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盈科後進/고전향기

[한시감상 055] 존재에 대하여[有物]

도솔산인 2013. 3. 7. 10:58

 

존재에 대하여[有物]

 

 

                                                                           

유물(有物)

 

                                                               서경덕

 

                                                                               有物來來不盡來 : 존재하는 만물은 오고 또 와도 다 오지 못하니

                                                                               來纔盡處又從來 : 다 왔는가 하고 보면 또 다시 오네

                                                                               來來本自來無始 : 오고 또 오는 것은 시작 없는 데로부터 오는 것

                                                                               爲問君初何所來 : 묻노니 그대는 처음에 어디로부터 왔는가

 

                                                                                                                                   - 서경덕(徐敬德, 1489~1546)

                                                                                                                                   「유물(有物)」

                                                                                                                                   『화담집(花潭集)』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 화담(花潭) 서경덕이 우주 만물을 형성하는 본원에 대해 탐구한 시입니다.

화담은 사물을 관찰하고 이치를 궁구하기를 좋아했는데, 이와 관련한 어린 시절의 일화가 있습니다. 한번은 부모가 나물을 캐 오라고 하였는데, 매일같이 늦게 돌아오면서도 광주리를 다 못 채웠습니다. 이를 이상히 여겨 아들에게 묻자, “나물을 캐러 갔을 적에 새가 날아오르는 것을 보았는데, 하루는 땅에서 한 치, 다음 날엔 땅에서 두 치, 또 그 다음 날엔 땅에서 세 치 뜨더니, 점차 위로 날아갔습니다. 제가 이 새가 나는 것을 보고 그 이치를 생각해 보았지만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늘 늦게 돌아오게 되었고, 광주리도 채우지 못했습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또 18세에 『대학(大學)』을 읽고, “아는 것을 지극히 함은 사물의 이치를 궁구함에 있다.[致知在格物]”는 대목에 이르러 마음에 크게 느끼는 바가 있었습니다. 화담은 “학문을 하면서 먼저 격물을 하지 못한다면 독서를 한들 무엇하겠는가?”라고 하고, 천지 만물의 명칭을 써서 벽에 붙여 두고, 날마다 온통 여기에만 정신을 쏟으며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였습니다.

 

화담 선생은 후에 이러한 공부 방법을 두고 어려서 훌륭한 스승을 만나지 못해 헛된 노력을 했노라며, 이러한 공부 방법을 본받아서는 안 된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일화를 통해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는 데 치중했던 화담의 학문 성향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시에 이어 한 수가 더 있습니다.

 

                                                                              有物歸歸不盡歸 : 존재하는 만물은 돌아가고 또 돌아가도 다 돌아가지 못하니

                                                                              歸纔盡處未曾歸 : 다 돌아갔는가 하고 보면 아직 다 돌아가지 않네

                                                                              歸歸到底歸無了 : 돌아가고 또 돌아가고 끝까지 해도 돌아감은 끝나지 않는 것

                                                                              爲問君從何所歸 : 묻노니 그대는 어디로 돌아갈 건가

 

    

 

첫 번째 수가 존재가 생겨나는 곳에 대한 것이라면, 두 번째 수는 존재가 돌아가는 곳에 대한 것입니다. 각각 생겨나는 곳과 돌아가는 곳이라고 하여 말은 바뀌었지만 본질적으로 한 바탕인 존재의 뿌리에 대해 화두를 던진 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작도 없이 나고 또 나는 곳은 어디일까요?

끝도 없이 가고 또 가는 곳은 어디일까요?

나는 곳과 가는 곳은 같은 곳일까요, 다른 곳일까요?

그곳과 지금 여기 이곳은 같은 곳일까요, 다른 곳일까요?

어디서부터를 삶이라 하고 어디서부터를 죽음이라 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요?

 

16세기 조선의 철학자가 우리에게 ‘끝까지 알아내야 할 것’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글쓴이 : 하승현(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