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죽을 모두 벗기면 털도 자랄 데가 없다
- 남명 조식의 을묘사직소
남명 조식은 조선 중기의 한 획을 그은 지식인이다. 이른바 사림 정치가 시작되는 명종 선조 간의 앞 시기를 대표하는 사람으로서 평생 재야에 머물렀다. 하지만 그가 끼친 영향은 조정에 있는 정치인에 못지않았으며, 정치가 반드시 지위를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님을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1553년 퇴계 이황이 현실정치에 참여해 달라고 간곡히 요청하였으나 거절하였고, 1555년 명종이 그를 단성 현감에 제수하였으나 그 역시 거절하였다. 이때 그 거절한 사유를 밝힌 것인 바로 「을묘사직소」인데, 아래 내용은 그 두 번째 대목이다.
전하의 국사는 이미 글렀고, 나라의 근본은 이미 망했으며, 하늘의 뜻은 벌써 가버렸고, 인심도 이미 떠났습니다. 마치 큰 나무를 벌레가 백 년 동안 속을 갉아먹어서 고액이 이미 말라 버린 채, 멍하니 질풍 폭우에 쓰러질 날만 기다린 지가 오래된 것과 같습니다. 조정에 충성스러운 신하와 근실한 선비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미 형세가 기울어서 지탱할 수 없으며, 사방을 둘러봐도 손을 쓸 수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조식은 국가의 상황에 대하여 말한다. 국세가 기울어져 망할 지경이 되었다. 마치 오랫동안 벌레 먹은 고목처럼 겉은 멀쩡하지만, 비바람 한 번이면 단박에 쓰러지고 말 것이다. 충성스러운 신하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미 손쓸 수 없는 지경이 되어 버린 것을 아는 까닭에 더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런데도 하급관료는 아래에서 희희낙락하며 주색잡기에 여념 없고 고관대작은 위에서 아무 일도 없다는 듯 오직 뇌물 챙겨 재산만 불리니, 뱃속은 썩어가는 데도 약을 쓰기 싫어하는 것입니다. 또 서울에 있는 신하는 궁궐에다 사람을 심어놓고 마치 깊은 못 속의 용처럼 서리서리 얽혀있고, 지방의 신하들은 백성에게 가렴주구를 하여 그 자취가 온 들판에 낭자하니, 가죽이 모두 벗겨지면 털도 붙을 곳이 없다는 것을 모르는 것입니다. 신이 하늘을 우러러 장탄식을 한 것이 하루 이틀이 아니며, 잠 못 이루고 천장을 바라보면서 한숨을 억누른 것이 어제오늘이 아니었습니다.
행정의 주체인 관료의 부패상을 말한다. 하급 관리는 주색에 빠져있고, 고급 관료는 뇌물에 골몰한다. 병은 깊은데 고칠 생각은 없다. 더구나 중앙의 고관은 궁궐과 결탁하고 지방의 수령들은 백성을 가렴주구의 대상으로만 삼는다. 가죽이 다 벗겨지면 털은 어디에서 나며, 백성이 피폐해지면 국가는 무엇에 의지하고, 양반은 또 어떻게 살겠는가?
자전께서는 사려가 깊으시나 구중궁궐의 한 과부에 지나지 않으며, 전하께서는 어리시니 다만 선왕의 한 고아일 뿐입니다. 백 천 가지 하늘의 재앙과 억만 갈래 백성의 마음을 어떻게 감당하시며 어떻게 수습하시겠습니까? 개천은 마르고 좁쌀비 떨어지니 이 조짐이 무엇이며, 노래 슬프고 흰 옷 입으니 형상 이미 드러났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아무리 자전이라고 해도 일개 과부에 지나지 않고, 더 없는 국왕이라고 해도 아비 없는 고아일 뿐이다. 이는 백성이 없다면 국가도 없고, 따라서 국왕도 없기 때문이다. 조식은 말한다. 하늘이 내린 재앙은 백성을 보호하지 못한 결과이며, 억만 갈래로 갈라진 민심은 왕의 존재를 무의미하게 만든다고.
