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友堂記 1190

중철굴암터와 도덕봉의 검각(劒閣)을 찾아서

중철굴암터와 도덕봉의 검각(劒閣)을 찾아서 ▣ 일 시 : 2021년 12월 18일(토)~19일(일) ▣ 코 스 : 용화정사-중철굴암-상철굴암-파란움막터-만국기터-도덕봉-의신 ▣ 인 원 : 4명(도필락님, 김자준님, 곰돌이님) ▣ 날 씨 : 맑음(영하4도) 처음 설산(雪山)을 찾은 것은 2020년 1월 7일이다. 그날 밤 자연스럽게 중철굴암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고, 설산 토굴 아래 암자터(중철굴암)에 대한 이야기도 들었다. 당시는 내가 가보지 못한 곳이라 이해하지 못하여 그 이야기는 거기에서 멈추었다. 말의 요지는 설산 토굴이 중철굴암터가 아니라는 것이다. 작년과 금년은 점필재의 구롱길과 유몽인 길에 매달려 거의 2년 가까운 시간을 보냈다. 지난 12월 4일~5일에 벽소령의 봉산금표 조사를 위해 오리정골로..

서부경남 이영철 실장 화림동 농월정 석각 명문

서부경남 이영철 실장 화림동 농월정 석각 명문 弄月亭(농월정) 花林洞闢境全幽(화림동벽경전유) : 화림동이 시작되는 온전히 그윽한 곳에 吾祖當年杖屨留(오조당년장구류) : 우리 선조께선 지팡이에 짚신 신고 머무셨네 避世還山雲共宿(피세환산운공숙) : 세속을 피해 산으로 물러나 구름과 함께 자고 憂君蹈海月空浮(우군도해월공부) : 임금을 걱정하여 지조를 지키니 달은 허공에 떠있네. 澗松歲暮生琴語(간송세모생금어) : 골짜기의 소나무는 해가 다해 거문고 소리가 나고 石篆風磨驗竿頭(석전풍마험간두) : 돌위에 쓴 글씨는 바람에 갈리어 위태롭네 俯仰亭楣因慕像(부앙정미인모상) : 정자의 처마를 굽어보고 올려보는 것은 그리운 모습 때문이니 芳名千古出塵流(방명천고출진류) : 꽃다운 이름 세속을 벗어나 천고에 전하리 嗣孫應煥謹次..

천왕봉의 일월대(日月臺)와 천주(天柱) 석각 외

천왕봉의 일월대(日月臺)와 천주(天柱) 석각 외 1. 천왕봉의 일월대(日月臺) 석각 소재지 :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산 100번지(천왕봉)/산청군 시천면 중산리 산 208번지 행적자 : 정태현(鄭泰鉉, 1858~1919) 연대 : 조선 후기 석각 시기 : 1886년 (병술) [개요] 선인들의 유람록에 일월대(日月臺)라는 명칭은 1643년 박장원의 유두류산기에 처음 등장한다. 1719년 유두류일록, 1724년 조구명의 유두류산기, 1724년 정식의 두류록에도 보이는데,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는 지리산 천왕봉 정상을 가리킨다. 일월대 석각은 1924년 강계형의 두류록에 '봉우리 남쪽은 일월대인데 오르면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는 까닭으로 이름을 지은 것이며 새로 새긴 대의 이름자는 크기가 팔뚝 만한데 정죽..

마천면 의탄리 의평마을 김종직의 시비

마천면 의탄리 의평마을 김종직의 시비 ▣ 답사일시 : 2021년 12월 10일 ▣ 시비소재 :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 743(칠선로 35-6) ▣ 건립시기 : 2009년 6월 ▣ 조사위원 : 문호성, 백승철, 이영규 [개요] 마천면 소재 마애석각과 비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의탄리 의평마을에 김종직의 조형물 시비를 만났다. 김종직의 시를 통해 550년 전에도 곶감(감)이 생계의 수단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에도 곶감이 함양 마천의 특산물이었다. 그의 시에 '두류산 북쪽 수운 마을(頭流山北水雲鄕)'은 마천면 일대를 가리키는 듯하다. 선인들의 유람록에서 1610년 박여량의 두류산일록에도 감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함양의 마천이 500년이 넘는 전통의 곶감 본향임을 알릴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 9월 4일..

김종직의 유두류록 아홉모랭이길과 영랑대

김종직의 유두류록 아홉모랭이길과 영랑대 ▣ 일 시 : 2021년 12월 08일(수)~09일(목) ▣ 코 스 : 광점동-구롱길 일곱모랭이-방장문-청이당-영랑대-쑥밭재-방장문-일강-고열암-은병암-송대마을 ▣ 인 원 : 3명 ▣ 날 씨 : 맑음(영하 1도) 금년 봄 광주의 ○○님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었다. '지리구구 운영진(?)을 만났는데, 왜 도솔산인과 산행을 하느냐?'라는 질문을 받았다고 한다. 누군지 짐작이 가지만 더 이상 캐묻지 않았다. 나는 함께 산행하는 분들이 있지만 떼산을 좋아하지 않으니 산행 인원은 항상 3~4명으로 제한한다. 개인 산행이기 때문에 산행 후 다음 산행을 기약하지 않는다. 내일을 모르니 늘 오늘이 마지막 산행이라고 생각한다. 아무튼 광주 ○○님에게 그 이야기를 듣고 산행기에 동..

