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78

2025년(을사) 청흥문중 묘사봉행(250405)

2025년(을사) 청흥문중 묘사봉행(250405)    ▣ 일   시 : 2025년 04월 05일(토)▣ 장   소 : 논산시 벌곡면 덕곡리 영주사 납골 묘역▣ 인   원 : 35명(종손 학진, 정익, 정덕+1, 정진, 덕규+1, 동규+1, 영규, 범규+1, 지학, 민규(혁수)+1, 학현, 학성+1, 학렬+1, 용건, 학중, 선규+1, 정수, 지은, 자부, 은규+1, 학민, 홍규+1, 봉규, 윤재+1▣ 날   씨 : 흐리고 비    일기예보에 비소식이 있어서 걱정을 했는데, 조상님들께서 보우(保佑)하사 2025 청흥문중 묘사봉행을 무사히 마쳤습니다. 2017년 영주사 납골묘역으로 선대 묘소 25위를 옮긴지 8년이 되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당숙 어른과 종형님 네 분이 세상을 떠나셨고, 저도 며칠 전 어..

어머니 이술(李戌) 여사 장례식(250330~0402)

어머니 이술(李戌) 여사 장례식(250330~0402)   어머니께서는 1925년 4월 4일(음 3월 12일) 대덕군 진잠면 성북리(현 유성구 성북동)에서 출생하셨고, 2025년 3월 30일(음 3월 2일) 오후 3시 10분 영은원(논산시 벌곡면 덕곡리)에서 운명하셨다. 슬하(膝下)에 오남매(1남 4녀)를 두셨고, 향년 101세로 천수를 누리셨다. 요양원 입소 전까지 아들과 60년을 살았고, 며느리와는 30년을 함께 살았다. 어머니께서는 손주 3남매(1남 2녀)를 양육해 주셨다.   2009년 12월 10일 고대 안산병원에서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았다. 2011년 6월 13일부터 서울 삼성의료원에서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으셨다. 분당 셋째 누님이 어머니를 모시고 통원 치료를 전담했다. 2017년 후반부터는 ..

소나무 사진 작가 강호철님의 대둔산 삼형제 바위

소나무 사진 작가 강호철님의 대둔산 삼형제 바위    오래전에 대둔산에서 만난 포항에 사시는 강호철님의 작품입니다. '대둔산 삼형제 바위 사계'를 담기 위해 수십 번 대둔산을 오르내리셨다고 합니다. 금년에는 '대둔산 삼형제 바위 사계'를 완성하시기를 바라며, 작품을 공유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오태 효령대군 영당 제향 봉행(250325)

오태 효령대군 영당 제향 봉행(250325)  ▣ 일 시 : 2025년 03월 25일(화)▣ 장 소 : 오태 효령대군 영당(경북 상주시 공검면 오태리 789)▣ 날 씨 : 맑음(미세 먼지와 의성 산불로 연기가 가득함)      효령대군(孝寧大君) 영당(影堂) 비   이곳은 조선왕조(朝鮮王朝) 태종대왕의 제2 왕자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영정을 모신 영당(影堂)입니다. 대군(大君)께서는 태조 5년(1396)에 誕生하시고 성종 17년(1486)에 卒하셨으며 휘(이름)는 보(補)요, 자(字)는 선숙(善淑), 아호는 연강(蓮江)이시고, 시호(諡號)는 정효(靖孝)이시며 종묘(宗廟) 공신당(功臣堂)에 배향(配享)되었습니다.   임진왜란 때 9대 종손 성민(聖民) 공이 난을 피하여 이곳 영남 함창(咸昌) 땅에 들어와..

