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盈科後進/고전향기

혼돈(混沌)「장자」[펌]

도솔산인 2015. 1. 28. 09:24

 

혼돈(混沌)              ​「장자」

우리가 사는 시대를 혼돈(混沌:chaos)의 시대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무질서(disorder), ​불확실성(uncertatainty)이라고 표현되는 '혼돈'은 논리적 으로 설명할 수 없는 어떤 것을 가리킬 때 쓰이지요.

혼돈이라는 개념은 「장자」응제왕(應帝王) 마지막 부분에 나옵니다.

'남해의 왕 숙​(儵), 북해의 왕 홀(忽), 그리고 중앙의 왕 혼돈(混沌)이 있었다.

남해의 왕인 숙과 북해의 왕인 홀은 자주 중앙 혼돈의 땅에 가서 서로 만났는데,

혼돈은 그들을 매우 잘 대접해 주었다.

숙과 홀은 혼돈의 덕에 보답하​려고 의논을 하였다.

사람들은 모두 7개의 구멍이 있어 보고, 듣고, 먹고, 숨을 쉰다고 하는데 혼돈은 구멍이 없으니

우리가 구멍을 뚫어줘 보답하자고 의논을 하고 날마다 한 개의 구멍을 뚫어주었다.

그리고 7일째 되는 날 혼돈의 몸에 7개의 구멍이 뚫리며 죽어버렸다.

'혼돈은 원래 구멍이 없었는데, 주변에서 그에게 잘해준다고 뚫어준 구멍 때문에 결국 죽어버렸다는 이야기입니다.

질서와 합리성보다 어쩌면 무질서와 혼돈의 모호성에서 더 큰 생명력을 볼 수 있다는 장자의 역설의 철학입니다.

혼돈이 질서보다 경쟁력을 발휘할 때가 있습니다.

질서는 언제나 아름답고 우리를 안정시키는 것인가를 회의해 보고,

혼돈은 늘 추하고 불안하고 제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해 보아야 합니다.

질서와 법을 강조하여 세상의 모든 것을 그 틀안에 넣고 줄을 세우는 것만이 정답은 아니라는 의미이지요.

人皆有七竅以視聽食息, 此獨無有,​ 日鑿一竅, 七日而混沌死

인개유칠규이시청식식, 차독무유, 일착일규, 칠일이혼돈사

 

사람들은 일곱개의 구멍이 있어 보고, 듣고, 먹고, 숨쉰다.

그런데 혼돈은 이 구멍이 없다.

그래서 혼돈에게 날마다 한 개의 구멍을 뚫어주었고,

7일 만에 혼돈은 죽어버렸다.

​세상은 어쩌면 질서보다는 무질서 속에서 더욱 예쁜 꽃이 피고,

순종보다는 잡종이 휠씬 더 경쟁력이 있고,

확실함보다는 혼돈속에서 해답은 더욱 다양할 수 있습니다.

혼돈의 역설​, 질서와 줄서기만을 강요하는 작금의 시대에 한 번쯤 생각해 보아야 할 주제입니다.

 

혼돈의 인생이 질서정연한 인생보다 더 아름다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