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1년 유몽인의 유두류산록(전문)
▣1611년 어우당 유몽인 선생의 [두류산록] 지리산 유람일정 • 2/23(한식) : 한식이 가까울 무렵, 승주(昇州) 수령 순지(詢之) 유영순(柳永詢)과 재간당에서 만나 두류산 유람 약속. • 3/27 : 승주(昇州:순천) 수령 순지(詢之) 유영순(柳永詢) 만남 • 3/28 : 남원관아→김화의 재간당(1박) • 3/29 : 재간당→반암→운봉 황산 비전→인월→백장사(1박) • 4/1 : 백장사→황계→영대촌→흑담→환희령→내원→정룡암(1박) • 4/2 : 정룡암→월락동→황혼동→와곡→갈월령→영원암→장정동→실덕리→군자사(1박) • 4/3 : 군자사→의탄촌→원정동→용유담→마적암→송대→두류암(1박) • 4/4 : 두류암→석문→옹암→청이당→영랑대→소년대→천왕봉→향적암(1박) • 4/5 : 향적암→영신암→의신사(1박) • 4/6 : 의신사→홍류동→신흥사→만월암→여공대→쌍계사(1박) • 4/7 : 쌍계사→불일암→화개동→섬진강→와룡정→남원 남창(1박) • 4/8 : 남창→숙성령→남원부 관아 ▣ 동행 : 龍城 수령 於于堂 柳夢寅, 承州 수령 詢之(순지) 柳永詢, 在澗堂(재간당) 進士 金澕(김화), 생질 [申尙淵, 申濟] 雲峰 수령 伯蘇(백소) 李復生(이복생) |
1. 두류산 유람을 떠나기로 지인들과 약속하고 지리산 백장사에 들다.
나는 벼슬살이에 종사하면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바쁘게 지낸 것이 벌써 23년이다. 스스로 헤아려보니 외람되게 청현직(淸顯職 : 지평 헌납 장령 등)에 있으면서 임금 계신 곳에 출입한 것도 오래되었으니, 불초한 나에게는 너무 과분한 것이었다. 이제 늙은 데다 잔병이 잦아지니 물러나 유유자적하는 것이 마땅하다. 나는 평소 산과 바다를 즐겨 유람하였으며 귤․ 유자․ 매화․ 대나무 등이 어우러진 시골에서 살고 싶었다.만력(萬曆) 신해년(1611년, 광해군 3년) 봄에 벼슬을 사양하고 식구들을 거느리고서 고흥(高興)의 옛날 집으로 향하려 하였는데 전부터 알고 지내던 조정의 대부들이 내가 아직 상늙은이가 아닌데도 미리 물러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용성(龍城:남원)의 빈자리에 나를 추천하여 은혜롭게도 수령으로 임명되었다. 나는 용성은 고흥과 1백 리도 채 안되는 거리이므로, 돌아가는 길에 잠시 행장을 풀어놓고 쉬어가는 것도 무방하리라고 생각하였다.
2월 초에 임지로 부임했는데 용성은 큰 고을이라 공문을 처리하는 데 정신없이 바빴다. 게으르고 느긋한 나로서는 감당할 만한 일이 아니어서 마음이 편치 않았다. 한식(寒食)이 가까울 무렵, 승주(昇州:순천) 수령 순지(詢之) 유영순(柳永詢) 이 용성의 목동(木洞) 선영에 성묘하러 왔는데, 나는 불초한 내가 이 고을의 수령으로 있으니 나보다 선배인 순지에게 예모를 갖추어야 겠다고 생각하였다. 나는 목동 수용암(水舂巖) 근처 수석의 빼어난 경관에 꽤나 마음을 기울였다. 진사 김화(金澕)가 그곳에 살고 있는데, 집의 이름을 재간당(在澗堂)이라 하였다. 재간당은 두류산 서쪽 기슭에 있어, 서너 겹으로 둘러쳐진 구름 낀 봉우리를 누대 난간에서 마주 바라볼 수 있었다.두류산은 일명 방장산(方丈山)이라고도 하여, 두보(杜甫)의 시에, ‘방장산은 바다 건너 삼한에 있네’라는 구절이 있는데, 그 주석에 ‘방장산은 대방국(帶方國) 남쪽에 있다.’고 되어 있다. 지금 살펴보니, 용성의 옛 이름이 ‘대방’(帶方)이니 그렇다면 두류산은 곧 삼신산(三神山)의 하나이다. 진시황(秦始皇)과 한 무제(漢武帝)는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 삼신산을 찾게 하느라 쓸데없이 공력을 허비하였는데, 우리들은 앉아서 이를 구경할 수 있다. 술이 거나하게 취했을 때, 내가 술잔을 들고 좌중의 사람들에게 말하기를,“나는 올 봄에 두류산을 마음껏 유람하여 오랜 소원을 풀고 싶은데 누가 나와 유람하시겠는가?” 라고 하였다. 순지가 말하기를,“내가 영남 지방의 감사로 나왔을 적에 이 산을 대략 유람했지만 종자들이 너무 많아서 한 방면도 제대로 구경하지 못하다가 내가 승주로 부임해오게 되어 우연히 이 산과 이웃하게 되었소. 아침에 출발하여 저녁이면 도착할 수 있는 거리지만 어찌 혼자 쓸쓸히 유람을 할 수 있겠소? 그대와 유람하게 되었으니 이제는 외롭지 않을 것 같소.”라고 하였다. 드디어 굳게 약속하고 술자리를 파하였다. 그 뒤에 여러 번 서신을 교환하며 재간당(在澗堂)에서 만날 날을 기약하였다.
3월 27일 정묘일. 순지가 약속한 날에 도착하였다. 28일 무진일. 처음 약속했던 장소에서 다시 모여 술자리를 베풀었는데, 기생들이 노래하고 악기를 연주하여 모두들 실컷 취하고 한밤중이 되도록 술자리가 이어져 그대로 시냇가 재간당에서 잤다. 29일 기사일. 수레를 준비하도록 하여 서둘러 떠났는데, 순지는 술이 덜 깨 부축해 수레에 태웠다. 재간당 주인 김화(金澕)와 순창(淳昌)에 사는 내 집안 생질 신상연(申尙淵)과 천한 몸에서 난 인척 생질 신제(申濟)도 나를 따라 동쪽으로 향했다. 요천(蓼川)을 거슬러올라 반암(磻巖)을 지났다. 온갖 꽃이 만발하는 철인 데다 밤새 내린 비가 아침에 개이니, 꽃을 찾는 흥취가 손에 잡힐 듯하였다. 정오 무렵 운봉(雲峯) 황산(荒山)의 비전(碑殿)에서 쉬었다.
만력 6년(1578년, 선조 11년) 조정에서 운봉 수령 박광옥(朴光玉)의 건의를 받아들여 비로소 비석을 세우기로 의논하였다. 그리하여 대제학 김귀영(金貴榮) 이 기문(記文)을 짓고, 여성위(礪城尉) 송인(宋寅)이 글씨를 쓰고, 판서 남응운(南應雲)이 전액(篆額)을 썼다. 지난 고려 말 왜장 아기발도(阿只拔都)가 많은 병사를 거느리고 영남 지방을 침략하였는데, 그가 향하는 곳은 모두 견디지 못하고 무너졌다. 그 나라의 참위서(讖緯書:비결서)에 “황산에 이르면 패하여 죽는다”라고 하였는데, 산음(山陰) 땅에 ‘황산(黃山)’ 이란 곳이 있어 그 길을 피해 사잇길로 운봉 땅에 들이닥친 것이다. 그때 우리 태조(太祖) 강헌대왕(康獻大王)께서 황산의 길목에서 기다리다 크게 무찌르셨다. 지금까지 그 고을 노인들이 돌구멍을 가리키며, ‘옛날 깃발을 꽂았던 흔적’이라고 한다. 적은 군사로 감당하기 어려운 적과 싸워 끝없는 터전을 우리에게 열어주셨으니, 어찌 단지 하늘의 명과 인간의 지모 이 둘만을 얻어서이겠는가? 그 땅의 형세를 살펴보면 바로 호남과 영남의 목을 잡는 형국이다. 길목에서 치기에 편한 것이, 바로 병가(兵家)에서 말하는 ‘적은 수로 많은 수를 대적하는 방법’이다.지난 정유년(1597년, 선조 30년) 왜란 때, 양원(楊元) 등은 이 길을 차단할 줄 모르고 남원성을 지키려다 적에게 크게 패하고 말았다. 이 어찌 땅의 이로움을 잃어서 그런 것이 아니겠는가. 비석 곁에 혈암(血巖)이 있었는데 이 고을 사람들이 말하기를,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 이 바위에서 피가 흘렀는데, 끊이지 않고 샘처럼 솟아났다. 이 사실을 서울에 알렸는데 답변이 오기도 전에 왜적이 남쪽 변경을 침범하였다’라고 하였다. 아! 이곳은 태조대왕께서 위대한 공을 세우신 곳이니, 큰 난리가 일어나려 할 때 신이 알려준 것인가 보다.
운봉 수령 백소(伯蘇) 이복생(李復生)이 내가 온다는 말을 듣고 미리 역참(驛站)에 나와 기다리고 있었다. 술을 몇 순배 돌리고 나서, 곧바로 일어나 함께 길을 떠났다. 시내를 따라 10여 리쯤 가니 모두 앉아 구경할 만한 곳이 있어 수레에서 내려 시냇가에 앉아 쉬었다. 북쪽으로부터 산세는 점점 높아지고 길은 점점 험난해져, 말이 끄는 수레에서 남녀(藍輿)로 바꾸어 타고 백장사(百丈寺)로 들어갔다. 순지는 숙취가 아직 풀리지 않아 먼저 불전(佛殿)으로 들어가 누웠는데, 코를 고는 소리가 우레처럼 들렸다.어린아이가 꽃 두 송이를 꺾어 가지고 왔다. 하나는 불등화(佛燈花)라고 하는 꽃인데 연꽃만큼 크고 모란꽃처럼 붉었다. 그 나무는 두어 길이는 됨직하게 높았다. 다른 하나는 춘백화(春栢花)였는데 붉은 꽃받침은 산에서 나는 찻잎처럼 생겼고 크기는 손바닥만하였다. 병풍과 족자에서 본 것과 같았다. 절의 위쪽에 작은 암자가 있는데, 천왕봉을 바로 마주보고 있어 두류산의 참모습을 구경할 수 있었다.
* 요천(蓼川)은 섬진강의 지류들 중 하나로서 남원시의 중앙부를 지나 남서부의 금지면에서 섬진강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이다.하천 주위에 여뀌꽃이 많이 핀다하여 蓼(여뀌 요)川이라 한다. * 백장사(百丈寺) : 실상사에서 남원 인월 방향 국도로 3킬로미터 정도 가다가 백장휴게소가 있는 매동마을에서 우측 산도로 1킬로미터 정도 올라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원문]
1. 두류산 유람을 떠나기로 지인들과 약속하고 지리산 백장사에 들다.
