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友堂記 1195

1610년 감수재 박여량 선생의 두류산일록을 좇아서(191003~06)

1610년 감수재 박여량 선생의 두류산일록을 좇아서(191003~06) ▣ 일 시 : 2019년 10월 03(목)~06(일) ▣ 코 스 - 0일차 : 오봉리(차량)-산내 某処 - 1일차 : 백모당-우리동-옛제석당터-제석당-서천대-통천문-천왕봉-증봉-마암(중봉샘)-중봉 - 2일차 : 중봉-선암-소년대(하봉)-영랑대-행랑굴-청이당(두류..

1610년 두류산일록의 행랑굴에서 초령까지(190928~29)

1610년 두류산일록의 행랑굴에서 초령까지(190928~29) ▣ 일 시 : 2019년 9월 28(토)~29(일) ▣ 코 스 : 새재마을-청이당-행랑굴-영랑대-청이당-옹암-옹암&새봉 안부-독바위양지-조개골-새재마을 ▣ 인 원 : 3명(조박사님, 정삼승님) ▣ 날 씨 : 구름 지난 8월부터 영랑대를 네 번 연속 다녀오고 우여곡절(붙임2) 끝에 초령(새봉)이 풀린 뒤 마음은 더욱 분주하다. 상류암에서 초령까지의 옛길을 확인하기 위해 미산 선생님께 전화를 드리니, 주말에 집안 혼인이 있다고 하신다. 후에 알게 되었지만, 지난 토요일이 미산 선생님의 여혼이 있었으니ㅠㅠ... 하여간 머릿속에 가득한 상류암에서 초령 루트를 찾기 위해 길을 나섰다. 누가 시키는 일은 아니지만, 자신에 대한 질문에 잠도 제대로 못 자..

불일폭포의 학담과 학연 그리고 용추에 대하여

불일폭포의 학담과 학연 그리고 용추에 대하여 청학연(靑鶴淵)에 대한 명칭은 1487년 추강 남효온의 기록에 유일하게 등장한다, 다른 유람록에는 학연, 학담, 용추, 학추 등 다양한 이름이 보이는데 동소이칭(同所異稱)으로 생각된다. 선인들은 분명 불일폭포를 학의 형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청학동 이름의 유래도 불일폭포에서 출발한 것으로 생각되는 것은 불일폭포의 다른 이름이 청학폭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치원의 청학 설화와 청학동은 불일폭포가 그 시발점(始發點)이라는 것이다. 학연과 학담에 대해서는 20여 편의 유람록에서 언급하고 있지만 남명 조식 선생의 기록이 가장 구체적이다. 얼마 전 블친의 블로그에서 불일협곡에서 용추와 학연, 학담으로 직등한 사진을 보고 그동안 궁금했던 학연의 비밀을 확인할 수 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