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석에서 부르는 자유인의 노래(130111~13)
▣ 일 시 : 2013년 1월 12일(토) ~13일(일)
▣ 대상산 : 지리산
▣ 코 스 : 백무동 - 세석 - 촛대봉 - 청학연못 - 세석 - 촛대봉 - 장터목 - 백무동
▣ 인 원 : 출발 6명(미산님, 유해길, 사니조아, 오대장, 산영, 余), 박지합류 4명(히말라야, 임회장, 하늘바위, 청송녹죽)
살면서 후회되는 일은 독서를 많이 하지 않은 것,
후회하지 않는 일은 산에 원 없이 다닌 것입니다.
지리에서 산우들과 만나 계사년 신년 산행을 하며
세석의 모퉁이에서 자유인의 노래를 불렀습니다.
逍遙詠(자유인의 노래)
白居易(772-846)
亦莫戀此身 : 이 몸 그리워하지도 (말고)
亦莫厭此身 : 이 몸 싫어하지도 말게나
此身何足戀 : 이 몸을 어찌 그리워하리요?
萬劫煩惱根 : 만겁 번뇌의 뿌리인 것을
此身何足厭 : 이 몸을 어찌 싫어하리요?
一聚虛空塵 : 한 번 모인 허공의 티끌일 뿐인데
無戀亦無厭 : 그리움도 없고 싫어함도 없으면
始是逍遙人 : 비로소 바로 자유인이라네
출처 : blog.daum.net/songchen/3211336 청경우독(晴耕雨讀
注 是 : 바로 ~이다. 逍遙人 : 도교에서 절대자유를 얻은자, 무위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의 뜻.
(*)白居易 : 중국 중당시대(中唐時代:766~826)의 시인. 자는 낙천(樂天),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
원문 頷聯함연과 輕聯경연'何'字가 '可' 로 나와 있는 곳도 있어 원문 출처를 밝힙니다.
산우들과 술 한 잔 하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얼음 위에 누워있으니 호연재의 '醉作'이 떠오릅니다.
醉作(취해서리)
浩然齋 金氏
醉後乾坤闊 開心萬事平
悄然臥席上 唯樂暫忘情
취한 뒤에야 乾坤건곤이 트이고/ 마음을 여니 만사가 태평일세
조용히 자리 위에 누워 있으니/오직 즐거움 뿐 잠시 생각을 잊노라
注 乾坤건곤 : 天地, 悄然 : 고요히, 조용히, 唯 : 오직유, 暫 : 잠깐잠
세석에서 만난 <이장>님 사진입니다.
<이장>님 부부는 촛대봉에서 헤어지고...
사진<미산>님, <하늘바위>님
♣ 2012년도 지리산행 현황 ♣
순 |
내용 |
일시 |
박지 |
인원 |
입산 |
하산 |
비고 |
1 |
지리에 들어 遊娛山水하다 |
120101~04 |
중봉, 영신봉, 명선봉 |
6 |
백무동 |
뱀사골 |
12.31일성콘도/ |
2 |
지리동부 永郞岾 가는 길 |
120114~15 |
영랑대 |
4 |
조개골 |
새재 |
/ |
3 |
고행 산행 지리동부 |
120128~29 |
치밭텔 |
4 |
새재 |
조개골 |
/ |
4 |
세석의 명소를 찾아서 |
120204~05 |
청학연못 |
4 |
도장골 |
거림 |
/ |
5 |
지리동부 심설산행 |
120211~13 |
영랑대, 치밭목 |
7 |
조개골 |
새재 |
/ |
6 |
고매古梅의 향기를 찾아서 |
120309~11 |
새재, 영랑대 |
4 |
새재 |
조개골 |
/ |
7 |
軟綠의 細石坪田 |
120509~11 |
거림, 미산대 |
8 |
거림 |
자빠진골 |
|
8 |
신록의 동부능선 |
120526~28 |
백무동, 영랑대 |
5 |
백무동 |
어름터 |
|
9 |
남악南嶽 동부에서 노닐다 |
120601~03 |
소막골, 영랑대 |
3 |
조개골 |
새재 |
|
10 |
지리동부 옛길 |
120608~10 |
소막골, 영랑대 |
4 |
조개골 |
새재 |
|
11 |
지리동부 영랑재 |
120615~17 |
소막골, 영랑대 |
3 |
새재 |
새재 |
|
12 |
細石에는 기쁨도 근심도 없어라 |
120707~08 |
미산대 |
5 |
거림 |
도장골 |
|
13 |
지리 동북부 산행 |
120727~29 |
백무동, 영랑대 |
10 |
칠선계곡 |
벽송사 |
|
14 |
점필재 유두류기행시를 좇아서 |
120812~15 |
백무동, 영랑대, 향적대, |
4 |
적조암 |
한신계곡 |
|
15 |
가을로 가는 지리동부 |
120825~26 |
대원사, 하봉헬기장 |
6 |
새재 |
조개골 |
|
16 |
반야에는 반야가 없더라 |