余疲役名場. 薾然昕夕. 已二十三載. 自忖猥忝淸華. 出入尺五之天. 亦已多矣. 於不肖分已過矣. 即今老慵與疴恙相乘. 宜退而自適. 平生喜遊山海. 而所思在橘柚梅竹之鄕. 萬曆辛亥春. 謝簪笏挈家累. 向高興之舊業. 朝中舊識. 閔余未耋而先退. 注擬于龍城之缺而受 恩除焉. 余意龍城距高興無百里. 於歸路暫卸行裝. 不妨焉. 二月初. 來赴任所. 龍城. 巨府也. 倥偬簿領. 非慵散人可堪. 心忽忽不寧. 是時節近寒食. 昇州使君柳公詢之省先墓于龍城之木洞. 詢之於余. 先進也. 謂不肖爲邑主禮貌. 余頗恪木洞有水舂巖. 水石佳勝. 進士金澕居之. 號在澗堂. 堂在頭流山西. 煙巒三四鬟. 正與軒櫳相對. 頭流一名方丈. 杜詩有方丈三韓外之句. 註曰在帶方國之南. 今按龍城古號帶方. 則頭流乃三神山之一. 秦皇漢武浪費功於風舟者. 吾儕坐而得之矣. 酒半. 余擧觴屬坐客曰. 余欲及春縱遊頭流. 以償宿債. 孰從余遊者. 詢之曰. 余曾按嶺南. 略遊是山. 病其徒從繽繁. 未究其一隅. 洎來昇州也. 偶與是山隣. 可朝軔夕稅. 而奈踽踽何. 今焉不孤. 其與子同樂. 遂牢約而罷. 厥後申以累牘. 剋日期會于在澗堂. 越三月丁卯. 詢之如期而至. 戊辰. 復會于始約之地. 紅粧歌管酣暢. 至夜分仍宿于溪堂. 己巳. 整駕促征. 詢之扶醉登輿. 澗之主金澕與吾族侄淳昌申尙淵,姻孼侄申濟. 亦踵余而東. 沿蓼川過磻巖. 時景芳華. 夜雨朝晴. 尋芳之興可掬. 午憇雲峯荒山碑殿. 萬曆六年. 朝廷用雲峯守朴光玉牒. 始議立碑. 命大提學金貴榮記. 礪城尉宋寅書. 判書南應雲篆. 昔麗朝末. 倭將阿只拔都擧大衆寇嶺南. 所向無堅壘. 其國有緯書曰. 到荒山敗死. 山陰有黃山. 以此避其路. 間道趨雲峯. 時我 太祖康獻大王. 徼荒山之隘. 大敗之. 至今故老指石窠. 謂建旗古跡. 蓋提單師. 敵難當之賊. 以肇我無疆之基. 豈但天命人謀两得之. 度其地勢. 正扼湖嶺咽喉. 夫控隘得便. 乃兵家寡敵衆之道也. 頃者丁酉之亂. 楊元輩不知截此路. 欲守南原城. 其致挫衂. 豈非失地利而然乎. 碑之傍有血巖. 邑民稱壬辰難未作. 是巖自流血. 如泉不絶. 事聞京師未返. 倭已寇南邊矣. 吁. 此地王迹之所肇. 及其大難將興. 神其告之哉. 雲峯倅李復生伯蘇聞余至. 先候于郵亭. 酒數巡. 便起偕就道. 循溪十餘里. 皆可坐玩. 遂下轎流憇. 自北山漸高路漸艱. 舎服驂乘藍輿. 入百丈寺. 詢之宿醉未解. 已先卧佛殿. 鼾睡如雷鳴. 童子折兩花而來. 一曰佛燈花. 大如蓮花. 紅如牧丹. 樹高數丈. 一曰春栢花. 紅蕚如山茶而大如掌. 與屛簇所觀肖. 寺之上有小庵. 直對天王峯. 可以見真面目矣.
2. 산에 올라 아름다운 경치를 구경하고 정룡암에 들다.
4월 1일 경오일. 동행한 사람들은 각자 대나무 지팡이를 짚고 짚신을 신고 새끼로 동여매고서 남쪽으로 하산하였다. 물가 밭두둑을 따라 굽이굽이 난 길을 가니 큰 냇물이 앞을 가로막았다. 바로 황계(黃溪)의 하류였다. 동네가 넓게 열리고, 돌이 구를 정도로 물이 세차게 흘렀다. 북쪽은 폭포이고 아래쪽은 못인데, 못 위의 폭포수는 노하여 부르짖는 듯 쏟아져 내리며 벼락이 번갈아 치는 듯한 광경이었다. 아! 얼마나 장대한 모습인가. 길을 가다보니 푸른 소나무는 그늘을 드리우고 철쭉은 불타듯이 붉게 피어 있었다. 남여에서 내려 지팡이를 짚고 서서 쉬었다. 골짜기에 두세 집이 있는데 영대촌(嬴代村)이라 하였다. 닭이 울고 개가 짖는 마을로, 깊은 골짜기와 많은 봉우리들 사이에 있었다. 참으로 하나의 무릉도원이었다. 이 마을이 이런 이름을 갖게 된 것은 그럴 만한 이유가 있구나.한 곳에 이르니 높은 언덕에 가파른 협곡이 나타났다. 양쪽 언덕으로 길을 내놓았는데 협곡이 매우 깊었다. 그 협곡 안은 모두 돌이었다. 시냇가에도 큰 돌이 수없이 널려 있었다. 이곳의 이름을 흑담(黑潭)이라 하였다. 나는 웃으며 말하기를,“세상에 단청(丹靑)의 그림을 좋아하여 자신의 솜씨를 최대한 발휘해 화려하게 꾸며놓은 사람이 있었다네. 지금 이곳을 보니, 돌이 희면 이끼가 어찌 그리 푸르며 물이 푸르면 꽃이 어찌 그리도 붉은가? 조물주도 한껏 화려함을 뽐냈으니 그 화려함을 누리는 자는 산신령인가?” 라고 하였다.이에 녹복(祿福)은 비파를 타게 하고, 생이(生伊)는 젓대로, 종수(從壽)와 청구(靑丘)는 태평소(太平蕭)로 산유화(山有花)의 곡을 불게 하였다. 음악이 산골짜기에 울려 메아리치고, 시냇물 소리와 서로 어우러지니 즐거워할 만하였다. 어린아이에게 통을 열어 먹과 붓을 준비하게 하고, 암석 위에서 시를 지었다.황계 폭포(黃溪瀑布)를 지나 환희령(歡喜嶺)을 넘어 이어진 30리 길이 모두 푸른 노송나무와 단풍나무였으며, 비단 같은 날개를 가진 새들이 사람을 아랑곳하지 않고 날아다녔다. 내원(內院)에 이르니 두 줄기 시냇물이 합쳐지고, 꽃과 나무가 산을 이룬 곳에 절이 세워져 있었다. 마치 수를 놓은 비단 속으로 들어가는 듯하였다. 소나무 주변의 단(壇)은 숫돌처럼 평평하였고, 금빛․푸른빛의 단청이 숲 속 골짜기에 비추었다.또 천 번이나 두드려 만든 종이에 누런 기름을 먹여 겹겹이 바른 장판은 마치 노란 유리를 깔아놓은 듯, 한 점 티끌도 보이지 않았다. 머리 허연 늙은 선사(禪師)가 승복을 입고 앉아 불경을 펴놓고 있었다. 그의 생애가 맑고 깨끗하리라 여겨졌다. 이에 머무는 대신 시를 지어놓고 떠났다. 동쪽 시내를 따라 오르니 산은 깊고 물은 세차게 흘러내렸다. 한걸음 한걸음씩 올라 정룡암(頂龍菴)에 이르렀다. 앞에 큰 시내가 가로막고 있는데 냇물이 불어 건널 수 없었다. 건장한 승려를 뽑아 그의 등에 업혀서 돌을 뛰어넘으며 건넜다. 낭떠러지에 가까이 있는 바위가 자연스럽게 대(臺)를 이루었는데 그 바위를 대암(臺巖)이라 하였다. 그 아래에 시퍼렇게 보이는 깊은 연못이 있었지만 겁이 나 내려다볼 수 없었다.그 연못에 사는 물고기를 가사어(袈裟魚)라 부르는데, 조각조각 붙은 논 혹은 한 조각씩 기워 만든 가사(袈裟) 같은 모양의 비늘이 있다고 하였다. 이 세상에 다시없는 물고기로, 오직 이 못에서만 알을 낳고 새끼를 기른다고 한다. 이에 어부를 시켜 그물로 잡게 하였으나, 수심이 깊어 새끼 한 마리도 잡지 못하였다.이 날 저녁 伯蘇(백소)[雲峰 수령李復生(이복생)]가 하직하고 돌아가다가 내원에서 묵었다. 나는 내원이 깨끗하고 고요한 것을 사랑하여 처음에는 그곳으로 돌아가 자려고 하였다. 그러나 정룡암에 이르자 지쳐서 그럴 수 없었다. 심하구나! 나의 쇠함이여.정룡암 북쪽에 한 채의 집이 있었는데. 이 암자의 승려가 말하기를,“이곳이 바로 판서(判書) 노진(盧禛) 의 서재였습니다.” 라고 하였다. 옛날 옥계(玉溪) 노진(盧禛) 선생이 자손들을 위해 지은 것이다. 선생도 봄날의 꽃구경과 가을날의 단풍놀이를 하러 왔으며, 흥이 나면 찾은 것이 여러 번이었다. 아! 새소리도 들리지 않는 깊은 산 속 외딴 곳에 자제들을 위해 집을 짓고 살게 했으니, 선생의 깨끗한 지취는 후학을 흥기시킬 수 있겠구나.
노진(盧禛)[1518~1578] 조선 중기 남원에서 활동한 문신. 옥계(玉溪) 노진(盧禛)[1518~1578]은 조선 중기 명종과 선조 연간에 주로 활약한 문신으로, 30여 년 동안 청현(淸顯)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지례현감과 전주부윤 등 외직에 나가서는 백성에게 선정을 베풀어 청백리로 뽑히기도 하였다. 성리학과 예악에 밝았다. 노진은 1518년(중종 13) 함양군 북덕곡 개평촌에서 태어났으나 처가가 있는 남원에 와서 살았다.
[원문]
2 산에 올라 아름다운 경치를 구경하고 정룡암에 들다.
四月朔日庚午. 同行者各扶竹杖. 着芒鞋結繩綦. 南行下山. 徑水畦邐迤而去. 有大川橫焉. 乃黃溪下流也. 洞府寬敞. 奔流駕石. 而北瀑下潭. 潭上瀑紛崩吼怒. 作霹靂交轟狀. 何其壯也. 行見蒼松落陰也. 躑䕽如燃也. 輒下藍輿. 倚杖而息. 谷中有两三人家. 號嬴代村. 鷄鳴犬吠. 在幽谷亂峯之間. 眞一桃源也. 村之得名. 有以哉. 至一處. 高岡急峽. 拓兩厓而深其中. 其中皆全石. 溪上多太石羅列. 名曰黑潭. 余笑曰世有愛丹靑繪畫. 盡其人工. 嘗以爲奢. 今見此地. 石旣白則苔胡然而靑. 水旣綠則花胡然而紫. 天工亦太奢. 而享其奢者. 山之靈乎. 於是使祿福彈琵琶. 生伊吹篴. 從壽. 靑丘. 吹太平簫山有花之曲. 山鳴谷應. 與澗聲相和. 可樂也. 使小童開筒供墨筆. 題詩巖石上. 過黃溪瀑. 踰歡喜嶺. 連延三十里. 皆蒼檜靑楓. 錦翼衝人而飛. 至内院. 兩川交滙. 花樹成山架一伽藍. 如入錦繡中. 松壇如砥平. 金碧照映林谷. 又用千砧紙. 着黃油背糊溫床. 狀如黃琉璃. 不見一點埃氛. 有霜髭老禪. 整衲衣而展經牒. 其生涯灑落可想. 乃題詩替留衣而去. 沿東溪竝水而上. 山深水駛. 步步而加. 至頂龍菴. 前有大川. 川漲不可亂. 揀健僧背負. 超石而渡. 有巖臨絶壑. 天然成臺. 號臺巖. 其下深潭黝碧. 慡然不可俯. 潭有魚. 名袈裟魚. 鱗有紋成稻田袈裟之狀. 天下所無. 惟此潭卵育云. 於是命漁人沈網取之. 水深終不得寸鬐. 是夕. 李伯蘇辭歸. 宿于內院. 余愛是院淸幽窈窕. 初欲還此宿焉. 至頂龍菴. 頹憊不得遂. 甚矣吾衰也. 菴有北堂. 居僧稱盧判書書齋. 昔盧玉溪先生禛爲子孫營之. 先生亦於春花秋楓. 乘興往來者數矣. 吁. 山深境絶. 一島不聞. 而爲子弟築室而居之. 先生淸致. 可以起後學也.
3. 황혼동을 지나 반야봉, 영원암에 이르다.