지리산의 염두고도(鹽豆古道) 벽소령 소금길

지리산의 염두고도(鹽豆古道) 벽소령 소금길 ▣ 일 시 : 2021년 12월 04일~05일 ▣ 코 스 : 삼정-오리정골-벽소령-부자암-형제봉-벽소령-덕평(천우동 석각)-상철굴암-설산토굴터-설산습지-삼정 ▣ 인 원 : 3명 ▣ 날 씨 : 맑음 1472년 함양군수 김종직선생은 4박 5일간 두류산 유람을 마치고 등구재를 넘어 관아로 돌아온다. 김종직은 실택리(실덕리)를 지나 군자사 입구 임천에서 일행들과 헤어진다. 해공은 군자사로 가고, 법종은 묘정사로 가고, 조태허 유극기 한백원은 용유담(龍游潭)으로 유람하러 간다. 처음에는 김종직이 의탄 방향이 아닌 실상사 방향으로 산내면 백일리→중황리(상황마을)→등구재→창원마을→소리목재(약초길)→구양리(물레방아산장)→오도재→지안재→함양관아로 돌아온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

화학동천(花嶌洞天)과 梅村鄭先生遊憩所 운학정(雲鶴亭)

화학동천(花嶌洞天)과 梅村鄭先生遊憩所 운학정(雲鶴亭) 마천면 소재 마애석각 명문을 조사하면서 문헌과 지역민들의 세보를 통해 옛 지명을 더러 확인할 수 있었다. 개암선생 유허비의 구송정(九松亭)과 삼괴정(三槐亭), 해주석씨세보의 두류암(頭流巖), 나주임씨세보의 공달비산(蚣達飛山)과 청주한씨세보의 공달산(蚣蟽山), 도화곡(桃花谷, 견성골), 한조봉(鷴鳥峰, 황새봉)과 학조봉(鶴鳥峰), 택리지의 벽소운동(碧宵雲洞), 와유강산(臥遊江山)의 칠성동(七星洞)과 천진폭포(天津瀑布) 등 여러 곳이다. 구전과 일치하는 곳도 있지만 잊혀지거나 와전된 지명도 있었다. 마천면 덕전리 소재 화학동천(花嶌洞天) 암각 명문도 그중 하나이다. 嶌는 본래 자전에 '섬도(嶋)'의 이체자인데, 겸암일기(유운룡)와 와유강산(임응택)에서 '..

遊頭流山百韻[두류산유람 백운]

어우집 후집 제2권 / 시(詩) 두류록(頭流錄) 遊頭流山百韻[두류산유람 백운] 太虛無閡煦氳氤 : 막힘없는 하늘은 온화한 기운 보내고 品物咸由二氣甄 : 음양의 조화로 모든 만물 이루어지네. 融作川流非决導 : 녹아서 흐르는 시내는 만든 물길 아니요 結成山嶽孰陶勻 : 맺혀서 이루어진 산악은 누가 빚어내었나. 穹窿五有寰中秀 : 천하에는 우뚝하게 빼어난 산 다섯이요 縹緲三稱海外神 : 바다밖엔 아득하게 신선산이 셋이라네. 箕國頭流輿地別 : 우리나라 두류산이 땅은 다르지만 仙家方丈號名眞 : 선가의 방장산과 이름이 부합하네. 飫聞南紀雄爲鎭 : 남방의 웅장한 진산을 익히 들었으니 踔遠中華隔幾塵 : 중화와는 저 멀리 까마득히 떨어졌네. 之者擧嫌途道絶 : 가는 자들 모두 길이 끊어짐을 꺼리니 於乎虛作狖鼯隣 : 아, 원숭이와..

마천면 군자리 도마마을 은적암터

마천면 군자리 도마마을 은적암터 ▣ 일 시 : 2021년 11월 22일(월) ▣ 장 소 : 도마사터 은적암터 외 ▣ 인 원 : 3명(문회장님, 도마마을 한오식 님) ▣ 날 씨 : 맑음 ▶ 도마사터 : 군자리 도마안길3 도마사(都馬寺)에 관한 기록은 마천 의중마을에 살았던 삼송(三松) 임응택(林應澤, 1879~1951) 선생의 와유강산이 유일하다. '운학정을 잠깐 지나 도마사와 군자사의 옛터를 찾아드니 세월이 흘러 매우 오래된 옛 절터가 속가의 마을이 되었다. '亭子(雲鶴亭)를 暫間지나 都馬寺와 君子寺에 옛터를 찾아드니, 年久歲深 古寺터가 俗家成村 되었으니...'라는 내용이다. 전하는 말에 사진 배나무가 있는 곳이 우물터라고 하는데 동자가 우물에 빠져죽는 사고가 있어 우물을 메웠다고 한다. 마을 뒤에 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