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友堂記/마애석각 58

마천면 의탄리 새별들의 德巖 성혈(性穴, cup-mark)

마천면 의탄리 새별들의 德巖 성혈(性穴, cup-mark) 덕암(德巖)은 마천면 의탄리 새별들에 있다. 마을 사람들이 덤바우(바위)라고 부른다. 덤바우는 전라도 사투리로 큰 바위라는 의미이다. 의중 마을에 살았던 은계(隱溪) 이진우(李璡雨, 1897~1954) 선생이 이곳에 '德巖' 석각을 새겨 놓았다. 마애 석각 왼편으로 李璡雨(이진우)와 李輔雨(이보우)의 인명이 보인다. 덕암에는 15~20개의 성혈이 있다. 석각 연대는 알 수 없지만, 마천석 단단한 암질에 새겨진 여러 개의 바위 구멍이 뚜렷하다. 의탄리 새별들의 성혈은 지리산 둘레산길 3구간 바로 인근에 있어 탐방객들에게 안내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 성혈을 검색해보니 대강 네 가지로 압축된다. 1. 남녀의 성적(性的) 교합과 비슷한 행위를 통..

금계 방장제일문과 탄수(灘叟)공 비결 명문(200918)

금계 방장제일문과 탄수(灘叟)공 비결 명문(200918) ▣ 일 시 : 2020년 09월 18일(금) ▣ 코 스 : 용유담-세진대-신농산삼약초원-마적사터-마당바위-탄수대-덕암 ▣ 인 원 : 6명(조박사님, 강재두사장님, 呂사장님, 송담스님, 도필락님, 카리스마님) ▣ 날 씨 : 맑음 점필재길 여덟 모랭이 길의 방장문과 탄수대의 방장제일문은 누구의 필획이고 어떤 연관이 있는가. 지난 5월부터 방장문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고, 일주일 만에 제일방장문과 방장문을 다시 찾았다. 하나의 단서는 서복회 문 회장님이 보내온 '탄수(灘叟) 이종식(李鐘植, 1871~1945) 선생 비결 명문 논집'이다. 7언 8율의 비결문에 그 비밀이 들어있다. 비결문의 절반은 의병 운동 관련이다. 탄수(灘叟)공의 아버지 죽포 이규현(..

마적동 세진대 석각 명문과 마적사지(200918)

마적동 세진대 석각 명문과 마적사지(200918) ▣ 일 시 : 2020년 09월 18일(금) ▣ 코 스 : 용유담-세진대-신농산삼약초원-마적사터-마당바위 ▣ 인 원 : 4명(조박사님, 강재두님, 呂사장님) ▣ 날 씨 : 맑음 나는 평소 암자터에 식견이 없거니와 불교에 전혀 문외한이다. 2006년 세인들이 세석산장 앞 영신사라는 곳을 답사한 후, 의문이 들어 김종직의 유두류록과 기행시를 찾아서 읽게 되었다. 이 후 지장사지, 두류암지, 상류암지, 수곡골의 은정대, 고령암 터 등, 폐암자터 몇 군데를 답사한 것이 고작이다. 지난 5월 초 유몽인의 ‘유두류산록’에 나오는 마적사지 답사한 일이 있다. 이번에도 적은(跡隱) 강지주 (姜趾周 1856∼1939) 공의 현손(玄孫)인 신농산삼약초원 강재두(姜在斗) 님..

의탄 금계 방장제일문 주변의 마애 석각 명문

의탄 금계 방장제일문 주변의 마애 석각 명문 나는 사물을 보는 문리가 트이지 않아 수없이 발품을 팔아야 한다. 얼마 전 함양 서복회 문 회장님께 1922년 마암당을 지은 은계 이진우(李璡雨, 1897~1954) 공의 아들이 의중 마을에 산다는 정보를 듣고, 이용대(은계 이진우 선생의 子) 어르신을 찾아뵌 일이 있다. 그날 어르신께 금계 방장 제일문(方丈第一門)의 이름을 종조부 이종식(李鍾植, 1871~1945) 공이 지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경주이씨 세보를 확인하니 은계 이진우(李璡雨, 1897~1954) 선생과는 숙질간이다. 1922년 4월 16일에서 20일까지 함양 고적 보존회에서 함양군수 민인호(閔麟鎬)가 추범(秋帆) 권도용(權道溶, 1877~1963) 선생을 고적 조사원으로 삼아, 토목 기수..

방장제일문과 방장문 석각에 대하여

방장제일문과 방장문 석각에 대하여 2020년 5월 16일 점필재 루트인 구롱 길의 여덟 모롱이에서 방장문 석각의 발견은 뜻밖의 일이었다. 7월 첫 주 함양서복연구회와 합동 답사를 한 후, 문호성 회장님에게 은계 마을에 방장제일문 석각이 있다는 정보를 들었다. 긴 장마로 차일피일하다가 광복절 연휴를 맞아 2박 3일로 답사를 하게 되었다. 산행을 마치고 금계의 방장제일문과 점필재 길의 방장문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온라인에서 방장제일문 관련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초벌 국역을 하였다. 灘叟(탄수) 이종식(李鍾植, 1871~1945) 선생과 1922년 마암당을 지은 은계(隱溪) 이진우(李璡雨, 1897~1954) 선생은 叔姪間(숙질간)이다. 의중 마을 이용대 어른의 종조부 탄수(灘叟) 이종식(李鍾植, 1871~1..