2일 신미일. 새벽밥을 먹고 월락동(月落洞)을 거쳐 황혼동(黃昏洞)을 지났다. 고목이 하늘에 빽빽이 치솟아 올려다봐도 해와 달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 밝은 대낮일지라도 어두컴컴하기 때문에 월락동․황혼동이라고 부른다. 와곡(臥谷)으로 돌아들자 수목이 울창하고 돌길이 험하여 더욱 걷기 힘들었다. 천 년이나 됨직한 고목들이 저절로 자라났다 저절로 죽어, 가지는 꺾이고 뿌리는 뽑혀 가파른 돌길을 가로막고 있었다. 이곳을 지날 때는, 그 가지를 베어내고 문을 드나들 듯이 구부리고서 그 아래로 빠져나오기도 하고, 문지방을 넘듯이 걸터앉아 넘기도 하고, 사다리를 밟고 오르듯이 밟고서 지나기도 하였다. 그 외에 공중에 선 채로 말라죽어 반쯤 꺽이거나 썩은 것도 있고, 가느다란 줄기가 우뚝 위로 천 자나 솟구쳐 다른 나무에 기대어 쓰러지지 않은 것도 있고, 푸른 등나무가 오랜 세월 뻗어나가 가지를 드리우고 잎을 늘어뜨리고서 장막처럼 펼쳐져 있는 것도 있었다. 수십 리에 걸쳐 굽이굽이 뻗은 시내는 높은 언덕이 없어 맑은 바람이 항상 가득하고 상쾌한 기운이 흩어지지 않았다. 함께 유람온 사람들이 봄옷을 입은 지 한 달 남짓 되는데, 이곳에 이르러 모두 두터운 솜옷을 껴입었다. 해가 뜰 때부터 등산을 시작하여 정오 무렵에 비로소 갈월령(葛越嶺)을 넘었다. 갈월령은 반야봉(般若峯)의 세번째 기슭이다. 가느다란 대나무가 밭을 이루고 몇 리나 펼쳐져 있었지만, 그 사이에 다른 나무는 하나도 찾아볼 수 없었다. 마치 사람이 개간하여 대나무를 심어놓은 듯하였다.다시 지친 걸음을 옮겨 영원암(靈源菴)에 이르렀는데 영원암은 고요한 곳이면서 시원하게 탁 트인 높은 터에 있어서, 눈앞에 펼쳐진 나무숲을 내려다 볼 수 있었다. 왕대나무를 잘라다 샘물을 끌어왔는데, 옥 구르는 소리를 내며 나무통 속으로 흘러들었다. 물이 맑고 깨끗하여 갈증을 풀 수 있었다. 암자는 자그마하여 기둥이 서너 개도 되지 않았다. 그러나 깨끗하고 외진 것이 사랑할 만하였다. 이곳은 남쪽으로는 마이봉(馬耳峯)을 마주하고, 동쪽으로는 천왕봉을 바라보고, 북쪽으로는 상무주암을 등지고 있다.이 암자에 사는 이름난 승려 선수(善修)가 제자들을 거느리고 불경을 풀어내어 사방의 승려들이 많이 모여들었다. 그는 순지와 퍽 친한 사이여서 우리에게 송편과 인삼떡, 팔미다탕(八味茶湯)을 대접하였다. 이 산에는 대나무 열매와 감과 밤 등이 많이 나서 매년 가을 이런 과실을 따다 빻아 식량을 만든다고 한다.해가 기울자 후덥지근한 바람이 불어오고, 앞산 봉우리에 구름이 모여들어 비가 올 징조가 보였다. 우리는 서둘러 떠나 사자항(獅子項)을 돌아 장정동(長亭洞)으로 내려갔다. 긴 넝쿨을 잡고서 가파른 돌길을 곧장 내려가 실덕리(實德里)를 지났다. 그제야 들녘의 논이 보였는데 처음으로 물을 대는 도랑에 맑은 물이 콸콸 흘러내렸다.저물녘에 군자사(君子寺)로 들어가 잤다. 이 절은 들판에 있는 사찰이어서 흙먼지가 마루에 가득하였고 선방(禪房) 앞에 모란꽃이 한창 탐스럽게 피어 있어 구경할 만하였다. 절 앞에 옛날 영정(靈井)이 있어 영정사(靈井寺)라 불렀다. 지금은 이름을 바꿔 군자사라 하는데, 가져온 뜻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며칠 동안 세상 밖에서 청량한 유람을 하여 신선의 세계에 오른 듯하였는데, 갑자기 하루 저녁에 속세로 떨어지니 사랑의 정신을 답답하게 하여 밤에 마귀에 시달리는 꿈을 꾸었다. 공자께서 “군자가 살면 어찌 비루함이 있겠는가?”라고 하신 말씀은 늘 가슴속에 새기기 어려운 듯하다.
군자사(君子寺) : 지리산(智異山)에 있는데 세속에 전하기를, “진평왕(眞平王 579년∼632년)이 왕위를 피하여 여기에서 살다가 태자를 낳고 환국할 때에 집을 회사하여 절을 만들었다.” 하였으나, 사서(史書)에는 다 보이지 않는다. [《여지승람》에 함양(咸陽)]
[원문]
3. 황혼동을 지나 반야봉, 영원암에 이르다.
辛未. 褥食. 歴月落洞. 過黃昏洞. 古木參天. 仰不見日月. 雖淸晝猶昏黑. 故稱月落黃昏. 轉入卧谷. 樹木猶蓊蔚. 石路崚嶒益艱. 千年老木. 自長自死. 枝摧根拔. 橫截石磴. 經過者刋其枝. 伏出其下如門戶然. 跨而越履而登. 如閾闑梯級然. 其他空中立枯半折半朽者. 纎纖莖擢. 上聳千尺. 依附衆木而不顚者. 蒼藤耉造. 垂梢倒葉而羃䍥如帷帳者. 彌亘澗溪數十里. 㒺有垠鍔. 淸風恒蓄. 爽氣不散. 同遊者春服月餘日. 至此皆重綿. 自日出攀登. 至日將午. 始躋葛越嶺. 嶺卽般若峯之第三麓. 翠篠成畛. 漫衍數里. 無雜樹間之. 有若人墾而藝之者. 又蹭蹬抵靈源菴. 靈源. 靜界也. 喬基爽塏. 俯臨群木. 剖篔簹引飛泉. 琮琤鳴玉. 㵼下木槽中. 淸瑩可以解渇. 菴小不滿三四楹. 而淸僻可愛. 南對馬耳峯. 東望天王峯. 北負上無住. 有名僧善修居之. 率徒第演經. 四方釋子多歸之. 與詢之頗相善. 餉之以松餻蔘餅八味茶湯. 是山多竹實柹子栗子. 每秋收而舂之以爲粻云. 日晩風色颯然. 前峯雲氣苒苒而生. 知有雨候. 遂促行轉獅子項. 下長亭洞. 牽脩蔓直下絶磴. 過實德里. 始見野田初決渠. 白水決決. 暮投君子寺. 寺野刹也. 埃氛滿堂. 獨牧丹對禪房方敷榮. 可賞. 寺前舊有靈井. 號靈井寺. 今改以君子. 未知取何義也. 數日間淸遊雲表. 有若羽化淸都. 忽一夕擠落黃塵. 使人神精逼塞. 夜夢將魘. 夫子所謂君子居何陋者. 恐難服膺也.
4. 용유담에 이르다.
3일 임신일. 아침에 출발하여 의탄촌(義呑村)을 지나는데 옛일에 대한 감개가 무량하였다. 옛날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길을 따라 천왕봉으로 오른 것이다. 그분은 그분의 뜻대로 간 것이고 나는 나대로 가고자 하니 내가 굳이 이 길로 갈 필요는 없을 것이다. 곧장 3, 4리를 가서 원정동(圓正洞)에 닿으니 동천(洞天)이 넓게 열려 있었으며, 갈수록 경관은 아름다웠다. 용유담(龍游潭)에 이르르니 여러 층의 봉우리가 겹겹이 둘러싸고 있는데 모두 흙이 적고 바위가 많았다. 푸른 삼나무와 붉은 소나무가 울창하게 서있고, 칡넝쿨과 담쟁이넝쿨이 이리저리 뻗어 있었다. 일자로 뻗은 거대한 바위가 양쪽 언덕으로 갈라져 큰 협곡을 만들고 모여든 강물이 그 안으로 세차게 쏟아져 흘러드는데 하얀 물결이 튀어 올랐다. 돌이 사나운 물결에 깎여 움푹 패이기도 하고, 솟구치기도 하고, 우뚝 솟아 틈이 벌어지기도 하고, 평탄한 마당처럼 되기도 하였다. 높고 낮고 일어나고 엎드린 것이 수백 보나 펼쳐져 있는데 형상이 천만 가지로 달라서 다 형용할 수 없었다.승려들이 허탄한 말을 숭상하여, 돌이 떨어져나간 곳을 용이 할퀸 곳이라 하고, 돌이 둥글게 패인 곳을 용이 서리고 있던 곳이라 하고, 바위 속이 갈라져 뻥 뚫린 곳을 용이 뚫고 나간 곳이라 하였다. 알지 못하는 백성들이 모두 이런 말을 믿어, 이곳에 와서 아무 생각 없이 머리를 땅에 대고 절을 한다. 사인(士人)들도 ‘용이 이 바위가 아니면 변화를 부릴 수 없다.’고 한다. 나도 놀랄 만하고 경악할 만한 형상을 보고서, 신령스런 동물이 이곳에 살았을 것이라 상상해보았다. 이 어찌 항아(姮娥)나 거대한 신령이 도끼로 쪼개 만든 것이 아니겠는가?시험삼아 시로써 증험해보기로 하고, 절구 한수를 써서 연못에 던져 희롱해 보았다. 얼마 뒤 절벽의 굴 속에서 연기 같지만 연기가 아닌 이상한 기운이 모락모락 피어올랐다. 여러층의 푸른 봉우리 사이로 우레 같은 소리와 번갯불 같은 빛이 번쩍하며 잠시 일어나더니 곧 사라졌다. 동행한 사람들이 옷깃을 거머쥐고 곧바로 외나무다리(略彴)를 건너 허물어진 사당 안으로 뛰어들어가 기다렸다. 잠시 후 은실 같은 빗줄기가 떨어지더니. 새알만큼 큰 우박이 쏟아지고 일시에 소나기가 퍼부었다. 좌중의 젊은이들은 숟가락을 떨어뜨릴 정도로 얼굴빛이 새파랗게 변했다.한참 뒤 하늘에 구름이 뒤엉키더니 구름 사이로 햇빛이 비추었다. 드디어 언덕을 따라가다가 길을 잃어 숲 속으로 들어갔는데 젖은 풀잎이 옷을 적시고 등나무 가지가 얼굴을 찔렀다. 밀고 당기며 가시덤불을 헤치고 산허리를 비스듬히 돌며 올라갔다. 허리를 구부리고 한 걸음씩 나아가는데, 죽순을 꺾고 고사리를 뜯느라 발걸음이 더뎠다. 동쪽으로 마적암(馬跡庵)을 지났다. 나뭇가지와 넝쿨을 잡고 겨우 올라가니 옛터가 아직 남아 있었다. 산비탈을 기어오르다 보니, 열 걸음에 아홉 번은 넘어지며 힘들게 오르락내리락 하니 얼굴은 땀으로 뒤범벅이 되었고 다리는 시큰거리고 발은 부르텄다. 강제로 끌려가 고된 일을 한다고 생각하면, 원망하고 성나는 마음을 아무리 꾸짖어 금하더라도 수그러들게 하기 어렵지만, 여럿이 길을 가거나 모여 앉아 쉴 때는 떠들고 웃는 소리가 길에 가득하니, 어찌 마음을 들여다보는 것이 즐겁지 않겠는가?드디어 두류암(頭流菴)에 들어갔다. 암자 북쪽에 대(臺)가 있어 그곳에 올라 정남쪽을 바라보니, 바위 사이로 폭포수가 쏟아지고 있는데 마치 옥으로 만든 발을 수십 길 매달아놓은 듯 하여 저녁 내내 구경하더라도 피곤하지 않을 것 같았다. 마침 비가 그치고 날이 활짝 개어 골짜기에서 서늘한 바람이 불어와 매우 상쾌했다. 오래 앉아 있을 수 없어 선방(禪房)으로 들어가 편히 쉬었다.
[원문]
4. 용유담에 이르다.
