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友堂記/♧작업실

姜錫佐(1777~1853)의 『重隱集』 卷1 遊錦山記

도솔산인 2022. 11. 15. 22:25

姜錫佐(1777~1853)의 『重隱集』 卷1 遊錦山記(1,204자)

 

 

  아직 발굴되지 않은 남해 금산 유람록이다. 강석좌(姜錫佐, 1777~1853)는 조선 후기 하동에서 활동한 학자이다. 기묘년(1819, 순조 19) 가을 남극 노인성을 보기 위해 중직(仲直) 강경운(姜景雲), 박원종(朴願從), 박필권(朴必權) 등과 금산을 유람한다. 우리나라에서 노인성을 볼 수 있는 곳은 제주도와 금산 보리암, 지리산 법계사이다.

 

  1896년 8월 천왕봉에서 노인성을 보기 위해 지인들과 함께 산행한 두산(斗山) 강병주(姜柄周, 1839~1909)는 두류행기(頭流行記)에 「"옅은 구름이 문득 개여 별이 남쪽에 나타났다. '크기는 계명성(啓明星)만하고 빛깔은 약간 붉으며, 춘분과 추분에 땅으로부터 30길 정도 떨어진 곳에 나타난다.'라는 내용이 『천문지(天文誌)』에 실려있다. 황사(篁沙) 강영(姜令)은 73세의 연세에도 불구하고 시력이 매우 밝았다. 먼 것이 잘 보이지 않는 사람이 묻기를 "천상의 노인께서는 보이십니까?"라고 하자 강령(姜令)이 웃으며 대답하기를 " 나는 노인성을 명쾌하게 보지 못하지만 노인성은 나를 볼 것이니 '뵙는다.'고 말하는 것이 옳지 않겠소."라고 했다.」 [출처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5권(최석기외)]

 

 두산(斗山) 강병주(姜柄周, 1839~1909)는 강석좌(姜錫佐)의 손자이다. 

 

 

▶ 1819년 강석좌(姜錫佐)의 遊錦山記에 나오는 노인성

 

  또한 묻기를 “남극 노인성을 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가?”라고 하자  (도승이) 말하기를 이별은 땅에서 나오는 때에 바다에 있어  해가 뜨지 않고 해무가 일지 않아야  이 까닭으로 보이는 것이 선명합니다. 소승은 겨우 두 번 보았습니다.”  (내가) 말하기를 “노인성을 보면 수명이 연장된다고 이르는 것이 믿을만합니까?”  (도승이) 말하기를 “금산 아래에 사는 사람은 80세 90세가 많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100세가 넘는 사람이 있는데 이 또한 기이한 일입니다.”라고 하였다.[又問 南極老人得見否 曰是星出地自有時海 則無日不瘴 是以見者鮮矣 而小僧纔再見 曰見則延壽云者信諸 曰錦山下居人多八九十歲 或有過百歲者 是亦異事也]

 

 

遊錦山記 有詩有歌詞逸

 

錦山號稱小金剛擅名於東國者也歲己卯秋與族人仲直景雲甫約日登程賚略干糧至鼓洞文生家暫憩暮抵龍湖訪鄭士克門碁酒永夕翌日至前芳村三從弟善之贅於梁生潝者有年欣倒款接仍過仲坪有朴生必權中路要之朴願從許之訪大峴鄭毅之講道舊故是夕鄭義卿德老氏來見翌日到露梁津風恬利涉有忠武公祠扁其門曰淸海樓有大碑宋尤庵撰同春書仍曠感吟一絶時昆倅攜二客三妓向錦山云路次華芳寺翌朝飯南海邑入黌堂有金鄭兩有司在賖酒待之仍之城南靑帘在在當壚者皆冶容景雲笑曰此可謂小江南留宿何如僉曰然第見潮方退隊隊採蚌而歸者童女錯焉龍門寺距此四十里路邊店無飯野多饁或全器進勸淳厖之民彝於此可見申刻到招提境峯巒回環樹林幽邃前通滄海罔有涯涘登洗塵閣諸僧恭納叉拜有一老釋笑曰此非商雒不圖四老來臨也是夕香燈互暎鍾磬交發令人心神惺惺有一釋淸癯認非凡容接話頗博古余問玆山或云自白雲來故曰望雲或云自金鰲落而渡海故曰露梁二說孰是曰華芳寺有古蹟的證來自白雲道僧所識云又問南極老人得見否曰是星出地自有時海則無日不瘴是以見者鮮矣而小僧纔再見曰見則延壽云者信諸曰錦山下居人多八九十歲或有過百歲者是亦異事也有措大一人姜姓云余問聖德曁遠命八大 姓自汾陽徙于此已有世到今皆何樣曰李河稍振姜最衰余曰此所謂渡海爲枳也卯刻離桑門而下 諸僧出餞頗似知禮然有官邊人號呼於洞口山掀葉振須臾緇徒數十人夾道奔走問之曰地倅與昆倅命來擧藍輿云余笑曰官令之嚴嚴於猛虎也到山下兩倅聯輿先登趍從者不可勝記問錦山幾里僧曰十里有奇而費人力甚於平地二三十里云艱關登登到烽燧漢山屋憊苶仍宿欲觀日出被瘴霧未能烽臺此山之最高處依然坐萬頃波上一葉艇神眩髮竦不可久留余笑曰帝恐漂流命六鰲戴之者非耶遙望風外點點若浮來者曰蓮花島浴池島頭尾嶼世尊嶼也雲裏隱隱羅立者曰日月峯將軍峯也丹崖翠壁便是神剜鬼刻長松老檜延藤落楓紅綠互暎有若開畫展錦錦山之名蓋以此歟金剛余所不見方丈吾所棲止至若雄俊鉅麗此固祖乎方丈而以奇絶言之方丈之所無者此或有之轉眄石面往往多前輩之名而吾先君去己未年登此惟有日記可攷景雲曰山上惟有菩提一庵而彼昆南兩倅先著鞕吾輩於何留宿此便仙境也彼食肉輩容易騰踏仙靈何不呵禁也余笑曰如欲學仙雲卧 何傷忽見單房庵懸於巖罅有老釋一人對蓮花經見客而禮焉仍請宿食釋曰坐卧僅容而客曾學辟粒之術乎景雲曰未也吾當變通於官廚老釋爲之炊又兼海菜寅刻齊興望隅夷扶桑又被瘴嵐戲之余曰大師老於玆山者願爲我指路曰敢不承於是裹餱聯筇峯峯遍覽有臺高數仞如浮屠塔樣然不容人巧而天作者曰坐仙臺也巨石對立雙柱架之以石高可建五丈旗吐納雲嵐者曰虹門也巖面成臼以杵鼓之則金石管絃之音發於地中者曰聲音窟也石面有泉不溢不縮飮之甚甘者曰甘露泉也有窟通崖陰風飀飀冷溜滴滴以火燭之不測其深 長者曰龍窟也奇石坐於鉅巖上殆類搏翼將鳴然者曰鷄石也老釋曰外此別無可觀聞有徐市過此四字安在哉老釋曰在逼海絶壁泛船可指證而苔沒不能審甚字也(“ ‘서불과차(徐市過此)’ 네 자가 있다는 데 어디에 있는가?”라고 하니 노승이 말하기를 바닷가 절벽에 있는데  배를 띄워야 가리켜 밝힐 수 있으나 이끼에 파묻혀 어떤 글자인지 살필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余曰玆山大觀蓋在海也而目擊有勝於耳聞安得良畫師移得一幅也

