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友堂記 1195

사리암터 승탑(부도탑) 지대석 발견(180706~07)

사리암터 부도탑(승탑) 지대석 대좌 발견(180706~07) ▣ 일 시 : 2018년 07월 06일 ~ 07일 ▣ 장 소 : 하동군 화개면 소재 사리암터 ▣ 인 원 : 2명(완폭대님과) ▣ 석 물 : 부도탑(승탑) 지대석 사리암 폐사지 승탑(부도) 터 위에 釘 맞은 판석이 흙속에 묻혀있다는 정보를 듣고, 2018년 07월 6일~7일 양일간 沙里庵址(사리암지)를 답사하였습니다, 첫날 흙을 일부 걷어내니 판석 중간에 원형 홈이 있어서 사진을 찍어서 임병기(30년 동안 전국 승탑을 모두 답사하신 분 http://blog.daum.net/12977705) 선생님께 캇톡으로 보내니 부도탑(승탑) 지대석이라고 확인해 주셨습니다. 다음 날 주변의 흙과 돌을 걷어내고 계측을 해보니 가운데에 직경 60cm되는 원형 홈이..

1610년 박여량의 두류산일록에 나오는 兩流菴(180623~24)

1610년 박여량의 두류산일록에 나오는 兩流菴(180623~24) ▣ 일 시 : 2018년 06월 23일 ~ 23일 ▣ 코 스 : 새재-상류암터-독바위-석문-부도터-어름터-두류암터-광점동 ▣ 인 원 : 출발 4명(一丁님, 솔박사님, 송연목님), 독바위 (미산님, 조박사님), 무명암자부도터(조봉근님), 어름터(조중제님) ▣ 날 씨 : 한여름 날씨 지리는 바야흐로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가 쟁명하는 곳이 되었다. 산행의 流派(유파)를 굳이 분류한다면, 足遊家(족유가)가 있고 目遊家(목유가)가 있고 食遊家(식유가)가 있고 酒遊家(주유가)가 있고, 心遊家(심유가)가 있고, 수많은 자료로 모아 놓고 삿(邪ㅅ)된 소설을 쓰는 小說家가 있고, 심지어 내로남불 黃鳥歌(황조가)를 읊으며 짝을 찾아 求愛(구애)를 하는 獵色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