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友堂記 1194

1611년 유몽인의 유두류산록에 나오는 용담과 숙성치

1611년 유몽인의 유두류산록에 나오는 용담과 숙성치 ▣ 일 시 : 2021년 04월 25일(일) ▣ 코 스 : 용담-외용궁마을-내용궁마을-장안제-숙성치-가마바위-숙성골-장안제-외용궁마을-남창(차량) ▣ 인 원 : 3명(김문창+1) ▣ 날 씨 : 맑음 ▣1611년 어우당 유몽인 선생의 [두류산록] 지리산 유람일정 • 2/23(한식) : 한식이 가까울 무렵, 승주(昇州) 수령 순지(詢之) 유영순(柳永詢)과 재간당에서 만나 두류산 유람 약속. • 3/27 : 승주(昇州:순천) 수령 순지(詢之) 유영순(柳永詢) 만남 • 3/28 : 남원관아→김화의 재간당(1박) • 3/29 : 재간당→반암→운봉 황산 비전→인월→백장사(1박) • 4/1 : 백장사→황계→영대촌→흑담→환희령→내원→정룡암(1박) • 4/2 : 정룡..

府使朴侯載文永世不忘碑

부사박후재문영세불망비(府使朴侯載文永世不忘碑) 소재지 : 함양군 마천면 창원리 마을 입구 행적자 : 부사 박재문(府使 朴載文) 연대 : 乾隆 38년 癸巳(영조 49년, 1773년 ) 11월 일 建 [개요] : 부사박후재문영세불망비(府使朴侯載文永世不忘碑) 부사 박재문의 영세불망비. 함양군 마천면 창원리 마을 입구에 있다. 석각의 마모가 심해 판독하기 어렵다. 입석 연대는 뒷면에 새겨져 있다.

0전도사여공의순시혜비(前都事余公意淳施惠碑)

전도사여공의순시혜비(前都事余公意淳施惠碑) 无私存公 : 사심없고 공정하게 베풀어주니 惠先貧窮 : 은혜가 빈궁한자에게 먼저 입도다. 焚券厚誼 : 채권 문서를 불사르니 정이 두텁고 餉市高風 : 배부르게 먹이니 높은 풍조로다. 互長赫世 : 공덕이 길이 뻗어 세상에 빛나니 侌隲蒼穹 : 하늘의 신선 경지에 올라갔도다. 嶠南湖北 : 경상남도와 전라북도에서 萬口頌同 : 만인의 입이 같이 칭송하도다. 소재지 :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도계공원 행적자 : 전 도사 여의순(余意淳, 1842~1895) 연대 : 1919년 건립일 : 1919년(유림에서 마천면 가흥리 성황당 암석에 새김) 이건일 : 2011년 6월(마천 면민들이 도계공원에 비를 세움) [개요] 가난한 사람들을 구휼한 공덕비. 1919년 마천 유림에서 마천면 가흥..

1611년 유몽인의 유두류산록 남원 관아에서 백장사까지

1611년 유몽인의 유두류산록 남원 관아에서 백장사까지 ▣ 일 시 : 2021년 04월 15일(수) ▣ 코 스 : 남원용성초교-목동재간당-산동면사무소-번암-황산비전-혈암 ▣ 인 원 : 2명(김문광님) ▣ 날 씨 : 맑음 ▶1611년 어우당 유몽인 선생의 [두류산록] 지리산 유람일정 • 2/23(한식) : 한식이 가까울 무렵, 승주(昇州) 수령 순지(詢之) 유영순(柳永詢)과 재간당에서 만나 두류산 유람 약속. • 3/27 : 승주(昇州:순천) 수령 순지(詢之) 유영순(柳永詢) 만남 • 3/28 : 남원관아→김화의 재간당(1박) • 3/29 : 재간당→반암→운봉 황산 비전→인월→백장사(1박) • 4/1 : 백장사→황계→영대촌→흑담→환희령→내원→정룡암(1박) • 4/2 : 정룡암→월락동→황혼동→와곡→갈월령→영..

1472년 김종직의 유두류록에 나오는 묘정암과 독녀암

1472년 김종직의 유두류록에 나오는 묘정암과 독녀암 ▣ 일 시 : 2021년 04월 14일(수) ▣ 코 스 : 적조암-돌배나무-지장사터-넓은터-금낭굴-묘정암 터-상대날등-독녀암-상대날등-기와막터-적조암 ▣ 인 원 : 3명 ▣ 날 씨 : 맑음 영상 4도 함양독바위를 독녀암(노장대)으로 부르자고 처음 제안한 분은 솔레이 이용훈 박사이다. 1472년 김종직의 유두류록에는 독녀암(獨女巖)으로 기록하고 있다. 한말 마적동에 은거했던 강지주(姜趾周, 1856~1939)의 세진대기(洗塵臺記)와 문정동에 살았던 강계형(姜桂馨, 1875-1936)의 양화대산수록(陽和臺山水錄)에 노장대(老將臺)라고 하였다. 또 다른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31권 경상도 산음현 편과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別集 제17..

미타봉과 향로봉에서 노닐다.(210407~08)

미타봉과 향로봉에서 노닐다.(210407~08) ▣ 일 시 : 2021년 04월 07일(수)~08일(목) ▣ 코 스 : 장암(마당바위)-장구목-미타봉-향로봉-일강-미타샘-고열암-의논대-선녀굴-장암(마당바위) ▣ 인 원 : 2명 ▣ 날 씨 : 맑음 작년 추석 연휴에 미타봉에서 이철우 전 함양 군수님께 화암(花巖)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들었다. 함양군 유림면 유평리에 화암(花巖) 마을이 있다는 것이다. 이 군수님은 화장사(花長寺)를 찾고 계셔서 내가 천령지에 나오는 화장사(花長寺)에 대한 자료를 보내드리고, 이 군수님께서 사숙재 강희맹(1424~1483)의 내 고향(吾鄕, 원제 : 送金修撰宗直作宰咸陽 二首) 시를 보내오셨다. 이 시는 김종직(1431~1492) 선생이 함양군수로 부임할 때, 사숙재가 송별 시..

영원사에서 군자사까지 유몽인 길을 잇다(210406)

영원사에서 군자사까지 유몽인 길을 잇다(210406) ▣ 일 시 : 2021년 04월 06일(화) ▣ 코 스 : 영원사-승탑군-사자항-산판임도-뇌전마을(장정동)-고담사-절골-매암마을-내마마을-외마마을-군자마을 ▣ 인 원 : 3명(문회장님, 김산님) ▣ 날 씨 : 맑음 영원사에서 군자마을까지의 길 안내는 함양 서복연구회 문호성 회장님이 하셨다. 영원사에서 옛길을 따르다가 태영당대일대선사(太靈堂大日大禪師) 승탑에서 잠시 발걸음을 멈추었다. 두 번째 모롱이를 돌아 함양 영원사 승탑군에서 세 사람은 삼배를 올렸다. 승탑은 모두 5기로 부도의 주인을 밝혀주는 승려의 호가 탑신에 새겨져 있다. 유일하게 생몰 연대를 알 수 있는 설파당탑(雪坡堂塔)은 덕유산 영각사를 창건한 설파상언(雪坡尙彦, 1707~1791) 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