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47

대둔산 낙조대와 칠성봉에서 노닐다.

대둔산 낙조대와 칠성봉에서 노닐다. ▣ 일 시 : 2023년 06월 15일(목)~16일(금) ▣ 코 스 : 태고사-장군약수터-상여봉(생애대)-낙조대-삼군봉-낙조산장-칠성봉 전망대-마천대-낙조산장-석천암-수락 ▣ 인 원 : 3명 ▣ 날 씨 : 맑음 逍遙詠(소요영) : 소요를 읊다. 白居易(백거이) 亦莫戀此身 : 이 몸을 그리워하지 말고 亦莫厭此身 : 이 몸을 미워하지도 말게 此身何足戀 : 이 몸 어찌 그리워하리오 萬劫煩腦根 : 만겁 번뇌의 뿌리인 것을 此身何足厭 : 이 몸을 어찌 싫어하리오 一聚虛空塵 : 모인 허공의 티끌인 것을 無戀亦無厭 : 그리움과 미워함이 없어야 始是逍遙人 : 비로소 곧 자유인 된다네

대둔산 상여봉과 삼군봉 푸른솔(230608~09)

대둔산 상여봉과 삼군봉 푸른솔(230608~09) ▣ 일 시 : 2023년 06월 08일(목)~09일(금) ▣ 코 스 : 태고사-장군약수터-상여봉(생애대)-낙조대-삼군봉-낙조산장-칠성봉 전망대-마천대-칠성봉-석천암-수락 ▣ 인 원 : 3명 ▣ 날 씨 : 밤비, 맑음 閑情三首 中 二首 一蒼松(한 그루 푸른 솔) 浩然齋 金氏 永夜眠難得 : 긴긴밤 잠을 이루지 못하니 悄悄待曉鍾 : 조용히 새벽 종소리을 기다린다. 玲瓏半夜月 : 영롱한 한밤중의 달이요 蕭瑟五更風 : 소슬한 오경五更 바람이야. 世事愁千疊 : 세상 일은 근심이 천 겹이요 離情恨萬重 : 떠난 정은 恨이 만 겹이어라. 回瞻身外伴 : 몸 밖의 벗을 돌아보니 只有一蒼松 : 다만 한 그루 푸른 솔뿐이로다. 출처 : 「浩然齋遺稿」 注 一蒼松은 제가 임의로 붙..

점필재길을 걷다.(방장문에서 곧은재까지)

점필재길을 걷다.(방장문에서 곧은재까지) ▣ 일 시 : 2023년 06월 03일(토)~05일(월) ▣ 코 스 : 광점동-방장문-청이당-영랑대-상봉-장터목-삼신봉-세석-좌고대-창불대-영신암-곧은재-백무동 ▣ 인 원 : 3명 ▣ 날 씨 : 맑음 지난 2년간 집필위원으로 참여한 '지리산 마천면사'가 간행되어 6월 2일 마천면 면사무소에서 출판기념회가 열렸다. 산행에 비유하면 '마천면사'라는 장거리 종주산행을 완주한 셈이다. 문호성 마천면사 편찬위원회 위원장님을 비롯하여 함께하신 많은 분들의 노력으로 결실을 맺었다. 지리산 인문학을 제대로 모르는 사람이 지난 2년 동안 마천에서 지리산을 팔아 식객 노릇을 하였다. 다른 말로 바꾸어 말하면 됫박 글을 말 글로 써먹었다. 그냥 지나쳤던 곳도 이곳저곳을 숱하게 찾아다..

점필재길을 걷다.(적조암에서 방장문까지)

점필재길을 걷다.(적조암에서 방장문까지) ▣ 일 시 : 2023년 05월 25일(목)~26일(금) ▣ 코 스 : 적조암-지장사터-박쥐굴-환희대-선열암-독녀암-의논대-고열암-미타봉-방장문-광점동 ▣ 인 원 : 4명(박지 합류 1명) ▣ 날 씨 : 맑음 어득강(魚得江, 1470~1550)은 조선 전기, 이민구(李敏求, 1589~1670)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어득강(魚得江)은 산음십이영(山陰十二詠)을, 이민구(李敏求)는 산음팔영(山陰八詠)을 남겼다. 산음십이영(山陰十二詠)과 산음팔영(山陰八詠) 중에 독녀심선(獨女尋仙, 독녀암에서 신선을 찾다.)의 시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독녀암은 산음(山陰)의 12경과 8경이니, 독녀암이 당시에 산음의 행정구역이라는 점이다.(현재는 함양군 휴천면 운서리 산 6-2번지)..

