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盈科後進/고전향기

선(禪)의 깨달음과 무애행(無碍行)

도솔산인 2012. 11. 13. 08:45

 

선(禪)의 깨달음과 무애행(無碍行)

 

 세상이 발전할수록 사람들은 차별상(差別相)을 보는 눈만 더 밝아진다. 날마다 갖가지 달라진 모습으로 전개되는 세상 변화를 읽어내지 못하면 사회의 경쟁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다는 강박감에 사람들은 짓눌리고 있다. 그렇지만 낱낱이 펼쳐지는 차별상이 하나의 전체성(全體性)의 현현(顯現)임을 통찰할 수만 있다면,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고요한 마음의 평온을 얻어서 차별상을 헐떡이며 쫓아다니지 않고도 차별상의 정체를 더 잘 간파할 수 있지 않을까. 전체성을 잊은 채 차별상만 보면, 우리는 피아(彼我)를 나누고 득실을 따지는 소모적인 갈등과 싸움을 벗어날 길이 없을 것이다.

 

 우리 불교의 역사에는 소위 무애행이라는 파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고승들이 있어왔다. 술을 마시고 고기를 먹는 등 종단의 계율을 깨뜨리는 모습만을 보면 분명 파격이요 일탈이지만, 일체가 하나의 전체성임을 온 몸으로 보여준 그들의 걸림 없는 삶은 많은 사람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어 차별상에만 머무는 사람들의 눈을 틔워 주었다. 신라의 원효(元曉), 조선의 진묵(震黙), 구한말의 경허(鏡虛 1846-1912) 등이 그러한 인물들이다. 이들은 종단의 기득권을 버리고 야승(野僧)에 가까운 삶을 살면서 민중에게 가까이 다가갔다는 점에서도 우리에게 감동을 준다. 그 중에서도 경허는 불과 100년 전에 살았던 인물이라 우리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온다.

 

 스님의 풍모와 생활 모습을 말하자면, 신장은 크고 용모는 예스러웠으며 뜻과 기운은 과감하고 음성은 큰 종소리 같았으며, 세상의 일체 비방과 칭찬에 동요하지 않음이 산과 같아서 자신이 하고 싶으면 하고 그만두고 싶으면 그만두어 남의 눈치를 전혀 보지 않았다. 그래서 술과 고기도 마음대로 마시고 먹었으며 여색(女色)에도 구애되지 않은 채 아무런 걸림없이 유희(遊戱)하여 사람들의 비방을 초래했다. 이는 이통현(李通玄) ・ 종도(宗道)와 같은 옛사람들처럼 광대한 마음으로 불이법문(不二法門)을 증득하여 자유로이 초탈한 삶을 산 것이 아니겠는가. 아니면 때를 만나지 못하여 하열(下劣)한 사람의 자리에 자신을 숨긴 채 자신을 낮추고 도(道)를 스스로 즐긴 것이 아니겠는가. 홍곡(鴻鵠)이 아니면 홍곡의 큰 뜻을 알기 어려운 법이니, 크게 깨달은 사람이 아니면 어떻게 작은 절개에 구애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스님의 시에, 

酒或放光色復然 : 술도 혹 방광하고 여색도 그러하니

貪嗔煩惱送驢年 : 탐진치 번뇌 속에서 나귀의 해를 보내노라 

佛與衆生吾不識 : 부처와 중생을 나는 알지 못하노니

平生宜作醉狂僧 : 평생토록 술 취한 중이나 되어야겠다

라 하였으니, 스님의 일생 삶의 모습을 잘 표현한 것이다.

 

♣ 放光 : 1. 빛을 내쏨. 또는 그 빛. 2. 부처가 광명을 냄. 與 : 及, 且, 若 ~및, ~과.  宜 : 當(마땅히 ~해야한다) 作 : 爲

 

 그러나 안거(安居)할 때는, 음식은 겨우 숨이 붙어 있을 정도로 먹고 종일토록 문을 닫고 앉아서 말없이 침묵하며 사람을 만나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어떤 사람이 큰 도회지에 나가 교화를 펴기를 권하니, 스님은 말하기를 “내게 큰 서원이 있으니, 발이 경성의 땅을 밟지 않는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그 우뚝하고 꿋꿋한 풍모가 이와 같았다.