壬申. 朝發. 經義吞村. 多感古焉. 昔者. 佔畢齋從此路向天王峰者也. 彼彼我我. 吾不必由斯. 徑行三四里. 至圓正洞. 洞天弘敞. 去去加勝. 至龍游潭. 層峯合沓. 皆多石少圡. 蒼杉赤松所攅聚. 復以蘿薜經緯之. 亘一大石. 劈兩厓成巨峽. 東江流其中而奔注之. 噴沫舂撞. 石爲猛浪所簸磨. 或成窪. 或成堆. 或呀然而成罅. 或坦然而成場. 高低起伏數百步. 萬千殊狀. 不可以殫形. 釋徒尙誕. 指石缺者爲龍抓. 石嵌圓者馬龍蟠. 石中裂谺谽者爲龍抉穿而行. 民之無知. 咸以爲信. 至此不覺頂禮. 爲士者亦曰龍不見石. 爲變化所使. 余亦目其可駭可愕. 想有神物宅玆. 豈夸娥巨靈能斧斤以成之者. 試以詩驗之. 乃書一絶投之淵. 以調戲之. 俄而. 厓窟中有如煙非煙之氣脈脈而昇. 亂峰蒼翠之間. 有殷殷之聲. 閃閃之光. 乍作而乍止. 同行者遂褰裳徑渡. 略彴走投于荒祠中以竢焉. 須臾雨足如銀繩. 飛雹大如鳥卵. 一䝰驟至. 座中年少輩色沮. 幾失匙焉. 移晷而後宇宙盤駁. 日脚漏於雲際. 遂緣厓而行迷失路. 入灌叢中. 草露濡裳. 藤梢刺面. 推且挽披荒榛. 仄轉山腹而登. 行行傴僂. 折篁笋採蕨芽. 行屩爲之滯淹. 東過馬跡庵. 攅柯挐蔓. 故基猶存. 夤緣山冢. 十步九折. 陟降之勞. 無不汗顔. 酸股繭足. 若使被人役使爲也. 其怨咨嗔怒. 雖呵禁難止. 而群行朋息. 嘻笑盈路. 豈非賞心之可娛也歟. 遂入頭流菴. 菴之北有臺. 直南而望之. 有飛瀑瀉于巖間. 如懸玉簾數十仞. 雖竟夕坐玩. 不覺其疲. 而會雨新晴. 谷風淒緊. 以爲過爽不可久淹. 遂入禪房安頓焉.
5. 영랑대에 올라 각 산의 봉우리들을 두루 살피고 향적암에 머물다.
4일 계유일. 새벽에 길을 떠나 옹암(甕巖)을 지나 청이당(淸夷堂)에 들어갔다. 숲을 헤치고 돌무더기를 가로질러 영랑대(永郞臺)에 이르렀다. 그늘진 골짜기를 내려다보니 어두컴컴하였다. 머리가 멍하고 현기증이 나서 나무를 잡고 기대섰다. 놀란 마음에 눈이 휘둥그레져 굽어볼 수가 없었다. 영랑은 화랑의 우두머리로 신라시대 사람이다. 3천 명의 무리를 거느리고 산과 바닷가를 마음껏 유람하였다. 우리나라의 명산마다 이름을 남기고 있다.산등성이를 따라 천왕봉을 가리키며 동쪽으로 나아갔다. 세찬 바람에 나무들이 모두 구부정하였다. 나뭇가지는 산 쪽으로 휘어 있고 이끼가 나무에 덮여 있어, 더부룩한 모양이 마치 사람이 머리를 풀어헤치고 서 있는 것 같았다. 껍질과 잎만 있는 소나무․잣나무는 속이 텅 빈 채 가지가 사방으로 뻗어 있고, 가지 끝은 아래로 휘어져 땅을 찌르고 있었다. 산이 높을수록 나무는 더욱 작달막하였다. 산 아래에는 짙은 그늘이 푸른빛과 어우러져 있었다. 이곳에 오니 꽃나무 가지에 아직 잎이 나지 않고, 끝에만 쥐의 귀처럼 싹을 살짝 내밀고 있었다.바위틈에 쌓인 눈이 한 자나 되어 한 움큼 집어먹었더니 갈증난 목을 적실 수 있었다. 겨우 싹이 난 풀이 있었는데 푸른 줄기는 ‘청옥’(靑玉)이라 하고 붉은 줄기는 ‘자옥’(紫玉)이라 하였다. 한 승려가,“이 풀은 맛이 달고 부드러워 먹을 수 있습니다.”라고 하고서 한 웅큼 뜯어 가지고 왔다. 내가 말하기를,“그대가 청옥, 자옥이라고 한 것이 바로 선가(仙家)에서 먹는 요초(瑤草)일세.” 라고 하고서, 지팡이를 꽂아놓고 손수 한 아름이나 뜯었다.앞으로 나아가 소년대(少年臺)에 올라 천왕봉을 우러러보니 구름 속에 높이 솟아 있었다. 이곳에는 잡초나 잡목이 없고 푸른 잣나무만 연이어 서 있는데, 눈보라와 비바람에 시달려 앙상한 줄기만 남은 고사목이 열 그루 중에 두세 그루는 되었다. 멀리서 바라보면 머리카락이 희끗희끗한 노인의 머리 같아 다 솎아낼 수 없을 듯하다. 소년이라고 이름이 붙은 것을 보면, 혹 영랑의 무리를 일컬은 듯도 하지만 내 생각으로는, 천왕봉은 장로(長老)이고 이 봉우리는 장로를 받들고 있는 소년처럼 생겼기 때문에 소년대라 한 것 같다. 아래로 내려다보니 수많은 봉우리와 골짜기가 주름처럼 펼쳐져 있었다. 이곳에서도 이러한대, 하물며 제일봉에 올라 내려본다면 어떻겠는가.드디어 지팡이를 짚으며 천왕봉에 올랐다.
봉우리 위에 판잣집이 있었는데 바로 성모사(聖母祠)였다. 사당 안에는 흰옷을 입힌 여인석상 한 구가 있었는데 이 성모는 어떤 사람인지 모르겠다. 혹자는 말하기를,“고려 태조대왕의 어머니가 어진 왕을 낳아 길러 삼한(三韓)을 통일하였기 때문에 높여 제사를 지냈는데, 그 의식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영남과 호남에 사는 사람들 중에 복을 비는 자들이 이곳에 와서 떠받들고 음사(淫祠)로 삼으니 바로 옛날 초(楚)와 월(越)에서 귀신을 숭상하던 풍습이다. 원근의 무당들은 이 성모에 의지해 먹고 사는데 산꼭대기에 올라 유생이나 관원들이 오는지를 내려다보며 살피다가, 그들이 오면 토끼나 꿩처럼 흩어져 숲 속에 몸을 숨긴다. 유람하는 사람들을 엿보고 있다가 하산하면 다시 모여든다. 봉우리 밑에 벌집 같은 판잣집을 빙 둘러 지어놓았는데, 이는 기도하러 오는 자들을 맞이하여 묵게 하려는 것이다. 짐승을 잡는 것은 불가에서 금하는 것이라고 하여, 기도하러 온 사람들이 소나 가축을 산 밑의 사당에 매어놓고 가는데, 무당들이 그것을 취하여 생계의 밑천으로 삼는다. 그리하여 성모사와 백모당(白母堂), 용유담은 무당들의 3대 소굴이 되었으니, 참으로 분개할 만한 일이다. 이 날 비가 그치고 날이 개어 뿌연 대기가 사방에서 걷히니, 광활하고 까마득한 세계가 눈앞에 끝없이 펼쳐졌다. 마치 하늘이 이 봉우리를 위해 명주 장막을 만들어 병풍을 둘러 친 듯하였다. 시야를 가로막는 한 무더기의 언덕도 전혀 없었다. 단지 이리저리 얽혀 있는 푸른 것은 산이고 굽이굽이 감아도는 흰 것은 물임을 알 수 있을 뿐, 어느 곳인지 무슨 강인지 어떤 봉우리인지는 분간할 수 없었다.시험 삼아 산에 사는 승려가 이름을 대며 가리키는 대로 따라가면서 살펴보았다.
동쪽을 바라보니 대구의 팔공산(八公山)과 현풍(玄風)의 비파산(琵琶山)과 의령의 도굴산(闍堀山)과 밀양의 운문산(雲門山)과 산음(山陰)의 황산(黃山)과 덕산(德山)의 양당수(兩塘水)와 안동의 낙동강이 보였다. 서쪽을 바라보니 무등산은 광주에 있고, 월출산은 영암(靈巖)에 있고, 내장산은 정읍에 있고, 운주산(雲住山)은 태인(泰仁)에 있고, 미륵산(彌勒山)은 익산(益山)에 있고, 추월산(秋月山)은 담양(潭陽)에 있고, 변산(邊山)은 부안(扶安)에 있고, 금성산(錦城山)과 용구산(龍龜山)은 나주에 있었다.남쪽으로 소요산(逍遙山)을 바라보니 곤양(昆陽)임을 알겠고. 백운산(白雲山)을 바라보니 광양(光陽)임을 알겠고, 조계산(曺溪山), 돌산도(突山島)를 바라보니 순천임을 알겠고, 사천 와룡산(臥龍山)을 바라보니 동 장군(董將軍)이 패한 것이 생각나고, 남해(南海) 노량(露梁)을 바라보니 이순신(李舜臣)이 순국한 것에 슬퍼졌다. 북쪽으로는 안음(安陰)의 덕유산과 전주의 모악산(母岳山)이 하나의 작은 개미집처럼 보였다. 그 사이에 큰 아이처럼 조금 솟구친 것이 성주의 가야산이었다. 삼면에 큰 바다가 둘러 있는데, 점점이 흩어진 섬들이 큰 파도 속에 출몰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마도의 여러 섬은 까마득하게 하나의 탄환처럼 작게 보일 뿐이었다.아! 이 세상에 사는 덧없는 인생이 가련하구나. 항아리 속에서 태어났다 죽는 초파리 떼는 다 긁어모아도 한 움큼도 채 되지 않는다. 사람살이도 이와 같거늘 조잘조잘 자기만을 내세우며 옳으니 그르니 기쁘니 슬프니 하며 떠벌이니, 어찌 크게 웃을 만한 일이 아니겠는가? 내가 오늘 본 것으로 치면, 천지도 하나하나 다 가리키며 알 수 있으리라. 하물며 이 봉우리는 하늘 아래 하나의 작은 물건이니. 이곳에 올라 높다고 하는 것이 어찌 거듭 슬퍼할 만한 일이 아니겠는가? 저 안기생(安期生) , 악전(偓佺) 의 무리가 난새의 날개와 학의 등을 타고서 구만리 상공에 떠 아래를 바라볼 때, 이 산이 미세한 새털만도 못하리라는 것을 어떻게 알겠는가? 사당 밑에 작은 움막이 있었는데, 잣나무 잎을 엮어 비바람을 가리게 해놓았다. 승려가 말하기를, “이 곳은 매를 잡는 사람들이 사는 움막입니다.”라고 하였다. 매년 8, 9월이 되면 매를 잡는 자들이 봉우리 꼭대기에 그물을 쳐놓고 매가 걸려들기를 기다린다고 한다. 대체로 매 가운데 잘 나는 놈은 천왕봉까지 능히 오르기 때문에 이 봉우리에서 잡는 매는 재주가 빼어난 것들이다. 원근의 관청에서 쓰는 매가 대부분 이 봉우리에서 잡힌 것들로, 그들은 눈보라를 무릅쓰고 추위와 굶주림을 참으며 이곳에서 생을 마치니, 어찌 단지 관청의 위엄이 두려워서 그러는 것일 뿐이겠는가. 또한 대부분 이익을 꾀하여 삶을 가볍게 여기기 때문이리라. 아! 소반 위의 진귀한 음식이 한입도 안 되지만 백성의 온갖 고통이 이와 같은 줄 누가 알겠는가? 해가 기울어 향적암(香積菴)으로 내려갔다. 향적암은 천왕봉 아래 몇 리쯤 되는 곳에 있었다. 불을 피우고 술을 마셨다. 남쪽 언덕에 서서 바라보니 바위들이 우뚝우뚝하였다. 향적암은 작은 암자이지만 단청칠을 해놓았다. 북쪽으로는 천왕봉을 우러르고 동남쪽으로는 큰 바다를 바라보고 있으며, 산세가 거하고 빼어나서 주변의 산과는 다른 자태를 지니고 있었다.
* 천세옹(千歲翁) 안기생 : 신선 안기생은 진시황이나 한무제가 몹시 만나기를 갈구하던 신선.
* 악전(偓佺) : 唐堯때 중국 槐山에서 약초를 캐먹고 살았다는 신선.
[원문]
5. 영랑대에 올라 각 산의 봉우리들을 두루 살피고 향적암에 머물다.
