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崇祖惇宗 236

지산유고의 연보와 행장에 나오는 柳道奭(류도석)

柳道奭(류도석) 1828~1908, 순조28년~융희2년 ○ 高宗三十一年甲五。先生四十二勢。春呂永勛來築室而居。永勛有篤學之志。故。如此時。金健秀亦來課。○ 東學猖獗 : 化嶺與三山接境。三山乃東徒窟穴也。境內士大夫避難者多。就謀於先生。先生與共築於天卓山中。以避之。盧都士事敬與洪進士龜疇。鄭進士弘黙。李進士建晩。鄭永愚。羅采正。諸公皆與焉。○ 與柳參奉萬植書。(時慈仁柳公道奭。自鹿島解歸。故致書於其胤二江。以慰之。) ○ 柳公。以討東召募使陞叙。而請先生議事不赴。(二江柳公。又以先生之子康夏。薦爲召募營書狀。先生命往辭之) ○ 錦川洞約成。 ○ [1894년] 고종 31년 갑오, 선생 42세, 봄에 여영훈이 와서 집을 짓고 살았다. 영훈은 학문에 돈독한 뜻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때에 김건수 또한 와서 공부하였다. ○ 동학이 창궐하였다. 화령과 삼..

경술통문 동지인 이은화(李殷和)

이름/별명이은화(李殷和)당시나이22세본적/주소경북 문경군 신북면 평천리 180번지판결기관 문경헌병분견소 죄명보안법위반생산년도 주문태(笞) 50관리번호CJA0017600판결날짜1919.04.18M/F번호95-153안내* 위 기록물에 대한 사본 신청은 방문, 전화, 팩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전화 : 042-481-6301 ☞ 1919년 22세 나이와 연대가 일치하지 않아 확인이 필요함.

경술통문 동지인(이종국[李鍾國)

이종국[李鍾國] : 개항기 제천에서 봉기한 호좌의진의 의병. 가계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응천(應天), 호는 석포(石浦). 아버지는 이규수(李圭壽)이다. 활동 사항 이종국(李鍾國)[1860~1939]은 박세화(朴世和)에게 성리학을 배웠다. 1895년(고종 32) 단발령 이후 제천을 중심으로 봉기한 유인석(柳麟錫)의 호좌의진이 친일 관료들을 척살하고 충주성을 장악하였을 때 운량관(運糧官)이 되어 식량의 조달과 운반 보급의 책임을 맡았다. 얼마 후, 이강년(李康秊)이 청풍 탄지동(炭枝洞)에서 장기렴의 관군에게 패하고 제천시 덕산면 성암리로 피해 왔을 때 숨겨 주었으며, 또한 인근에 흩어져 있던 잔류 의병 15명을 모아 넘겨줌으로써 이강년이 대미산(大美山)에서 부대를 수습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강년은 이..

경술통문 동지인 이명재(李明宰)

○ 이명재(李明宰) 이강년의 아들이다. 1905년 을사조약 이후 부친이 거의함에 일제의 탄압과 감시가 극심해지고 가옥까지 방화해 버리자 형 승재긍재와 하메 단양·제천·연풍·영월·강릉·청풍·문경 등지를 전전하며 의진에 종군하였다. 1908년 청풍 작성전투에서 부친이 전상을 당하여 일본군에 체포되고, 같은 해 9월 19일 교수형을 당해 순국하게 되자 형들과 함께 부친의 유해를 안장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토동소집격문(원본) 2매, 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345쪽. [출처] 제2장 문헌조사 > 문경 사람들의 의병항쟁 > 부록 : 의병항쟁에 참여한 문경인물|작성자 산벗박창희

경술통문 동지인 강내영(姜來永, 이명 姜永錫)

○ 강내영(姜來永, 이명 姜永錫) 강내영은 1907년 이강년의진에 참여하여 대일항전에 나섰다. 이강년은 지방민들의 전폭적인 지원과 지리에 밝은 이점을 이용해 신출귀몰한 유격전술을 구사하여 의병사에 빛나는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강년은 1908년 7월 청풍 작성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피체되어 교수형을 받고 순국하였다. 이와 같이 후기 의병사에 두드러진 활동을 전개한 이강년의진에서 강내영은 좌종사에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참고문헌】한국독립사(김승학) 하권 71쪽, 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집 306쪽. [출처] 제2장 문헌조사 > 문경 사람들의 의병항쟁 > 부록 : 의병항쟁에 참여한 문경인물|작성자 산벗박창희

경술통문 동지인 강병욱(姜炳旭) 강병유(姜炳裕) 강병수(姜炳修)