천장암(天藏庵)에 살 때에는 추운 겨울에도 더운 여름에도 한 벌 누더기 옷을 갈아입지 않아 모기와 파리가 온 몸을 물고 이와 서캐가 옷에 가득하여 밤낮으로 물어뜯어 피부가 다 헐었는데도 고요히 움직이지 않은 채 산악처럼 앉아 있었다. 하루는 뱀이 몸에 올라가 어깨와 등을 꿈틀꿈틀 기어 다녔다. 곁에 있던 사람이 보고 깜짝 놀라 말해주었으나 태연히 개의치 않으니, 조금 뒤 뱀이 스스로 물러갔다. 마음이 도(道)와 합일한 경지가 아니면 어찌 이와 같을 수 있겠는가.

 

 한번 앉아서 여러 해를 찰나처럼 보내더니, 하루는 절구 한 수를 읊었다.

 

世與靑山何者是 : 속세와 청산 어느 것이 옳은가

春城無處不開花 : 봄이 오매 어느 곳이건 꽃이 피는 것을

傍人若問惺牛事 : 누가 나의 경지를 묻는다면

石女心中劫外歌 : 돌계집 마음 속에 겁외가라 하리라

 

그리고는 짚고 다니던 주장자를 꺾어서 문 밖에 집어 던지고는 훌쩍 산을 나와서 곳곳마다 다니면서 교화를 펴되 기존 교단(敎團)의 형식이나 규율의 굴레를 벗어나 때로는 저잣거리를 유유자적하면서 세상 사람들과 섞여 어울리고 때로는 산 속의 솔 그늘 아래 누워 한가로이 풍월을 읊었으니, 그 초일(超逸)한 경지를 사람들은 헤아려 알 수 없었다.

 

[若論其行履, 則身長貌古, 志氣果强, 聲若洪鐘, 具無碍辯, 對八風, 不動如山, 行則行, 止則止, 不爲人之打之遶. 故飮餤自由, 聲色不拘, 曠然遊戱, 招人疑謗. 此乃以廣大心, 證不二法門, 超放自如, 如李通玄宗道者之流乎! 抑亦不遇而慷慨, 藏身於下劣之地, 以卑自牧而以道自樂歟! 非鴻鵠, 難知鴻鵠之志; 非大悟, 安能不拘於小節哉! 和尙詩有“酒或放光色復然, 貪嗔煩惱送驢年” ・ “佛與衆生吾不識, 平生宜作醉狂僧”之句, 寫出其一生行履也. 然其安處也, 食纔接氣, 掩關終日, 沈然寡言, 不喜見人. 或勸揚化於大都, 則曰: “吾有誓願, 足不踏京城之地.” 其卓越勁挺, 蓋如此. 住天藏庵時, 一領鶉衣, 寒暑不改, 蚊蚋繞身, 虱兒滿衣, 晝夜侵齧, 肌膚瘡爛, 寂然不動, 坐如山嶽. 一日, 有蛇上身, 蟠蜿於肩背, 傍人驚告, 泰然無心; 小焉蛇自引去. 非與道凝精, 孰如是哉! 一坐多年, 如經刹那. 一朝有吟一絶云: “世與靑山何者是? 春城無處不開花. 傍人若問惺牛事, 石女心中劫外歌”, 遂拗折拄杖, 擲於門外, 翩然出山, 隨方宣化, 脫落科臼, 不存軌則, 或懶戱成市, 混同眞俗; 或閑臥松亭, 嘯傲風月. 其超逸之趣, 人莫能測.]

- 한암(漢巖) 중원(重遠 1876-1951) 〈선사경허화상행장(先師鏡虛和尙行狀)〉 《경허집(鏡虛集)》

 

 

▶경허선사가 기거하며 수도하였던 천장암 (출처: 불교신문)

 

제자인 한암(漢巖)이 쓴 〈선사경허화상행장〉의 일부이다.

이통현(李通玄 635~730)은 당(唐)나라 때 학자로 승려가 아니라 장자(長者)로 불리는데, 두 여인의 봉양을 받으면서 불후의 명저인 《화엄론(華嚴論)》을 지었다고 한다. 종도(宗道)는 송(宋)나라 때 승려로서 선(禪)의 경지는 높았으나 술을 좋아하여 늘 술에 취해 지내니, 사람들이 술을 대접하였다. 어느 날에는 목욕하려다가 누가 술을 가져오자 옷을 벗은 채 뛰어 나가서 술을 받아들고 들어갔다고 한다. 남의 비방과 칭찬을 아랑곳하지 않고 자기 마음 내키는 대로 진솔하게 산 경허의 모습과 흡사하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경허는 일상에서 음주 식육에 걸림 없는 일탈도 서슴지 않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누구도 따를 수 없을 만큼 자기 수행에 철저했다. 또한 큰 도회지에 나가서 활동하면 신도들이 많이 따라 여불(如佛) 대접을 받으며 풍족한 생활을 할 수 있을 터인데도 발로 경성 땅을 밟지 않기로 맹서했다고 한 사실에서 그가 명리(名利)를 멀리한 맑고 곧은 지조를 지녔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 않았다면, 그의 문하에서 근세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고승들이 배출될 수 있었겠는가. 무애행 일면만으로 경허의 전체를 판단해서는 안 될 것이다.