대둔산 동학 농민혁명 최후 항전지를 찾아서 II

대둔산 동학 농민혁명 최후 항전지를 찾아서 II  ▣ 일 시 : 2025년 03월 22일(토)~23일(일)▣ 코 스 : 대둔산 주차장-동학혁명 전적비-동심정-석두골-최후 항전지-마천대-낙조대 산장-생애봉-장군약수터-배티재▣ 날 씨 : 맑음(10도), 바람    지난주 답사 후, 동학 농민군이 70여 일을 항전하였다는 기록에 의문이 남았다. 항전지 가까운 곳에 샘이 없는데, 많은 인원이 장기간 어떻게 항전하였을까. 또 하나의 의문은 동학 연구한는 분들이 동학군 최후 항전지를 형제바위(미륵바위)로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석두골 초입에서 200m 정도 올라가면 창끝처럼 뾰족한 두 개의 바위가 보인다. 형제바위라는 것을 직감할 수 있다. 동학 농민군 최후 항전지에서 형제바위는 직선 거리로 70m 정도 떨어..

대둔산 동학 농민혁명 최후 항전지를 찾아서 I

대둔산 동학 농민혁명 최후 항전지를 찾아서 I  ▣ 일 시 : 2025년 03월 15일(토)▣ 코 스 : 동학혁명 전적비-동심정-석두골-최후 항전지-마천대-낙조대 산장-허둔장군절터-수락리▣ 인 원 : 3명▣ 날 씨 : 흐림(8도), 바람    지난 3월 6일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 박용규 박사님께 전화를 받았다. 자신을 동학 농민운동을 연구하는 사람이라고 밝히며, '대둔산 동학 농민혁명 최후 항전지'에 대해 물어왔다. 오래전 대둔산 금강골 입구에 있는 전적비 안내문 정도를 읽어본 기억밖에 없다고 말씀드렸다. 3월 13일에는 신문에 직접 기고한 대둔산 동학 관련 기사를 보내오셨다. 할 일 없는 사람의 궁금증에 불을 댕긴 셈이다. https://lyg4533.tistory.com/16489072 민족문제연구..

문석봉(文錫鳳)의 『의산유고(義山遺稿)』 「토비략기(討匪略記)」

문석봉(文錫鳳)의 『의산유고(義山遺稿)』 「토비략기(討匪略記)」    1895년 1월 6일(음 94년 12월 11일) 진잠에 출진한(출진하는데), 충청감사 박제순(朴齊純)이 이르기를, “진잠에 사는 박만종(朴萬宗)은 삼남의 비류 도대장(都大將)이며, 또한 금영(錦營)1)을 범하여 이미 금산을 함락하고, 사람을 죽인 것이 전봉준·김개남 2적보다 더 많다. 만일 이 적을 잡게 되면 공이 막대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대답하기를, “진잠은 거리가 이곳에서부터 60리입니다. 오늘 해시(亥時, 오후 9∼11시)에 박만종을 잡아 휘하에 바치겠습니다”라고 하였다. 1) 금영(錦營) : 충청도(忠淸道) 남영.    이에 즉시 군대가 마구점(馬口店,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 20리까지 행진하여 먼저 여행증명서(路文)2)를 ..

민족문제연구소 박용규 님이 보내온 동학 관련 자료

항일 동학투사 16명 학살당한 곳, 벌곡 도산리 집터 찾아보니 박용규(hanbong)등록 2025.03.12 16:39수정 2025.03.12 16:39    필자는 논산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김선덕 회장으로부터 1895년 양호소모사 문석봉(文錫鳳,1851∼1896)으로부터 항일 동학투사 16명이 학살된 김세마 집터 위치를 알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지난 3월 1일 김세마 집터를 확인하고자 탐방에 나섰다. 당일 계룡역에 도착하자, 김선덕 회장과 김대훈 선생이 기다리고 있었다.   김선덕 회장과 김대훈 선생, 그리고 필자는 김세마 집터가 있는 곳으로 향하였다. 먼저 식당에서 점심 식사를 하였다. 이어서 충남 금산군 진산면 행정2리 노인회관 앞에 세워져 있는 '동학 최후의 항쟁지'라고 쓴 표지석을 탐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