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友堂記/산행기록

대둔북릉과 마천대 가는 길(170422~23)

도솔산인 2017. 4. 23. 20:40

 

대둔북릉과 마천대 가는 길(170422~23)
 

▣ 일   시 : 2017년 04월 22일 ~ 23일

▣ 코   스

   - 1일차 : 수락전원마을 - 대둔북릉 - 돛대봉 - 낙조대 - 삼군봉 - V계곡 - 낙조산장

   - 2일차 : 낙조산장 - 칠성봉전망대 - 케이블카전망대 - 구름다리 - 삼선교 - 마천대 - 829봉 - 청룡능선 - 군지계곡 구름다리 -석천암 - 상수락 

▣ 인   원 : 첫날 2명(솔레이님), 둘쨋날 3명(솔레이님, 김선권님)

▣ 날   씨 : 포근함

 

 

 

月夜聞子規 : 달밤 子規 울음소리를 듣고

 

                                                    이규보(李奎報)

 

                                                                     寂寞殘宵月似派(적막잔소월사파) : 적막한 밤, 달빛은 물결처럼 잔잔한데

                                                                     空山啼遍奈明何(공산제편내명하) : 텅빈 산 곳곳에서 두견새 울음소리 날이 새면 어이하나

 

                                                                     十年痛哭窮途淚(십년통곡궁도루) : 십년을 통곡한 곤궁한 자의 눈물

                                                                     與爾朱脣血孰多(여이주순혈숙다) : 너의 붉은 입술과 피빛 중에 어느 것이 짙은가.

 

 

*窮途 : 끊긴 길. 막다른 길, 곤궁한 처지. 곤경에 처한 사람.

  

진달래를 다른 말로 두견화 라고도 함. 진달래 필 무렵 두견새가 울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대둔북릉 돛대봉(170402)

 

 

 

 

 

 

 

 

 

 

 

 

 

 

 

돛대봉

 

 

 

 

 

 

 

 

 

 

태고사

 

 

오대산과 상여봉

 

 

대둔북릉 올라온 길

 

 

낙조대

 

 

 

 

 

 

 

 

 

 

 

 

 

 

태고사

 

 

삼군봉 동문길 박터

 

 

 

 

 

 

 

 

 

 

 

 

 

 

 

 

 

 

 

 

 

 

 

 

 

 

 

 

 

 

 

 

 

 

 

 

 

 

 

 

 

 

 

 

 

 

 

 

 

 

 

 

 

 

 

 

 

 

 

 

 

 

 

 

군지협곡

 

 

 

 

一广(일엄)

 

# 석천암 巖窟에 있는 刻字 一广에 대하여

 

 김상일[金相日] 1756(영조 32) ~ 1822(순조 22)  자는 자산(子山), 호는 일엄(一广) 또는 농수(聾叟). 충청남도 연산 출신. 장생(金長生)6대손이며, 아버지는 기택(箕澤)이다. 위기지학(爲己之學)에 뜻을 두고 심경(心經)·근사록등을 탐독하여 문견록(聞見錄)을 지었다. 산수를 좋아하였으며 시문에 뛰어났다. 저서로는 일엄유고2권이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김상일 [金相日]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一广遺稿 : 3권 2책. 활자본. 아들 숙(○)이 편집, 1853년(철종 4) 손자 재직(在直)이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재직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298수, 권3에 서(序) 4편, 기 1편, 발 2편, 설(說) 2편, 잠(箴) 1편, 명 5편, 제문 4편, 잡저 6편, 부록으로 묘지명·묘갈명 각 1편, 그리고 『소안재유고(小安齋遺稿)』에 시 62수와 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런데 서(書)가 없는 것이 특이하다. 시는 곤륜(崐崙)·한라(漢拏)·금강(金剛)·지리(智異) 등 명승을 읊은 것이 가장 많다.

 

 

 

         

 

[돌을 베개 삼고 샘물로 양치질 한다.] 일엄 김상일의 필획

 

 

太古寺 우암 송시열선생의 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