 

경허의 문집인 《경허집》에 실린 한시를 보면, 대개 자신의 심경과 삶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내 놓았다. 조선시대 승려들의 문집을 보면, 대개 한시에 옛 선어록(禪語錄)의 화두나 게송(偈頌)들을 많이 인용하여 상투적인 표현과 문자들이 자주 등장한다. 옛 선사(禪師)의 게송을 아예 본뜬 것 같은 작품들도 있다. 그래서 읽다 보면 식상하기 쉽다. 그런데 경허의 한시는 가식과 체면을 벗어던지고, 심지어 한시 작품으로서의 성패도 아랑곳 않고 자신의 심경을 솔직하게 표출해 놓았다.

 

酒或放光色復然 : 술도 혹 방광(放光)하고 여색도 그러하니

貪嗔煩惱送驢年 : 탐진치 번뇌 속에서 나귀의 해를 보내노라

 

<불명산 윤필암에 들러서 우연히 읊다[過佛明山尹弼庵偶吟]>란 제목의 절구 중 앞의 두 구(句)이다. 방광은 원래 불보살(佛菩薩)이 하는 것인데, 술과 여색(女色)도 방광한다고 하였다. 불교에서는 모든 중생이 본래 부처라 하였고, 나아가서 온 우주의 삼라만상이 부처 아님이 없다고 하였다. 그래서 좋다 싫다, 중생이다 부처다 분별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으면, 술과 여색도 고기도 부처의 모습 아님이 없다는 것이다. 나귀는 십이간지(十二干支)에는 없는 동물이다. 따라서 나귀의 해란 없는 것이다. 그런데 왜 나귀의 해를 보낸다고 했을까. 불교에서는 시간과 공간은 원래 없다고 한다. 원래 우주는 전체성인 하나의 성품[一性] 뿐인데, 사람들이 스스로 세상과 세상에 대응하는 나를 설정해 놓음으로써 공간이 벌어지고 공간의 전개되는 모습을 보고 시간이 가고 있다고 착각한다는 것이다. 불교에서는 탐(貪)・진(嗔)・치(癡)를 삼독(三毒)이라 하여 일체 번뇌의 근본이 된다고 한다. 그러나 시간과 공간이 본래 없고 온 우주가 하나의 성품 뿐이라면, 탐・진・치 삼독도 그 자성(自性)이 따로 없어 그 자체가 본래 공(空)하다. 따라서 번뇌 망상이 일어나는 이대로 번뇌 망상이 본래 없는 것이다. 세상의 번뇌 속에서 본래 번뇌가 없는 세계에 노니는 경허 자신의 심경을 표현한 것이다.

 

佛與衆生吾不識 : 부처와 중생을 나는 알지 못하노니

平生宜作醉狂僧 : 평생토록 술 취한 중이나 되어야겠다.

 

 

<술 취하여[作醉]>란 제목의 절구 중 앞의 두 구이다. 불교는 본래 불이법(不二法), 즉 모든 것이 둘이 아닌 이치이다. 불이법이라면, 세상의 모든 차별상(差別相)이 둘이 아니고 그 차별상이 둘이 아님을 보고 있는 나도 그 차별상의 세계와 둘이 아니다. 따라서 성불(成佛)을 목표로 삼지만, 부처를 좋아하고 중생을 싫어한다면 그것이 바로 중생의 분별심이고 불이법이 아니다. 그래서 경허는 깨닫고 보니 부처니 중생이니 하는 것들이 모두 덧없는 말일 뿐, 모두가 본래 한 성품의 현현(顯現)일 뿐이니, 불법(佛法)을 말하는 따위의 좀스럽고 구차한 짓은 하지 않고 그저 술이나 마시며 살겠다고 한 것이다.