지리동북부 와불산의 독녀암과 미타봉

지리동북부 와불산의 독녀암과 미타봉 ▣ 일 시 : 2023년 05월 20일(토)~21일(일) ▣ 코 스 : 적조암-독녀암-의논대-고열암-미타봉(원점회귀) ▣ 인 원 : 10명 ▣ 날 씨 : 맑음 카카오 지도에 미타봉과 상내봉, 와불산이 이제야 제 이름을 되찾았다. 오류를 바로잡는 데까지 십수 년이 걸렸다. 지명이 지도에 한번 잘못 표기되면 바로잡는데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함양독바위는 노장대라는 본래의 이름이 있었다. 독녀암은 삼열암과 함께 유두류록 탐구가 류정자 님이 최초로 발굴하였다. 함양군에서 세운 노장대라는 팻말은 사라지고, 그 시점에 함양독바위는 고증 없이 임의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바위에 오르면 함양 읍내가 보여서 함양독바위라고 했다고 한다. 지명의 유래가 전혀 납득이 가지 않는다. 함..

비내리는 세석평전의 창불대와 영신대

비내리는 세석평전의 창불대와 영신대 ▣ 일 시 : 2023년 05월 17일(수)~19일(금) ▣ 코 스 : 백무동-세석대피소-창불대-영신대-좌고대-곧은재능선-백무동 ▣ 인 원 : 4명 ▣ 날 씨 : 흐리고 비 전괄(箭筈)은 화살촉처럼 뾰족한 창불대와 병풍바위를 가리키고, 거상(車箱)은 한번 내려가면 돌아갈 길이 없는 창불대골을 가리킨다. 창불대에서 영신대로 내려오는 사면길에 제1전망대가 있다. 여기에서 영신대를 바라보면 석가섭과 좌고대가 보인다. 좌고대에 올라간 종 염정과 옥곤을 꾸짖은 것을 보면 점필재도 이길로 내려선 듯하다. 영신암 시를 보면 영신대로 내려서면서 석문을 통과했다. 산도(山都)를 촌장으로 읽었는데 정확한 의미를 잘 모르겠다. 산도(山都)는 비비(狒狒, 원숭이)의 일종이다. 비 내리는 세..

김사문의 「용호구곡 경승안내」에 나오는 불신당(佛神堂)

김사문의 「용호구곡 경승안내」 에 나오는 불신당(佛神堂) ■ 1940년 난사 김사문의 「용호구곡 경승안내」 불신당(佛神堂) 이암(鯉岩, 잉어바위)를 등지고(背) 산의 북쪽 기슭(北麓)을 우러르매(仰) 암벽(岩壁)의 돌 처마(石簷)가 높이(高)는 가히(可) 한길(一丈), 넓이(廣)는 가히(可) 10인(十人)이 앉을 수 있는 자연이 만든(天作) 감실(龕)에 한 구(一軀)의 석상(石像)을 안치하였나니(安) 이것이(此) 이른바(所謂) 불신당(佛神堂)이다. 먼 옛날 (古代) 송림사(松林寺)의 유물(遺物)인대, 등림객들이(登臨客) 향을 피우고 기도하는 사람들(香禱한 者)이 많더니, 뜻하지 않게(不意) 지난 갑술(1934)년 여름(甲戌夏)에 운악암의 중(雲岳菴僧)이 몰래 지고간바(竊負) 되여 호경리 사람들이(湖景人士..

선가(仙家)에서 먹는 요초(瑤草) 청옥(靑玉)과 자옥(紫玉)

선가(仙家)에서 먹는 요초(瑤草) 청옥(靑玉)과 자옥(紫玉) ▣ 일 시 : 2023년 05월 13일(토)~14일(일) ▣ 코 스 : 광점동-어름터-방장문-청이당-영랑대(원점회귀) ▣ 인 원 : 3명 ▣ 날 씨 : 맑음(영상 8도) 선인들의 유람록에 나오는 서대초(書帶草)와 청옥(靑玉), 자옥(紫玉)은 식물도감에 나오지 않는다. 1472년 김종직의 「유두류록」에서 "서대초(書帶草)와 유사(類似)한 풀이 있어 부드러우면서 질기고 미끄러워 깔고 앉았다 누웠다 할만하며 곳곳이 다 그러했다. [有草類書帶 柔韌而滑 可藉以坐臥 在在皆然]"라고 하였다. '서대초와 닮은 풀'은 동부능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넓은 잎 그늘사초를 가리키는 듯하다. 서대초와 그늘사초는 다른 식물이다. 서대초는 맥문동으로 추정한다. 서대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