癸酉. 侵晨而行掠甕巖. 入淸夷堂. 穿森木亂石叢. 至永郎臺. 俯臨陰壑. 然昏黒. 魄遁眼眩. 攀木却倚. 愕眙而不能稽. 永郎者. 花朗之魁也. 新羅時人也. 率徒三千人. 遨遊山海. 我國名山水. 無不寓名焉. 循山脊. 指天王峯而東. 山多烈風. 樹木皆擁腫. 枝柯向山而靡. 苔髮骨樹. 鬖鬖如人被髮而立. 松皮柏葉之木. 中無腸而榦四披. 枝頭下搶干地. 山益高而樹益短. 山之下. 濃陰交翠. 而至此花梢未吐葉. 尖如鼠耳. 巖罅有積雪盈尺. 掬而啗之. 可以沃渇喉. 有草纔抽芽. 靑莖者曰靑玉. 紫莖者曰紫玉. 僧云此草味甘滑可食. 擷之盈掬而來. 余曰. 僧稱靑紫玉. 乃仙家所餌瑤草也. 乃植杖手摘之. 殆滿囊焉. 前登少年臺. 仰瞻天王峯. 高出雲漢. 無雜草木. 只蒼柏聯緣而生. 被氷霜風雨所侵暴. 枯死骨立者十居二三. 望之如頒白老人頭. 殆不可盡鑷者也. 少年云者. 或稱永郞之流也. 余意天王峯. 長老也. 此峯. 奉承之如少年. 故名之歟. 下視群山萬壑. 衆皺爛熳. 此地尙然. 而況於第一峯乎. 遂飛杖登天王峯. 峯之上有板屋. 乃聖母祠也. 祠中安一石塑. 爲白衣女像. 未知聖母是何人. 或曰高麗王太祖母. 爲其生育賢王. 能統三韓. 故尊祀之. 式至于今. 嶺湖之間. 要福者歸之. 奉以爲淫祠. 仍成楚越尙鬼之風. 遠近巫覡. 憑玆衣食之. 登絶頂. 俯察儒士官人來. 卽雉兔散藏身林薄中. 伺其遊覽者. 下山還聚焉. 環峯腰列板閣如蜂房. 將迎祈禠者宿留焉. 托以宰殺爲禪家禁. 繋牛畜于山下叢祠而去. 巫者取以資其生. 故聖母祠,白母堂,龍遊潭. 爲巫覡之三窟. 誠可憤也. 是日也. 山雨新晴. 遊氣四霽. 嚝焉茫焉極目無礙. 有若天爲綃幕. 爲斯峯設幈幪焉. 更無有一塊培塿敢干於眼魂之所屆. 徒知縈靑者山繚白者水. 而莫辨某處某流某峙也. 試因山僧所指點而名之. 東望則大丘之八公山. 玄風之琵琶山. 宜寧之闍掘山. 密陽之雲門山. 山陰之黃山. 德山之兩塘水. 安東之洛東江. 西望則無等山在光州. 月岀山在靈巖. 內藏山在井邑. 雲住山在泰仁. 彌勒山在益山. 秋月山在潭陽. 邊山在扶安. 錦城山龍龜山在羅州. 其南則望逍遙山而識昆陽. 望白雲山而辨光陽. 望曺溪山突山島而知順天. 望泗川卧龍山而憶董將軍之敗績. 望南海露梁而悲李舜臣之死國. 其北則安陰德裕山. 全州毋岳山. 特一蟻蛭耳. 其中稍隆然如大兒者. 星州之伽倻山也. 至於三邊之大海周遭. 點點島嶼. 出沒於洪波之中者. 如對馬諸島. 渺然一彈丸而已. 嗚呼. 浮世可憐哉. 醯鷄衆生. 起滅於甕裏. 攬而將之. 曾不盈一掬. 而彼竊竊焉自私焉是也非也歡也戚也者. 豈不大可噱乎哉. 以余觀乎今日. 天地亦一指也. 況玆峰. 天之下一小物. 登玆而以爲高. 豈非重可哀也歟. 彼安期,偓佺之輩. 以鸞翎鶴背爲床席. 當其薄九萬而下視. 安知此嶽不爲秋毫耶. 祠下有小幕. 編柏葉而障風雨. 僧曰此鷹幕也. 每年於八九月. 捕鷹者設罾罻於峯頂伺焉. 蓋鷹之善飛者. 能度天王峯. 故得之此峯者. 其才絶群. 遠邇官鷹. 多出諸此峯. 冒風雪耐凍餓. 了死生於此者. 豈徒官威是惕. 抑多射利而輕生者. 吁. 孰知盤中之珍不滿一嚼. 而生民之萬苦千艱. 有如是哉. 日晡. 下香積菴. 菴在峯下數里所. 煮瑤草酌香醪. 臨眺于南臺. 亂石岞崿. 擁小菴而丹碧之. 北仰天王蜂. 東南望大海. 山勢豪首. 頗與外山異態
6. 사자봉을 지나 의신사에 들다.
5일 갑술일. 일찍 향적암을 떠났다. 높이 솟은 고목 밑으로 나와 빙판 길을 밟으며 허공에 매달린 사다리를 타고서 곧장 남쪽으로 내려갔다. 앞서 가는 사람은 아래에 있고 뒤에 오는 사람은 위에 있어, 벼슬아치와 선비는 낮은 곳에 있고 종들은 높은 곳에 처하게 되었다. 공경할 만한 사람인데 내 신발이 그의 상투를 밟고, 업신여길 만한 자인데 내 머리가 그의 발을 떠받들고 있으니, 또한 세간의 일이 이 행차와 같구나.길가에 지붕처럼 우뚝솟은 바위가 있는 것을 보고서 일제히 달려 올라갔다. 이 봉우리가 바로 사자봉(獅子峯)이다. 전날 아래서 바라볼 때 우뚝솟아 하늘을 찌르고 있는 것처럼 보이던 그 봉우리가 아닐까? 아래를 내려다보니 평지는 없고 온통 산비탈뿐이었다. 참으로 천왕봉에 버금가는 장관이었다. 이 봉우리를 거쳐 내려가니 무릎 정도 높이의 솜대〔綿竹〕가 언덕에 가득 널려 있었다. 이를 깔고 앉아 쉬니, 털방석을 대신할 수 있었다.이어 만 길이나 되는 푸른 절벽을 내려가 영신암(靈神菴)에 이르렀는데, 여러 봉우리가 안쪽을 향해 빙 둘러서 있는 것이 마치 서로 마주보고 읍을 하는 형상이었다. 비로봉은 동쪽에 있고, 좌고대는 북쪽에 우뚝솟아 있고, 아리왕탑(阿里王塔)은 서쪽에 서 있고, 가섭대(迦葉臺)는 뒤에 있었다. 지팡이를 내려놓고 기다시피 비로봉 위로 올라갔지만 추워서 오래 있을 수 없었다. 암자에는 차솥, 향로 등이 있었지만 살고 있는 승려는 보이지 않았다. 흰 구름 속으로 나무를 하러 가서인가? 아니면 속세 사람을 싫어하여 수많은 봉우리 속에 자취를 감추어 버린 것인가? 청명하고 온화한 계절이어서 두견화가 반쯤 핀 것을 비로소 보았고 산 속의 기후도 천왕봉보다는 조금 따뜻하게 느껴졌다.영신암에서 40리쯤 내려갔는데 산세가 검각(劍閣)보다 더 험하였다. 108번 굽이친 형세가 아니라 수직으로 떨어지는 비탈길이었다. 이 길을 따라 내려가는 것은 마치 푸른 하늘에서 황천으로 떨어지는 느낌이었다. 넝쿨을 부여잡고 끈을 잡아당기며 이른 아침부터 저녁 무렵까지 걷고 또 걸었다. 푸른 나무숲 틈새로 내려다보았는데, 어두컴컴하여 아래가 보이지 않아 이맛살을 찌푸리며 크게 한숨을 쉬었다. 손가락을 깨물며 정신을 차린 뒤에 내려가 깊은 골짜기로 들어갔다. 대나무 숲을 헤치고 의신사(義神寺)를 찾아 들어가 묵었다. 밤에 두견새 우는 소리가 끊임없이 들리고, 개울물 소리가 베갯머리에 맴돌았다. 그제야 우리의 유람이 인간 세상에 가까워졌음을 알았다.이 절에는 의신사 주지 옥정(玉井)과 태승암(太乘菴)에서 온 각성(覺性)이 있었는데, 모두 시로 이름이 있는 승려들이었다. 그들의 시는 모두 율격이 있어 읊조릴 만하였다. 각성은 필법이 왕희지(王羲之)의 체를 본받아 매우 맑고 가늘며 법도가 많았다.내가 두 승려에게 말하기를,“그대들은 모두 속세를 떠난 사람들인데 어찌 깊은 숲 속으로 들어가지 않소? 내가 지나온 것과 비교해볼 때 그대들은 속세를 떠난 것이 아니오. 그대들이 외진 곳에 사는 것은 사실이지만 푸른 솔을 벗하고 흰 사슴과 함께하는 것에 지나지 않소. 생각해보면 나의 발자취는 푸른 솔과 흰 사슴이 사는 세상 밖으로 나갔다가 온 것이니 내가 그대들에 비해 낫소” 라고 하자 두 승려가 손뼉을 치며 웃었다. 서로 시를 주고받으며 놀다 밤이 깊어서야 파하였다.
[원문]
6. 사자봉을 지나 의신사에 들다.
甲戌. 早辭香積. 出昂藏老樹下. 踏氷雪凌飛梯. 直南而下. 先行者在下. 後行者在上. 官士處卑. 僮僕處高. 可敬者履加其髻. 可慢者頭戴其足. 又間事類是行哉. 見路傍有石如屋危. 一踴而登. 卽獅子峯也. 昔日從下望之. 峭峭然揷雲漢者非耶. 下睇無地. 萬山陂陀. 眞壯觀亞於天王峯者也. 歷玆以降. 綿竹不過膝者. 布濩陵岊. 遂藉而坐歇. 可以替氍毹. 仍降萬丈蒼壁. 抵靈神菴. 諸峯環拱面内. 如相向而揖. 毗盧峰在其東. 坐高臺峙其北. 阿里王塔樹其西. 迦葉臺壓其後. 遂投杖. 手足行陟毗盧峯上. 凜乎不可久留也. 菴有茶鼎. 香爐. 而不見居僧. 將樵蘇白雲而不知處耶. 抑厭避塵人而潛跡亂峯間耶. 節屆淸和. 始見杜鵑花半綻. 亦知山候稍暖於上峯也. 自靈神行四十里許. 山之嶄絶. 過於釰閣. 而風磴直下. 不作百八盤之勢. 緣而下者. 如自靑天落黃泉. 牽蘿引繩. 自卯至申. 而俯瞰繁綠之隙. 猶黯黯然不見底. 深矉太息. 幾乎齰指而垂戒矣. 然後下入幽谷. 披高竹㝷義神寺而宿. 夜聞杜宇亂啼. 溪聲繞榻. 始覺吾遊逸乎人間世矣. 於是有僧玉井住義神,覺性者. 自太乘菴雨至. 皆以詩名. 其詩皆有格律可諷者. 覺性則筆法臨羲之. 甚淸瘦多法度. 余謂兩僧曰. 爾輩皆以離俗絶世. 惡入林之不密. 而比吾所履歷. 曾不離於阬穽. 爾之居僻則僻矣. 而不過友靑松群白鹿而止耳. 思吾蹤跡. 出靑松白鹿之外而來. 吾於爾多矣夫. 兩僧抵掌而笑. 遂相與更唱迭酬. 到夜䦨而罷.
7. 홍류동에 이르러 두루 구경한 후 쌍계사에 들다.