 

世與靑山何者是 : 속세와 청산 어느 것이 옳은가

春城無處不開花 : 봄이 오매 어느 곳이건 꽃이 피는 것을

傍人若問惺牛事 : 누가 나의 경지를 묻는다면

石女心中劫外歌 : 돌계집 마음 속의 겁외가라 하리라

 

 

이 시는 경허가 동학사에서 오도(悟道)한 뒤 천장암(天藏庵)에서 소위 보임(保任) 공부를 마친 뒤에 읊은 것으로 자신의 경지를 가장 간약(簡約)하고 분명히 표현하고 있다. <제홍주천장암(題洪州天藏庵)>이란 제목으로 《경허집》에 실려 있다.

 

봄이 오면, 청산 속이든 저잣거리든 어느 곳이고 꽃이 피듯이 속세와 청산이 본래 둘이 아니고 한 성품의 표현일 뿐이다. 그래서 경허는 이 게송을 읊은 뒤로 산을 내려가 저잣거리에서 세상 사람들과 어울려 술잔을 기울이기도 하고 청산 속에서 한가로이 선열(禪悅)을 즐기기도 했던 것이다.

 

우주와 삼라만상은 성(成)・주(住)・괴(壞)・공(空), 즉 생성・유지・소멸을 반복하는데, 불교에서는 이를 겁(劫)이라 한다. 겁외가(劫外歌)는 겁 밖의 노래란 말로 생사를 벗어난 해탈의 노래를 뜻한다. “돌계집 마음 속의 겁외가”, 이것은 경허가 일상에서 보고 느끼는 자신의 경계(境界)를 그대로 표현한 것이다. 불교에 의하면, 중생은 본래의 전체성인 하나의 불성(佛性)이 본래의 자기임을 잊고 세상과 세상을 대응하는 자기가 따로 있는 줄로 착각하여, 그 자기와 세상 사이에서 끊임없는 번뇌와 갈등을 일으킨다. 이렇게 세상과 나를 분별하는 생각을 정식(情識)이라 한다. 사람들은 이 정식으로 세상을 대응하고 사물을 파악하는 과정을 두고 자신이 살아 있다고 생각하며, 정식을 놓으면 공허(空虛)한 데 떨어져 자신은 죽어 없어진다고 막연히 생각한다. 그러나 불법에 의하면, 본래 나도 없고 내가 따로 대응할 세상도 없어 오직 하나의 성품뿐이므로, 정식은 일어나되 일어나는 그 자리[當處]가 본래 텅 비어 공(空)하다. 따라서 정식이 허공꽃과 같이 체성(體性)이 없는 것임을 투철히 알면, 정식이 아무리 일어나도 나에게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정식이 일어남이 없이 일어나는 것을 경허는 아무런 감정이 없는 돌계집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겁외가라고 표현한 것이다. 돌계집은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인을 뜻하는 말로도 쓰이지만, 여기서는 목녀(木女), 석인(石人)과 같은 말로 돌로 만든 사람이란 뜻이다. 한시의 평측(平仄)을 맞추기 위해 평성인 인(人) 자 대신 측성인 녀(女) 자를 썼을 뿐이다.

 

선사(禪師)들 중에는 과감하고 파격적인 사람도 많고, 뛰어난 게송과 선시(禪詩)를 많이 남긴 이들도 있다. 이들은 현묘한 선(禪)의 이치를 묘파(描破)하고 고인의 언구(言句)를 희롱하여 소위 염송(拈頌) 문학의 꽃을 펼쳐 놓았다. 그것을 집대성해 놓은 꽃밭이 고려 진각국사 혜심(慧諶)의 《선문염송(禪門拈頌)》이다. 그러나 고래(古來)로 “술도 혹 방광하고 여색도 그러하니, 탐진치 번뇌 속에서 나귀의 해를 보내노라.”라고, 경허와 같이 자신의 심경을 진솔하게 노래한 이가 또 있었던가. 광목을 찢어서 만든 의용군의 깃발로나 비유할까. 경허의 시는 자유분방한 선(禪)의 세계에서도 보기 드문 독특한 작품이라 아니할 수 없다.

 

 

이상하 글쓴이 : 이상하
  •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교무처장
  • 주요저서
    - 한주 이진상의 주리론 연구, 경인문화사
    - 유학적 사유와 한국문화, 다운샘(2007) 등
  • 주요역서
    - 읍취헌유고, 월사집, 용재집,아계유고, 석주집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