抑殿下之國事已非, 邦本已亡; 天意已去, 人心已離. 比如大木, 百年䖝心, 膏液已枯, 茫然不知飄風暴雨何時而至者, 久矣. 在廷之人, 非無忠志之臣夙夜之士也. 已知其勢極而不可支; 四顧無下手之地.
小官嬉嬉於下, 姑酒色是樂; 大官泛泛於上, 唯貨賂是殖. 河魚腹痛, 莫肯尸之. 而且內臣樹援, 龍挐于淵; 外臣剝民, 狼恣于野, 亦不知皮盡而毛無所施也. 臣所以長想永息, 晝以仰觀天者, 數矣; 噓唏掩抑, 夜以仰看屋者, 久矣.
慈殿塞淵, 不過深宮之一寡婦; 殿下幼冲, 只是先王之一孤嗣. 天災之百千, 人心之億萬, 何以當之, 何以收之耶? 川渴雨粟, 其兆伊何; 音哀服素, 形象已著.
- 조식 (曺植, 1501~1572)「을묘사직소(乙卯辭職疏)」 『남명집(南冥集)』권2
☞ 抑 : 발어사(생각하건대)
▶ 남명 조식의 묘소, 그가 제자들과 강학하던 지리산 산천재의 뒷산자락에 있다.
남명 조식은 재야의 절사로 알려졌다. 당시 왕인 명종과 실권을 쥔 모후 문정왕후를 향한 직설은 정치문제로 비화되었지만. 결국은 기개 있는 재야의 선비가 당대의 권력자인 모후를 향해 불경한 말을 거침없이 한 정도로 서로 양해되었다. 하지만 좀 더 곱씹어 보면 그 말의 함의가 간단치 않다. 무왕이 제후로서 천자인 주를 정벌한 것에 대하여 맹자는 천명을 잃은 왕은 일개의 필부에 지나지 않는다고 천명을 매개하여 말하였지만, 백성 없이는 왕도 없다는 조식의 말은 훨씬 직선적이고 간명하다. 왕과 백성은 공생의 관계라는 뜻이다.
근년에 우리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행한 말이 “1:99” 이다. 한 때는 “2:8의 법칙”이라는 자못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 유행하더니, 이제는 1:99가 나왔다. 상위 1%에 의해 공동체의 재화가 과점된 현상을 표현한 이 말은, ‘1’에게도 좋은 것이 아니지만 ‘99’를 소외케 한다는 점에서 더욱 나쁘다. 그런데도 ‘99’에서 이런 말이 더욱 많이 쓰이는 이유는 ‘99’를 결집시키려는 정치적 의도가 배어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99’가 정당한 경쟁의 결과라고 생각하는 우리 자신의 인식도 한몫을 하고 있다.
백성을 수탈의 대상으로만 인식하여 제 가죽을 벗겨 내던 조식 시대의 위정자들과 능력만 있으면 필요에 상관없이 사회의 재화를 독점해도 좋다고 경쟁을 부추기는 지금의 우리가, 본질적으로 달라 보이지 않는다. 더구나 조식은 ‘1’의 입장에서 자신들의 문제점을 분명하고도 직선적으로 지적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의 ‘1’이 과연 그런 공생적 관점을 갖고나 있는지 참으로 궁금할 뿐이다.
글쓴이 : 서정문
|
'♣ 盈科後進 > 고전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속을 좇는 삶 (0) | 2013.07.09 |
---|---|
『저항과 아만』 호동거실 평설 (0) | 2013.03.21 |
우상 이언진 虞裳 李彦瑱 1740-1766 (0) | 2013.03.13 |
이언진(李彦瑱,1740~1766)의 『衚衕居室』 (0) | 2013.03.12 |
[고전산문 261] 젊은이들이여, 힘겨워도 좌절하지는 말자 (0) | 201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