6일 을해일. 드디어 홍류동(紅流洞)으로 내려가 시내를 따라갔다. 시냇가에 불룩 나온 높은 언덕이 보였는데, 의신사의 승려가 ‘사정’(獅頂)이라고 하였다. 푸른 소나무 그늘이 드리워진 맑은 시냇가로 가서 초록 이끼를 깔고 앉았다. 이에 비파로 영산회상(靈山會上)과 보허사(步虛詞)를 연주하고, 범패(梵唄)로 그에 맞춰 춤을 추고, 징과 북의 소리가 그와 어우러졌다. 평생 관현악을 들어보지 못한 깊은 산 속의 승려들이 모두 모여들어 돋움 발로 구경하며 신기하게 여겼다. 기담(妓潭) 가로 옮겨 앉으니 고인 물은 쪽빛처럼 새파랗고, 옥빛 무지개가 비스듬히 드리워져 있었다. 그리고 거문고, 비파 같은 소리가 숲 너머로 울려 퍼지고 있었다. 이른바 홍류(紅流)란 사영운(謝靈運)의 시 ‘돌층계에서 붉은 샘물 쏟아지네〔石磴射紅泉〕’라는 구절에서 취한 것인데, 이를 해석하는 사람들이 홍천(紅泉)은 단사(丹砂) 구멍에서 나오는 것이니 홍류라는 이름은 선가(仙家)의 책에서 유래된 것이라 한다. 지금 내가 기담 가로 옮긴 것이 무엇을 의미하겠는가? 진경(眞境)이 허물을 뒤집어씀이 심하구나.이에 두 승려가 작별을 고하였다. 나와 순지는 이별을 애석해하였다. 그들을 데리고 함께 유람하고 싶었으나, 두 승려가 말하기를,“합하를 모시고 내려가 시냇가에서 노닐고 싶지만 속세와 점점 가까워지는 것이 꺼려집니다.”라고 하여서, 시를 소매 속에 넣고 떠났다. 고개를 돌려 그들을 바라보니 두 사람의 지팡이가 나는 듯하더니 이내 그들의 자취가 보이지 않았다.이곳을 떠나 내려가다가 한 줄기 시냇물과 한 맑은 연못과 한 무더기 봉우리를 만나 바위에 걸터앉아 시를 읊조렸다. 신흥사(神興寺)에 이르니 동행한 사람들이 오래 전에 도착하여 누워 쉬고 있었다. 함께 시냇가 바위 위에 올랐다. 시냇물이 대일봉(大日峯), 방장봉(方丈峯) 사이에 흘러 나오는데, 우거진 숲이 하늘을 가리고 맑은 물이 돌을 굴렸다. 평평한 바위는 6, 70명이 앉을 수 있을 정도였다. 바위 위에 ‘세이암(洗耳巖)’이라는 세 글자가 크게 새겨져 있었는데 누구의 글씨인지 모르겠다. 동네 이름이 삼신동(三神洞)인데, 이는 이 고을에 영신사(靈神寺), 의신사(義神寺), 신흥사(神興寺) 세 사찰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보아도 세속에서 귀신을 숭상하는 풍속을 알 수 있다.비결서에 ‘근년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푸른 당나귀를 타고 독목교(獨木橋)를 나는 듯이 건넜다. 강씨(姜氏) 집의 젊은이가 고삐를 잡고 만류하였지만, 채찍을 휘둘러 돌아보지도 않고 가버렸다’고 하였다. 또 ‘고운은 죽지 않고 지금도 청학동에서 노닐고 있다. 청학동의 승려가 하루에 세 번이나 고운을 보았다’라고 하였다. 이런 이야기는 믿을 수 없다. 하지만 이 세상에 참다운 신선이 있다면, 고운이 신선이 되지 않았다고 어찌 장담할 수 있겠는가? 고운이 과연 신선이 되었다면 이곳을 버리고 어느 곳에서 노닐겠는가?이 날 순지는 먼저 칠불암(七佛菴)으로 갔다. 나는 이 절의 승려에게 자세히 묻기를,“칠불암에 기이한 봉우리가 있는가?”라고 하니,“없습니다.”라고 하였다. 또.“폭포가 있는가?”라고 하니,“없습니다.”라고 하였다. “맑은 못이 있는가?”라고 하니. 역시,“없습니다.”라고 하였다. 내가 다시,“그러면 그곳에 무엇이 있는가?”라고 물으니, “칠암정사(七菴精舍)가 있을 뿐입니다.”라고 하였다. 나는 단청칠한 절은 실컷 구경했고, 녹음이 우거진 계절인지라 볼만한 기이한 경관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산비탈을 오르내리는데 이미 흥이 다하여, 시냇가 길을 따라 내려가며 수석(水石)을 구경하는 것만 못하다고 생각하였다.길을 떠나 홍류교(紅流橋)를 건너 만월암(滿月巖)을 지나 여공대(呂公臺)에 이르러 앉았다. 깊은 못 가에 나가 구경을 하고, 흐르는 개울가에 나가 물소리를 들었다. 갓끈을 풀어 씻기도 하고, 손으로 물을 움켜 입을 헹구기도 하였다.
쌍계석문에 이르렀다. 고운 최치원의 필적이 바위에 새겨져 있었는데 글자의 획이 마모되지 않았다. 그 글씨를 보니 가늘면서도 굳세어 세상의 굵고 부드러운 서체와는 사뭇 다른 참으로 기이한 필체였다.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은 이 글씨를 어린아이가 글자를 익히는 수준이라고 평하였다. 탁영은 글을 잘 짓지만 글씨에 대해서는 배우지 않은 듯하다. 이끼 낀 바위 위에 모여 앉아 맑은 물과 흰 물결을 바라보았다. 어린 종이 말하기를,“해가 이미 서쪽으로 기울었습니다.”라고 하여 쌍계사로 들어갔다.쌍계사에는 오래된 비석이 있는데 이수〔龍頭〕와 귀부(龜趺)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전액(篆額)에 ‘쌍계사 고 진감선사비(雙溪寺故眞鑑禪師碑)’라고 씌어 있었는데, 전서체(篆書體)가 기이하고 괴이하여 쉽게 알아볼 수 없었다. 그 밑에 ‘전 서국 도순무관 승무랑 시어사 내공봉 사자금어대 신 최치원이 교서를 받들어 지음〔前西國都巡撫官承務郞侍御史內供奉賜紫金魚帒臣崔致遠奉敎撰〕’이라고 씌어 있었다. 곧 당 희종(唐僖宗) 광계(光啓) 연간 에 세운 것이다. 손가락을 꼽아 헤아려보니 지금으로부터 700년 전이다.여러 차례 흥망이 거듭되었지만 비석은 그대로 남아 있고 사람은 옛 사람이 아니다. 그러니 비석을 보면서 눈물을 떨구기보다 어찌 신선술을 배워 오래도록 이 세상을 바라보지 않으랴. 나는 이 비석을 보고 뒤늦게 깨달은 바가 있다. 또한 나는 어려서부터 고운의 필적이 예스럽고 굳센 것을 사랑하여 판본(板本)이나 탁본(拓本)의 글씨를 구해 감상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집도 글씨도 모두 없어져 늘 한스럽게 여겼다. 내가 금오(金吾)의 문사랑(問事郞)이 되었을 적에 문건을 해서(楷書)로 쓰는데, 곁에 있던 금오장군(金吾將軍) 윤기빙(尹起聘)이 한참 들여다보더니,“그대는 고운의 서법을 배웠는가? 어찌 그리도 환골탈태를 잘 하시오.”라고 했었다. 지금 진본(眞本)을 보니 어찌 옛 사람을 위문하며 감회가 일어날 뿐이랴. 옛 일이 떠올라 슬픈 마음이 들었어서 종이와 먹을 가져오라고 하여 탁본하였다. 절에는 대장전(大藏殿)․영주각(瀛洲閣)․ 방장전(方丈殿)이 있었다. 예전에는 학사당(學士堂)이 있었는데 지금은 무너져버렸다. 날이 저물어 순지가 칠불사를 구경하고 돌아왔다.
사영운(謝靈運,385-433):劉宋代 시인, 晋代 名將 謝玄의 孫, 康樂公의 작위를 얻다. 文帝때에 侍中에 이르렀으나 讒言에 의해 죽음. 그의 淸新한 詩風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불교에도 조예가 깊다. [대반열반경] 36권의 번역을 완성하다. 元嘉 10년에 죽다.
[원문]
7. 홍류동에 이르러 두루 구경한 후 쌍계사에 들다.
乙亥. 遂下紅流洞. 竝溪而行. 溪上見危岸突起者. 寺僧名之曰獅頂. 蔭靑松莅碧澗. 藉綠蘚而坐. 於是奏琵琶靈山步虛之操. 象之以梵唄. 錚鼓之聲以戲之. 深山釋子. 生不聞絲竹. 咸聚觀聳. 聽而奇之. 徒坐妓潭上. 渟油蓄藍. 玉虹偃飲. 聲如琴筑. 震越林表. 所謂紅流者. 取謝詩石磴射紅泉之句. 釋之者曰. 紅泉出丹砂穴. 紅流之名. 出自仙籍. 而今稱妓潭者. 何謂也. 甚哉. 眞境之遭累也. 於是兩僧辭別. 余與詢之惜别. 欲挈而偕遊. 兩僧曰. 欲從閤下而遊于下淵. 却嫌從此塵世漸邇也. 遂袖詩而去. 顧而目之. 䨇錫如飛. 已失其所矣. 去此而前. 見一垂水一澄潭一叢峯. 輒踞石而吟. 至神興寺. 同遊者已先往偃榻久矣. 遂與偕至溪石上. 溪出大日峯方丈峯之間. 疊穎參空. 淸漪轉石. 石之盤陀者. 可坐六七十人. 石上刻洗耳巖三大字. 不知誰氏筆. 洞名三神. 謂洞有靈神義神神興三刹故云. 其俗之尙鬼. 因北可推. 祕志又曰. 近年. 或見崔孤雲乘靑驢. 渡獨木橋如飛. 有姜家蒼頭者執鞚而挽之. 揮鞭而不顧. 又曰. 孤雲不死. 至今遊靑䳽洞. 靑䳽洞之僧. 日三見孤雲. 是說不可信. 然使世間有真仙. 安知孤雲之不爲仙. 使孤雲果爲仙. 捨此地又焉逰哉. 是日. 詢之先往七佛菴. 余細訊居僧曰. 七佛有奇峯乎. 曰無有. 瀑泉乎. 曰無有. 澄泓乎. 曰無. 奚有焉. 只七菴精舎耳. 余意招提金碧. 余所飫觀. 而時當䌓陰蓊蔚. 無異觀可寓目. 且於陟降躋攀. 興已盡矣. 莫如順溪路而下. 寓玩於水石. 行度紅流橋. 戛滿月巖. 坐吕公臺. 莅淵淵者而觀焉. 卽瀯瀯者而聽焉. 解其纓而濯焉. 滿其掬而嗽焉. 至䨇溪石門. 有崔孤雲筆蹟. 字畫不泐. 觀其書. 痩且硬. 絶異世間肥軟軆. 眞奇筆也. 金濯纓謂兒童習字者之爲. 濯纓雖善文. 至於書. 未之學也. 凝坐苔石上. 瞪目于淸泓白瀑. 童子曰日已西矣. 乃入雙溪寺. 寺有古碑. 龍頭龜趺. 額曰雙溪寺故眞鑑禪師碑. 篆體奇且怪. 未易曉. 下書前西國都巡撫官承務卽侍御史內供奉賜紫金魚帒臣崔致遠奉敎撰. 乃唐僖宗光啓年中. 建屈指七百年于今矣. 興亡百變. 物是人非. 與其看碑而墮淚. 何不學仙而久視. 余於此有所晩悟矣. 且余自少愛孤雲筆蹟之古勁. 得墨本傅壁以玩之. 經壬辰亂. 室與書俱亡. 常以爲恨. 及爲金吾問事郞. 楷書文案. 傍有金吾將軍尹起聘. 熟視之曰. 子曾效孤雲書法乎. 何奪胎甚也. 今見眞本. 豈但弔古興懷. 兼有感舊之悲也. 命出紙墨印之. 寺有大藏殿. 瀛洲閣. 方丈殿. 舊有學士堂. 今已圮矣. 日暮. 詢之自七佛來.
8. 불일암에 이르러 완폭대를 보다.