120831~02 |
백무동, 반야봉 |
4 |
성삼재 |
심원 |
|
17 |
백무동 가내소 산책 |
120916 |
- |
3 |
한신계곡 |
한신계곡 |
|
18 |
지리동부 영랑재&세석 |
121001~03 |
영랑대, 시루봉 |
9 |
새재 |
거림옛길 |
|
19 |
점필재 발자취를 찾아서 |
121102~04 |
추성동, 새봉 |
4 |
광점동 |
송대마을 |
|
20 |
지리 남부능선&큰세개골 |
121012~14 |
잣나무숲, 미산대 |
4 |
쌍계사 |
대성골 |
|
21 |
거림과 세석에서 노닐다 |
121019~21 |
거림, 미산대 |
8 |
거림옛길 |
거림 |
|
22 |
지리동부 산문을 열다 |
121214~16 |
대원사, 영랑대 |
5 |
조개골 |
새재 |
|
23 |
지리 중북부 칠암자 송년산행 |
121228~30 |
백무동, 삼정산 |
8 |
음정 |
실상사 |
|
♣ 2012년도 기타 산행 현황 ♣
순 |
내용 |
일시 |
박지 |
인원 |
입산 |
하산 |
비고 |
1 |
대둔산 배티재 |
01.10 |
|
3 |
배티재 |
용문골 |
/ |
2 |
민주지산 2박 3일 |
0119~21 |
무인대피소 |
2 |
물한계곡 |
물한계곡 |
/ |
3 |
덕유산 2박3일 |
02.23~25 |
향적봉대피소 |
2 |
리조트 |
리조트 |
/ |
4 |
낙조대에서 도솔에게 묻다 |
02.27~28 |
낙조대 |
2 |
수락리 |
수락리 |
/ |
5 |
33산우회 백화산 정기산행 |
03.04 |
|
5 |
주차장 |
주차장 |
/ |
6 |
오리무중 대둔산 |
03.17~18 |
낙조대 대피소 |
7 |
수락리 |
수락리 |
|
7 |
꽃샘 추위와 대둔산 |
03.24~25 |
낙조대 |
2 |
월성봉 |
수락리 |
/ |
8 |
대둔산 종주산행 |
04.14~15 |
낙조대 |
5 |
월성봉 |
수락리 |
|
9 |
낙조대 雨中夜飮 |
04.21~22 |
낙조대피소 |
3 |
수락리 |
수락리 |
|
10 |
신록의 대둔동릉 오대산 |
05.05~06 |
낙조대 |
3 |
청령골 |
청령골 |
|
11 |
덕유산의 민들레 |
05.18~20 |
돌체 |
3 |
리조트 |
리조트 |
|
12 |
대둔산 낙조대 |
06.23~24 |
낙조대 |
2 |
태고사 |
태고사 |
|
13 |
낙조산장 산중야음 |
07.14~15 |
낙조대피소 |
5 |
수락리 |
수락리 |
|
14 |
추억의 내설악을 찾아서 |
08.04~06 |
봉정식당, 공룡, 대청봉 |
2 |
용대리 |
용대리 |
|
15 |
대둔산 호동골과 석천암능선 |
09.08~09 |
낙조대 |
5 |
호동골 |
수락리 |
|
16 |
덕유산 |
09.23 |
|
2 |
리조트 |
리조트 |
|
17 |
대둔산 수락리 야영장 |
10.06~07 |
수락야영장 |
3 |
수락 |
수락 |
|
18 |
대둔산 신선암 릿지 |
11.18 |
|
3 |
용문골 |
배티재 |
|
19 |
33산우회 대둔산 송년산행(90차) |
12.02 |
|
8 |
배티재 |
용문골 |
/ |
20 |
대둔산 낙조대 신설산행 |
12.08~09 |
낙조대 대피소 |
7 |
석천암 |
수락 |
|
21 |
덕유산 향적봉 |
12.19 |
|
2 |
리조트 |
삼공리 |
|
22 |
낙조대에서 세모를 보내고 |
12.31~01.01 |
낙조대 |
6 |
수락리 |
수락리 |
|
나의 오랜 산 방황을 이해하는 가족과 만날 수 있는 산우들과
찾을 수 있는 지리의 명소가 있으니 나는 정말로 행복합니다.
디카가 작동하지 않아 산우들의 사진을 빌렸고,
파란 하늘과 포근한 날씨가 산행을 도왔습니다.
함께한 산우들과 산에서 만난 분들 반가웠습니다.
'♣ 六友堂記 > 산행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봉에 살어리랏다(130126~27) (0) | 2013.01.27 |
---|---|
지리동부 심설유영&세석(130117~20) (0) | 2013.01.20 |
눈내리는 낙조대에서 세모를 보내고(121231~130101) (0) | 2013.01.01 |
지리 중북부 칠암자 송년산행 (121229~30) (0) | 2012.12.31 |
덕유산 향적봉(121219) (0) | 201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