강병욱[姜炳旭,1871.5.6 ~ 1952.3.10] 요약 한말 이강년 의진에서 활약한 의병장. 1907년 국권회복에 뜻을 두고 이강년 의진에 투신해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특히 1908년 6월 이강년이 청풍 작성전투에서 붙잡혀 사형당한 뒤에도 소백산을 중심으로 계속 항일 의병투쟁을 전개하였다. 1871년(고종 8) 5월 6일 경상북도 문경(聞慶)에서 태어났다. 일제가 강제로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을 체결하고, 이어 대한제국 군대마저 해산하는 등 침략정책을 더욱 노골화하던 시기인 1907년 국권회복에 뜻을 두고 이강년(李康강병욱 본문 이미지 1) ) 의진(義陣)에 투신해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이강년 의진은 충청북도 제천(堤川)을 중심으로 경상도·강원도 등 폭넓은 지역에서 유격전을 벌이면서 한..

경술통문 동지인(이규해(李圭海)

이규해(李圭海, 1868.8.28.~1947.7.10) – 경북 문경 공적내용후기의병 시기 경북 문경 등지에서 활동한 이강년(李康秊) 의진에 종사(從事)로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그 뒤 1910년 경술국치 때에는 이지원(李芝元)·이승재(李承宰) 등 41명과 함께 의병을 일으킬 것을 촉구하는 통문을 발송하여 일제의 병탄에 조직적으로 저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5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註ㆍ通文(1910. 7)ㆍ雲崗先生倡義日錄ㆍ독립운동사자료집(국가보훈처) 제1권 301·729면ㆍ韓國獨立史(金承學, 1965) 하권 213면ㆍ聞慶郡誌 380면(임병섭 편저, 문경군지편찬위원회, 1982, 문경향토지간행회, 회상사, 1965)ㆍ聞慶大觀(문경문화원, 1986) 102면ㆍ店村聞慶鄕土抗日義兵史 2..

경술통문 동지인 이응수(李應洙)

이응수(李應洙)정의 : 일제 강점기 김천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이응수(李應洙)는 1879년 10월 7일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용암리 307번지에서 일제 침략에 상소 운동으로 맞서다 감옥에서 순국한 성석(醒石) 이건석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국권을 찾지 못해 죽어도 눈을 감지 못한다.”는 아버지의 유언을 실천하고자 이응수는 3·1운동 때는 선두에서 독립 만세를 외치다 체포되어 5개월간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1920년 3월 감옥에서 나온 이응수는 문경 지역에서 활동했던 의병장 신태식, 영주의 김찬규 등과 함께 김천군 구성면의 나곡산재(羅谷山齋)에 모여 조선독립운동후원의용단(朝鮮獨立運動後援義勇團)을 결성하였다. 조선독립운동후원의용단은 3·1운동 이후 성립된 상해임시정부 등 해외 독립 운동..

경술통문 동지인 김철상(金喆相)

김철상(金喆相)[1878~1966] 개항기 제천에서 봉기한 호좌의진의 의병. [활동 사항]김철상(金喆相)[1878~1966]은 본관이 영양(英陽)으로, 경상북도 용궁 사람이다. 1895년(고종 32) 말 단발령이 내리자 전국에서 의병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는데, 이때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킨 이강년(李康秊)을 좇아 의병 운동에 가담하였다. 마고성(麻姑城) 전투 이후 의진이 힘을 떨치지 못하게 되자 제천으로 옮겨 호좌의진과 연대한 이강년을 따랐다. 이후 죽령과 수안보 등 여러 곳에서 이강년이 이끈 호좌의진 유격군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의병이 실패하자 은거하였다가, 1907년(순종 1) 고종이 강제로 퇴위하고 군대가 해산되는 변고가 닥치자 이강년을 좇아 문경 전투에서 군수 물자를 지원하는 등 좌종사로 활동하였다...

경술통문 동지인 한양이(韓良履)

독립유공자(공훈록) ㅣ 국가보훈처 www.mpva.go.kr성 명 : 한양이생몰년도 : 1883.1.16 ~ 1946.2.16 출신지 : 경북 문경 운동계열 : 의병 훈격(연도) : 애국장 (90) 공적내용字 女敬 號 石樵 경상북도 문경(聞慶) 출신이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을미의병 출신으로 문경 일대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한바 있던 이강년(李康秊)이 의병활동의 재개하였다. 이에 한양이는 이강년 의진에 참가하고 농토 6,700여 평을 매각하여 군자금으로 희사하였다고 한다. 이강년 의진이 의병활동을 본격화시키자 그 종사관이 되어 소모활동을 전개하면서 원주(原州)·단양(丹陽)·제천(堤川)·문경·안동(安東)·내성(乃城)·재산(才山) 그리고 경기도 관악산 등의 전투에 참가하여 많은 전과를 올렸다.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