7일 병자일. 순지가 작별을 고하며,“나는 몇 년 전에 청학동을 유람하여 이제 다시 가볼 필요가 없으니, 어찌 곧장 돌아가지 않겠소?”라고 하였다. 김화도,“저도 전에 청학동을 실컷 구경하였습니다. 농사철이 되어 일이 있으니 먼저 돌아갈까 합니다.”라고 하였다. 나는 두 사람을 전송한 뒤 돌아와 혼자 신상연(申尙淵)의 무리와 함께 동쪽 고개를 넘어 깊은 골짜기로 들어갔다. 이 골짜기는 황혼동(黃昏洞), 월락동(月落洞)처럼 어두컴컴 하였다. 긴 대나무가 길 양쪽에 서 있는데, 새로 나온 송아지 뿔 같은 죽순이 낙엽을 뚫고 삐쭉 나와 있었다. 종종 승려들의 신발에 채여 부러진 것이 있었는데, 북쪽에서 내려온 나그네여서인지 이를 보니 나는 애석하였다. 절벽 밑에 이르자 승려들이 나무를 베어 가로질러놓은 사다리가 여러 군데였다. 아래를 내려다보니 컴컴하여 보이지 않았다.드디어 불일암(佛日菴)에 도착하였다. 암자 앞에 평평한 대(臺)가 있고, 벼랑에 완폭대(玩瀑臺)라고 새겨져 있었다. 폭포수가 검푸른 봉우리 푸른 절벽 사이로 쏟아져 내리는데, 그 길이가 수백 자는 되어 보였다. 여산(廬山)의 폭포의 길이가 얼마나 되는지 모르지만, 우리나라 긴 폭포로는 개성(開城)의 박연폭포(朴淵瀑布)만한 것이 없다. 그런데 이 폭포는 박연폭포와 비교해 몇 길이나 더 긴 듯하고, 물이 쏟아지는 길이도 더 긴 듯했다. 다만 걸림이 없이 곧장 떨어지는 것은 이 폭포가 박연폭포만 못한 것 같았다. 하늘의 띠가 아래로 드리운 듯한 폭포가 쏟아져 온 골짜기가 우레치는 듯 요란하고, 붉은 빛을 띤 안개와 흰 눈같은 하얀 물보라가 골짜기 안에 이리저리 흩날렸다. 사람의 귀를 놀라게 하고 눈을 번쩍 뜨게 하여, 정신이 맑아졌다. 이 날의 기이한 구경은 참으로 평생 다시 보기 어려운 광경이었다. 남쪽에는 향로봉(香爐峯)이 있고, 동쪽에는 혜일봉(慧日峯)이 있고, 서쪽에는 청학봉(靑鶴峯)이 있었다. 승려가 절벽의 구멍을 가리키며,“저것이 학의 둥지입니다.”라고 하였다. 옛날에는 붉은 머리 푸른 날개의 학이 그곳에 살았는데 지금은 몇 년 동안 오지 않는다고 하였다. 나는 비결서에 ‘지리산의 푸른 학이 무등산(無等山)으로 옮겨갔다’고 한 말을 들었는데, 이 설과 서로 들어맞는 것이 아니겠는가? 문득 노새만한 산양이 향로봉 꼭대기에 한가로이 누워 있는 것이 보였다. 비파와 피리〔長笛〕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두리번대면서 사람을 보고도 피하지 않았다. 아! 금화산(金華山)의 신선이 기르던 짐승으로 흰 구름 속에서 지금까지 몇 년 동안이나 한가로이 잠을 자다가, 감히 이곳에서 당돌하게 나에게 양 타는 법을 배우게 하려 한단 말인가? 채찍을 들어 꾸짖자 그 소리를 듣고 일어나 가버렸다. 유람이 끝날 때쯤 관아의 말이 골짜기에서 울며 기다리고 있었다. 이곳을 나갈 때는 아름다운 임을 이별할 때처럼 느릿느릿 말을 몰며 빠져나왔다. 며칠 동안 내 발길이 지난 길을 되돌아보니, 천 길이나 높고 한 아름이나 되던 큰 나무들이 바늘처럼 가늘게 보였다. 동네 이름을 물어보니 화개동(花開洞)이라고 하였다. 이곳은 기후가 따뜻하기 때문에 꽃이 먼저 핀단다.옛날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이 이곳에 집을 짓고 학업을 강마하였다. 일두가 일찍이 이 산을 유람하였는데, 일두는 힘이 다하자 허리에 새끼 한 가닥을 묶고 한 승려에게 끌고 가게 하였다. 탁영이 이를 보고,“스님은 어디서 죄인을 묶어 오는 것이오?”라고 하였다. 그는 또 말하기를,“이렇듯 좋은 나무들이 훌륭한 목공을 만나지 못해 동량(棟梁)의 재목으로 쓰이지 못하고 빈 산에서 말라죽는 것을 생각하니, 조물주의 입장에서는 애석히 여길 만한 일이다. 그러나 또한 이 나무들은 천수(天壽)를 다 누렸구나.”라고 하였다.아! 말은 마음의 소리이다. 마음은 본래 텅 비고 밝으니 말이 발하여 징험이 있게 된다. 그 뒤에 일두는 옥에 갇혔다 죽었고 탁영도 요절하였다. 그들의 천수는 모두 조물주의 입장에서는 애석하게 여길 만한 일이었으니 어찌 말에 징험이 있는 것이 아니랴.무릇 천도(天道)와 인사(人事)는 암암리에 합치되고, 통하고 막히는 것은 시대의 운수와 서로 부합한다. 형산(衡山)에 구름이 걷히자 퇴지(退之) 한유(韓愈)는 스스로 자신의 정직함을 과시하였고, 동해에 신기루가 나타나자 소동파(蘇東坡) 또한 스스로 퇴지에 비유하였다. 이들은 천운이 열려있음을 깨닫지 못했지만 오래지 않아 등용되었으니, 길조(吉兆)가 그들을 위해 먼저 나타난 것이다. 점필재와 탁영의 지리산 유람록을 읽어보니, 그들이 천왕봉에 올라 유람하던 날 모두 비․바람, 구름, 안개를 만나 낭패를 많이 당하였다. 이 두 사람이 정직한 것은 온 세상 사람들이 다 아는 것이지만 불길한 징조는 일이 터지기 전에 먼저 나타났으니, 산신령이 그들을 희롱한 것이다. 이번에 내가 순지와 산에 들어온 뒤로는 날씨가 맑고 온화했다. 오랜 가뭄 끝에 비가 내리고 떠돌던 운기(雲氣)도 높이 날아올라 만리나 뻗은 산과 호수가 눈에 훤히 들어왔다. 비록 신령스런 용을 건드려 한때 노여움이 있었지만 마침 다음날 개이도록 도와주었으니, 어찌 상심하랴. 정오 무렵 섬진강을 따라 서쪽으로 나아가 와룡정(臥龍亭)에서 쉬었다. 이 정자는 생원 최온(崔蘊)의 장원(庄園)이었다. 큰 둔덕이 강 속으로 뻗어 마치 물결을 갈라놓은 것 같았다. 말을 타고 반석 위로 나아가니 솜을 타놓은 듯 수백 보의 백사장이 보였다. 그 둔덕 위에 초당 서너 칸을 지어놓고 비취빛 대나무와 검푸른 소나무를 주위에 심어놓았다. 그림 같은 풍광이 둘러쳐져 초연히 속세를 떠난 기상이 있었다. 이 날 남원부의 남창(南倉)에서 묵었다.
금화산(金華山) : 황초평은 단계(丹溪)사람인데 15세 때 집에서 양을 치라고 내보냈더니 신선이 어질고 착한 것을 보고 데리고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가서 신선도를 닦게 하니 40년간 집을 잊고 살았다. 그 집에서는 형인 황초기(黃初起)가 아우를 찾으려고 여러 해 동안 산을 헤매고 다녔으나 끝내 찾지 못했었다. 그런데 시중(市中)에서 한 도사를 만나 아우의 행방을 물었더니 금화산 중에 황초평이라는 양치기 소년이 하나 있다고 가르쳐 준다. 황초기가 도사를 따라가서 아우를 만나보니 아직도 15세 때 모습 그대로이다. 그래서 양은 어디 있느냐고 물으니 산 동쪽에 있다고 한다. 황초기가 가서 확인하자 양은 없고 흰 돌만 산에 가득한지라 아우에게 돌아와 어떻게 된 일이냐고 묻자 황초평은 형과 함께 가서 “양들아 일어나라” 하니 수만 개의 흰 돌이 변해서 양이 되어 일어나는데 수만 마리나 되었다.
* 최온1585~1658) 문인 폄재(貶齋) 광해군 1년(1609)에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임금의 패륜을 보고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두류산 아래에 지금의 구례군 토지면 용두마을 섬진강 기슭에서 초막 용두정(龍頭亭)을 짓고 유유자적하며 생을 살았다. 그는 남원 출신으로 1589년에 증광시(增廣試)에 문과(文科)에 합격하여 한림(翰林) 검열(檢閱)이 되었고 임란에 권율 장군의 계청으로 종사관으로 활약했던 미능재(未能齋) 최상중(崔尙重, 1554~1604)의 아들이며 성만 최연(崔衍 1576~1651)의 동생이다.
[원문]
8. 불일암에 이르러 완폭대를 보다.
丙子. 詢之告別曰. 年前已逰靑鶴洞. 今不須再往. 盍徑還乎. 金澕亦曰. 小民亦曾見靑鶴洞慣甚. 西疇有事. 請先歸. 余旣送二客還. 獨與尙淵輩. 登東嶺入深洞. 洞與黃昏,月落相類. 而脩葟挾路. 新笋如犢角. 穿陳葉而茁. 往往僧鞋觸之而折. 余北客也. 觀之可惜也. 就厓斷處. 僧斫樹橫爲棧者數所. 俯視之. 黕黕無底. 遂到佛日菴. 菴前有平臺. 刻厓石曰玩瀑臺. 有飛流瀉出于蒼峯翠壁間. 長可數百尺. 廬山之瀑. 吾不知其高下. 東方長瀑. 莫朴淵如也. 而比之可增數丈. 其水勢之長過之. 獨直下無礙. 則似此讓於彼矣. 天紳下垂. 一壑雷喧. 紫煙白雪. 交吹於中谷. 使人耳驚目駭. 慡然自失. 此日奇觀. 信平生難再者也. 南有香爐峰. 東有慧日夆. 西有靑鶴峯. 僧指其崖竇曰. 彼鶴巢也. 舊有赤首靑翼棲之. 今不來有年矣. 吾聞祕籙曰. 智異山靑鶴當移無等山. 得無與是說相符乎. 忽有山羊如驢子. 大閑卧香爐峰頂. 聞琵琶長笛之聲. 傾耳彷徨. 見人不避. 吁. 金華仙客之所牧. 閑眠白雲今幾年. 而乃敢於此唐突. 欲使我學騎羊子耶. 擧鞭叱之. 應聲而起. 於是遊覽才畢. 而官騶已鳴于谷. 其出洞也. 驅馬遲遲. 始別佳人. 回首昔日足跡之所歷. 千丈盈抱之樹. 其細如芒針焉. 問洞名曰花開. 以其地暖. 花先開也. 昔鄭一蠧卜築以講業. 一蠧嘗遊玆山. 一蠧力熯腰繫一索. 令一僧挽而前. 濯纓曰僧從何處拘罪人而來. 又曰. 不備棟樑之用. 而枯死空山. 爲造物所惜. 然亦終其天年者歟. 噫. 言者. 心之聲也. 心本虛明. 言發而有徵. 其後一蠧死於囚繫. 濯纓亦夭. 其天年. 皆爲造物者所惜. 豈非言讖之有徵歟. 大凡天道與人事暗合. 通塞與時運相符. 衡山雲捲. 退之自誇其正直. 東海蜃出. 東坡亦自方於退之. 殊未知天運不否. 召還在邇. 吉兆爲之先應. 竊觀佔畢,濯纓之錄. 當其登覽之日. 皆爲風雨雲霧所魔障. 狼狽者多矣. 兩人正直. 天地所明知. 而不吉之兆. 先見於未形而山靈戲之也. 今者吾與詢之入山之後. 天日淸和. 久旱而雨. 遊氣高騫. 使湖山萬里之賞. 無礙於雙眼. 則雖觸神龍一時之怒. 適足以助翌日之澄霽. 庸何傷乎. 亭午傍蟾江而西. 歇馬于臥龍亭. 亭卽生員崔蘊莊也. 大堆入江心. 如截滄波. 駕出盤石上. 重以白沙如拭綿數百步. 構草堂三四間於其上. 衛以翠竹蒼松. 匝以圖畫. 有蕭瑟出塵之象. 是日宿于本府南倉.
9. 관아로 돌아와 두류산 유산기를 쓰다.
