▣ 일   시 : 2017년 03월 11일 ~ 12일▣ 코   스 : 쌍계사-내원골-불일협곡-옥천대-학연-비로봉(백학봉)-불일폭포-학담-불일암-향로봉(청학봉)-상불암址-향로봉능선-향로봉(청학봉)-소은산막-쌍계사  ▣ 인   원 : 5명(미산선생님, 송연목님, 김자준님+1)▣ 날   씨 : 맑음 영상 5도, 영상15도 1. 산행의 개요   "봄 산 어디엔들 향그런 풀 없으리오마는, 내가 이 곳에 머무르는 것은 다만, 천왕이 가까움을 사랑해서라네. 빈손으로 왔으니 무엇을 먹고 살을까. 십리 은하수 같은 맑은 물 다 먹고도 남음이 있으리니..."  丁酉早春三月 덕산의 산천재를 원 없이 향유하며 남명매의 개화를 보고도 성에 차지를 않아 남명의 유두류록을 밤마다 ..

지리99 [지명탐구]129 直旨遺憾

지리99 [지명탐구]129 直旨遺憾 다음 내용 (1)은 2011년 지리99 [지명탐구]방에 올리기 위해 내 블로그에 작성한 내용이다.[도솔산연소재 2011.06.28 23:06] 작성한 시점에서 [지명탐구 Re129]에 내용 1을 올렸다. 그 후에 2012년 2월 산행기(2)에도 같은 내용을 다시 올렸다. 지리99에서 점필재 하산길에 대해 직지봉과 오공능선을 고집하여 님과의 댓글 필담에서도 최교수님의 해석이 맞다고 했는데... 전에 올린 글[지명탐구Re129]은 사라졌고 김종직선생의 하산 길이 어느날 슬그머니 에서 으로 수정 변경되었다. 이런 방법으로 남이 알아주기를 바란다면 안타까운 일이 아닌가? 퇴계선생 말씀 중에 '자기를 버리고 남을 따르지 못하는 것이 배우는 사람의 큰 병이다.' '천하의 이치는 ..

대둔산 석천암&군지계곡(170225~26)

대둔산 석천암&군지계곡(170225~26) ▣ 일 시 : 2017년 02월 25일 ~ 26일 ▣ 코 스 : 수락 - 석천암 - 낙조산장 - 마천대 - 군지계곡 - 상수락 ▣ 인 원 : 3명(양영모님, 김자준님) ▣ 날 씨 : 맑음 영하 5도 선녀폭포 수락폭포 枕石/漱泉 # 석천암 巖窟에 있는 刻字 一广에 대하여 김상일[金相日] 1756년(영조 32) ~ 1822년(순조 22) 자는 자산(子山), 호는 일엄(一广) 또는 농수(聾叟). 충청남도 연산 출신. 김장생(金長生)의 6대손이며, 아버지는 기택(箕澤)이다. 위기지학(爲己之學)에 뜻을 두고 『심경(心經)』·『근사록』 등을 탐독하여 「문견록(聞見錄)」을 지었다. 산수를 좋아하였으며 시문에 뛰어났다. 저서로는 『일엄유고』 2권이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김..

지리동부 아란야(阿蘭若) 영랑대(170210~12)

지리동부 아란야(阿蘭若) 영랑대(170210~12) ▣ 일 시 : 2017년 02월 10일 ~ 12일 ▣ 코 스 : 광점동-어름터-청이당-영랑대-두류능선-영감절터-어름터-광점동 ▣ 인 원 : 4명(미산님, 김자준님, 이승호님) ▣ 날 씨 : 첫날 눈 구름 둘째날 맑음 영하 15도 입춘이 지나고 매신(梅信)이 들려오건만 도리어 강추위가 몰려오니 마음은 변함없이 한 곳을 향한다. 언제나 변화무쌍한 지리의 모습이 아니던가. 추우면 추울수록 내 혈관을 요동치게 만드는 지리동부의 강한 끌림과 보고픔이다. 동고동락하던 산친들이 예전 같지 아니하고 가는 길은 날로 성글어지니, 해와 달은 자리를 바꿔가며 부지런을 떨건만 이내 산행의 즐거움이 차츰 줄어들기만 한다. 그래도 이 산하 이 산천 이내 한 몸 마음 편히 쉴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