 

출처 : 경상대학교 도서관 문천각

 

강석좌(姜錫佐, 1777~1853)

 

정의

조선 후기 하동에서 활동한 학자.

 

가계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성숙(聖叔), 호는 중은(重隱). 은열공(殷烈公) 강민첨(姜民瞻)의 후손이다. 7대조 강인보(姜仁輔)는 하양현감(河陽縣監)을 지냈으며, 6대조 만송(晩松) 강렴(姜濂)은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이었다. 고조할아버지는 찰방을 지낸 강림(姜琳)이며, 증조할아버지는 강동열(姜東悅)이고, 할아버지는 강주세(姜胄世)이다. 아버지는 강득후(姜得垕)이며, 어머니는 창녕 성씨(昌寧成氏)이다. 부인은 정이하(鄭履河)의 딸인 진양 정씨(晉陽鄭氏)이며, 그 사이에 45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강석좌(姜錫佐)[1777~1835]는 이른 나이로부터 과거를 단념하고 위기지학(爲己之學)에 힘썼으며, 근사록(近思錄)를 비롯한 성리학(性理學) 서적을 즐겨 읽었다. 항상 몸가짐을 단정히 하였으며, 한 글자라도 건성으로 쓰는 법이 없었다. 옥동(玉洞)에 은거하여 학문을 닦고 학생들을 가르쳤는데, 1825(순조 25) 족질 강철준(姜澈濬)과 함께 은열공의 영당(影堂)과 재실(齋室)을 중창하였다. 1831(순조 31) 봄 셋째 아들 강지준(姜之濬)을 데리고 지리산 가례암(家禮巖)에 들어가 고려조의 처사 한유한(韓惟漢)의 시에 차운하여 바위에 새겼다. 이후 이곳에 머물며 한가로이 유유자적하였는데, 초사(楚辭)귀거래사(歸去來辭)를 즐겨 읊곤 하였다.

 

이외에도 화개(花開)와 쌍계사, 칠불사(七佛寺), 금오산(金鰲山), 금산(錦山) 등을 두루 유람하면서 시를 지었다. 1835년 옥동으로 돌아와 고반서숙(考槃書塾)을 지어 학생들을 가르쳤다. 또한 남전 여씨(藍田呂氏)의 향약을 본받아 동약(洞約)을 만들어 풍속을 교화하였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매우 뛰어나서, 1802(순조 2) 부모가 모두 병으로 앓아눕자 의관을 벗지 않고 밤낮으로 곁에서 간호했다. 또한 부모가 위독할 적에는 자신의 손가락을 베어 피를 부모의 입에 흘려 넣어 몇 번씩이나 소생시켰다. 부모가 죽은 뒤에는 정성을 다하여 시묘를 살며 3년상을 지냈다.

 

학문과 저술

문집으로 중은집(重隱集)이 있다.

 

참고문헌

중은집(重隱集)

하영기, 진주통지(晉州通志)3(인물, 1964)

[네이버 지식백과] 강석좌 [姜錫佐]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