8일 정축일. 숙성령(肅星嶺)을 넘어 용담(龍潭) 가에서 잠시 쉬었다가 관아로 돌아왔다. 서찰이 목전에 가득하고, 공문이 책상에 쌓여 있었다. 푸른 행전을 풀고 죽장을 던지고서 도로 속세의 일을 하니 부끄러울 따름이다. 아! 나는 성품이 소탈하고 얽매임을 싫어하여 약관의 나이로부터 사방의 산수를 유람하였다. 벼슬길에 나오기 전에는 삼각산(三角山)을 집처럼 여겨 아침저녁으로 백운대(白雲臺)를 오르내렸으며, 청계산(淸溪山), 보개산(寶盖山), 천마산(天摩山), 성거산(聖居山)에서 독서하였다. 사명(使命)을 받들고 외직으로 나가서는 팔도를 두루 돌아다녔다. 청평산(淸平山)을 둘러보고 사탄동(史呑洞)으로 들어갔으며. 한계산(寒溪山), 설악산(雪嶽山)을 유람하였다. 봄, 가을에는 풍악산(楓嶽山)의 구룡연(九龍淵), 비로봉을 구경하고, 동해에 배를 띄우고 내려오며 영동(嶺東) 아홉 군의 산수를 두루 보았다.그리고 적유령(狄踰嶺)을 넘어 압록강 상류까지 거슬러 올라가 마천령(磨天嶺), 마운령(磨雲嶺)을 지나 험난한 장백산(長白山)을 넘어 파저강(波豬江), 두만강(豆滿江)에 이르렀다가 북해에서 배를 타고 돌아왔다. 또 삼수(三水), 갑산(甲山)을 다 둘러보고, 혜산(惠山)의 장령(長嶺)에 앉아서 멀리 백두산을 바라보았으며 명천(明川)의 칠보산(七寶山)을 지나 관서의 묘향산(妙香山)에 올랐으며, 발길을 돌려 서쪽으로 가서 바다를 건너 구월산(九月山)에 올랐다가 백사정(白沙汀)에 이르렀다. 중국에 세 번 다녀왔는데, 요동으로부터 북경에 이르기까지 그 사이의 아름다운 산과 물을 대략 보고 돌아왔다. 나는 일찍이 땅의 형세가 동남쪽이 낮고 서북쪽이 높으니, 남쪽 지방 산의 정상이 북쪽 지역 산의 발꿈치보다 낮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또 두류산이 아무리 명산이라도 우리나라 산을 통틀어 볼 때 풍악산으로 집대성되니, 바다를 본 사람에게 다른 강은 하찮게 보이듯 이 두류산도 단지 한주먹 돌덩이로 보였을 뿐이었다. 그런데 이제 천왕봉 꼭대기에 올라보니 그 웅장하고 걸출한 것이 우리나라 모든 산의 으뜸이었다.두류산이 더욱 높고 크게 보이는 이유는 살이 많고 뼈대가 적기 때문이다. 문장에 비유하면 굴원(屈原)의 글은 애처롭고, 이사(李斯)의 글은 웅장하고, 가의(賈誼)의 글은 분명하고, 사마상여(司馬相如)의 글은 풍부하고, 자운(子雲) 의 글은 현묘한데, 사마천(司馬遷)의 글이 이를 모두 겸비한 것과 같다. 또한 맹호연(孟浩然) 의 시는 고상하고, 위응물(韋應物) 의 시는 전아하고, 마힐(摩詰) 의 시는 공교롭고, 가도(賈島) 의 시는 청아하고, 피일휴(皮日休) 의 시는 까다롭고, 이상은(李商隱) 의 시는 기이한데, 두자미(杜子美) 의 시가 이를 모두 종합한 것과 같다. 지금 살이 많고 뼈대가 적다는 것으로 두류산을 대단찮게 평한다면 이는 유 사복(劉師服)이 한 퇴지(韓退之)의 문장을 똥덩이라고 농락한 것과 같다. 이렇게 보는 것이 제대로 산을 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두류산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면면이 4천 리나 뻗어온 아름답고 웅혼한 기상이 남해에 이르러 합하여 모이고 우뚝 솟아난 산으로, 열두 고을이 주위에 둘러 있고 사방의 둘레가 2천 리나 된다. 안음(安陰)과 장수(長水)는 그 어깨를 메고, 산음(山陰)과 함양(咸陽)은 그 등을 짊어지고, 진주(晉州)와 남원(南原)은 그 배를 맡고, 운봉(雲峯)과 곡성(谷城)은 그 허리에 달려 있고, 하동(河東)과 구례(求禮)는 그 무릎을 베고, 사천(泗川)과 곤양(昆陽)은 그 발을 물에 담근 형상이다. 그 뿌리에 서려 있는 영역이 영남과 호남의 반 이상이나 된다. 저 풍악산은 북쪽에 가깝지만 4월이 되면 눈이 녹는데, 두류산은 남쪽 끝에 있는데도 5월까지 얼음이 있다. 이를 통해 지형의 높낮이를 짐작할 수 있다.옛날 사람이 일찍이 천하의 큰 강 셋을 논하면서 황하(黃河)․양자강(楊子江)․압록강(鴨綠江)을 들었다. 그러나 이제 내가 살펴보니 압록강의 크기는 한양의 한강(漢江)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직접 보지 않고 범범하게 논한 것이니, 전기(傳記)에 실려 있는 것도 주밀하지 못한 점이 있다. 나 같은 사람은 우리나라 바다와 산을 모두 두 발로 밟아보았으니, 천하를 두루 유람한 자장(子長) 에게 비할지라도 크게 뒤지지 않을 것이다. 내 발자취가 미친 모든 곳의 높낮이를 차례를 매긴다면 두류산이 우리나라 첫번째 산임은 의심할 나위가 없다. 인간 세상의 영리를 마다하고 영영 떠나 돌아오지 않으려 한다면, 오직 이 산만이 편히 은거할 만한 곳이리라, 돈, 곡식, 갑옷, 무기 등을 속속들이 아는 것은 머리가 하얀 서생이 요리할 바가 아니다. 조만간 허리에 찬 긴 끈을 풀고 내가 생각한 애초의 일을 이루리라. 물소리 조용하고 바람소리 한적한 곳에 작은 방 한 칸을 빌린다면, 어찌 고흥(高興)의 옛집에서만 나의 지리지(地理志)를 쓸 수 있으랴. 만력 39년(1611년, 광해군 3년) 신해년 4월 모일에 묵호옹(黙好翁)이 쓴다.
司馬遷(BC184~86) 자는 자장(子長)으로 한무제 시대의 역사가. 아버지의 뜻을 이어 태사령(太史令) 지위에 있으면서 역사서 편찬에 주력했다. 흉노족에 투항한 이릉을 변호했다는 죄목으로 궁형(宮刑)을 당하는 불운을 겪었다. 본기 12권, 서 8권, 표 10권, 세가 30권, 열전 70권으로 구성된 중국 역사서 《사기(史記)》를 집필했다.
[원문](없음)
* [유몽인(柳夢寅) [1559(명종14)~1623(인조1)] 문장가 또는 외교가로 이름을 떨쳤으며 글씨에도 뛰어났다. 야담집 〈어우야담〉의 지은이로 유명하다. 본관은 고흥. 자는 응문(應文), 호는 어우당(於于堂)·간재(艮齋)·묵호자(默好子). 사간 충관(忠寬)의 손자이며 진사 당(檔)의 아들이다. 1589년 증광문과에 장원급제했으며, 1592년 수찬으로 명나라에 다녀오던 중 임진왜란이 일어나 평양까지 선조를 모시고 따라갔다. 임진왜란을 겪는 동안 명나라 관원을 상대하는 외교적인 임무를 맡아 일했다.
광해군 시절에는 북인에 가담했으나 인목대비 유폐에 찬성하지 않는다 하여 배척되었다. 그 뒤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서 은거하던 중 대제학에 추천되었으나, 거절했다. 이로 인해 1623년 인조반정 때 화를 면할 수 있었으나 그해 7월 현령 유응경이 광해군의 복위를 꾀한다고 무고하여 아들 약(瀹)과 함께 사형되었다. 그의 깨끗한 이름을 기려 전라도 유생들이 문청이라는 사시를 올리고 운곡사(雲谷祠)에 봉양했다. 신원된 뒤 나라에서 의정(義貞)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운곡사를 공인했으며 이조판서에 추증했다. 저서로는 야담집 〈어우야담〉과 시문집 〈어우집〉이 있다. [Daum백과]
[정의]
조선 시대 천안에 우거한 문신·학자.
[개설]
유몽인(柳夢寅)[1559~1623]은 조선 중엽의 문장가 겸 외교가로 크게 활동하였으며, 전서·예서·해서·초서에 모두 뛰어났다. 유몽인의 동생 유몽표의 아들인 유활(柳活)이 목천의 만매촌[현 천안시 병천면 용두리]에 처음으로 살게 되었으며, 유몽인이 처벌될 때 모두 적몰되었고 1794년(정조 18)에 신원(伸寃)되었으나 제사 지낼 후손이 없어 유활의 후손들이 청절사(淸節祠)를 지어 제향을 받들고 있어 천안과 인연이 되었다.
[가계]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응문(應文), 호는 어우당(於于堂)·간재(艮齋)·묵호자(默好子)이다. 할아버지는 사간(司諫)을 역임한 유충관(柳忠寬)이고, 아버지는 진사(進士) 유탱(柳樘)이다.
[활동 사항]
1582년(선조 15)에 진사가 되고, 1589년 증광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1592년에 세자시강원 설서(世子侍講院說書)에 제수되었다. 이어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으로 있을 때 명(明)나라에 질정관(質正官)으로 다녀오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를 평양까지 호종하였다. 임진왜란 중 유몽인은 명군의 지원병 문제와 왜군의 침략에 대한 대책 강구, 문안사(問安使) 역할 등 대명 외교를 맡았을 뿐만 아니라 세자의 분조(分朝)에도 적극 동참하였다. 특히 1593년(선조 26)에 명나라 장수 송경략(宋經略)이 세자 시강관 2~3명과 경전의 토론을 요청했을 때, 사서(司書) 황신(黃愼)·설서 이정귀(李廷龜) 등과 함께 참여하는 등 상당한 수준의 학문을 견지했음을 알 수 있다. 선조 재임 기간 유몽인은 세자시강원과 사헌부(司憲府), 사간원(司諫院) 등 조정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이후 병조 참의·황해 감사·도승지 등을 지내고 1609년(광해군 1)에 성절사 겸 사은사로 세 번째 명나라에 다녀왔다.이후 벼슬에 뜻을 버리고 고향에 은거하였는데, 왕은 유몽인을 불러 남원 부사로 삼았다. 그 뒤 한성부 좌윤·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나 폐모론이 일어났을 때 가담하지 않고 도봉산 등에 은거하였다. 이 일로 1623년 인조반정 이후 화를 면하였으나, 더는 관직에 나가지 않고 방랑 생활을 하였다. 그해 7월 현령 유응형(柳應浻)이 “유몽인이 광해군의 복위 음모를 꾸민다.”라고 무고하여 국문을 받다가 아들 유약(柳瀹)과 함께 처형되었다. 서인들에 의해 중북파(中北派)로 몰리면서 죽음을 당한 것이다. 이때 관작의 추탈과 더불어 임진왜란 때의 공으로 책봉된 영양군(瀛陽君)의 봉호도 삭탈되었다.
[학문과 저술]
성혼(成渾)과 신호(申濩)에게 수학하였으나 경박하다는 책망을 받고 쫓겨난 이후 성혼과 사이가 좋지 못하였다. 저서로 야담을 집대성한 『어우야담(於于野談)』과 시문집인 『어우집(於于集)』이 있다.
[묘소]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유몽인의 청명(淸名)을 기려 전라도 유생들이 문청(文淸)이라는 호를 올리고 운곡사(雲谷祠)에 배향하였다. 정조 때 의정(義貞)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이조 판서를 추증하였으며, 운곡사를 공인하였다. 고산(高山)의 삼현 영당(三賢影堂), 병천의 충절사에서 제향하고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 六友堂記 > 어우당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11년 유몽인의 유두류산록 남원 관아에서 백장사까지 (0) | 2021.04.17 |
---|---|
1611년 유몽인의 유두류산록 흑담과 환희령(210202) (0) | 2021.02.02 |
1611년 유몽인의 유두류산록을 좇아서(내령~부운) (0) | 2021.01.22 |
1611년 어우당 유몽인의 두류산록에 나오는 석문 (0) | 2020.05.09 |
1611년 어우당 유몽인의 두류산록 답사를 시작하다 (0)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