1923년 개벽 제34호 지리산보에 나오는 이진우

1923년 개벽 제34호 지리산보에 나오는 마암당을 지은 이진우(李璡雨) 1923년 개벽 제34호 지리산보에 나오는 함양명승고적보존회(보승회) 이진우(李璡雨)와 벽송사 僧 일동이 건축한 마암당의 위치에 대해 논란이 있었지만, 그 위치는 현 마암(좌표 : N 35.36130, E 127.73525, 해발1536m)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그렇다면 이진우(李璡雨)라는 인물은 누구일까? 지난주 임대봉씨에게 이진우(李璡雨, 1897~1954)라는 분이 의탄 의중마을 출신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함양서복연구회 문호성 회장님께 전화를 드려 도계공원에 있는 '隱溪李璡雨先生頌德碑' 사진 자료를 받았다. 1. 1923년 개벽 제34호 지리산보(1923.04.01) 함양 군수 민인호가 함양명승고적보존회(보승회)를 조직하여 동..

김종직의 구롱(九隴) 길 방장문 석각 탁본(200709)

김종직의 구롱(九隴, 아홉 모랭이)길 방장문 석각 탁본(200709) 금년 3월 14일~15일 김종직 선생의 구롱(九隴, 아홉 모랭이) 길을 찾으면서, 점필재 길 복원의 속도를 더하였다. 5월 16일에는 구롱 길의 여덟 모랭이에서 조봉근 주무관이 방장문 석각을 발견하였다. 조박사는 완폭대와 은정대 오두인 석각을 발견하였고, 석각과 인연이 깊은 사람이다. 7월 9일 탁본 사진을 보내왔고, 7월 12일 하동으로 내려가 탁본을 확인하였다. ▣ 일 시 : 2020년 5월 16일(토) 12:00경(발견) ▣ 장 소 :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구롱 길 중 여덟 모롱이) ▣ 좌 표 : E 127.741100, N 35.378400 고도, 1,097m ▣ 답사자 : 8명(조용헌 박사 외 역사문화조사단 7명) 1. 방장문..

점필재의 구롱(아홉 모롱이) 길 방장문 석각 발견(200516)

점필재의 구롱(아홉 모롱이) 길 방장문 석각 발견(200516) ▣ 일 시 : 2020년 5월 16일(토) 12:00경 ▣ 장 소 :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구롱 길 중 여덟 모롱이) ▣ 좌 표 : E 127.741100, N 35.378400 고도, 1,097m ▣ 답사자 : 8명(조용헌 박사 외 역사문화조사단 7명) 조선일보의 칼럼니스트 조용헌 박사의 취재 지원 산행을 하면서, 지리산국립공원 역사문화조사단에서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구롱(아홉 모롱이) 길을 조사하던 중, 여덟 모롱이(팔롱, 八隴)의 석문(石門)에서 방장문(方丈門) 석각을 발견하였다. 이 석문(石門)은 송대와 벽송사 그리고 엄천과 오봉리에서 천왕봉에 오르는 길목에 있다. 쉽게 설명하면 방장문(方丈門)은 지리 동북부에서 천왕봉으로 오르는 자..

대둔산 석천암 마애 석각 침석(枕石)과 수천(漱泉)에 대하여

대둔산 석천암 마애 석각 침석(枕石)과 수천(漱泉)에 대하여 대둔산 석천암 암굴 입구에 양쪽에 마애 석각 枕石(침석)과 漱泉(수천)이 있는데,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1607~1689) 선생의 필획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석천(石泉)이 나오는 암굴(巖窟) 상단 중앙에 '일엄(一广)'이라는 마애 석각이 있다. 일엄(一广)은 조선 후기 영조와 순조 때에 충남 연산에 살았던 김장생의 6대손인 김상일(金相日, 1756~1822)이라는 인물이다. 김상일(金相日)의 문집 『일엄유고(一广遺稿) 』 권지삼(卷之三) 부록(附錄) 묘지문(墓誌文)에 1805년(순조 5년) '일엄(一广)'의 나이 50세에 '大芚山에 一广枕石漱泉濯纓仁智라는 열 글자를 새겼다.‘라는 기록이 있다. 枕石漱泉(침석수천)은 '돌을 베개로 삼고 ..

세이암 마애 명문 전 판서 최익현 외

세이암 마애 석각 명문 전 판서 최익현 외 前判書 崔益鉉 成彛永 崔鎭晏 李圭在 崔柄采 司果 崔廷鉉 崔柄訓 崔鎭璿 郭漢紹 崔尙鉉 ☞ 면암선생문집 부록 이해(1902년) 봄에 하동(河東)에 있는 종인(宗人) 최정현(崔廷鉉)이 횡천(橫川)에 문창후의 사당을 다시 설립하고 전에는 금천(琴川)에서 제향하였는데 이번에 옮겨 세웠다. 봉안(奉安)하는 날짜를 통고하면서 선생에게 참석하기를 굳이 청했다. 마침 문인 유기석(柳淇錫)ㆍ신종식(愼宗軾)과 종인 최기호(崔基鎬)가 와서 뵙고, 두류산을 관람하기에는 이번이 알맞은 시기라고 하였다. 선생이 이로 인해서 길을 떠났는데 문인 곽한소(郭漢紹)가 모시고 따랐다. 출처 : http://blog.daum.net/jirisanlove/7682947 ○임인년(1902, 광무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