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友堂記/산행기록

영랑대에 꽃이 핀들 봄이런가?(150503~05)

도솔산인 2015. 5. 5. 17:59

 

영랑대에 꽃이 핀들 봄이런가?(150503~05)

 

▣ 일   시 : 2015년 05월 03일 ~ 05일

▣ 코   스 : 덕천강 - 새재 - 치밭 - 영랑대(원점회귀)

▣ 인   원 : 4명

▣ 날   씨 : 첫날 포근, 이튿날 -4도

 

 

적조암에서 쌍계사까지(130517~19)

 

 

 

                                        德山卜居 : 덕산에 터를 잡고          

 

 

                                                                               曺 植[조 식]

 

 

                                春山底處无芳草[춘산저처무방초] : 봄산 어디에 이른들 향기로운 풀이 없으랴만

                                只愛天王近帝居[지애천왕근제거] : 天帝가 사는 곳 가까운 천왕봉을 사랑할 뿐이라네

  

                                白手歸來何物食[백수귀래하물식] : 빈손으로 왔으니 무엇을 먹을 것인가?

                                十里銀河喫有餘[십리은하끽유여] : 십리 은하 흐르는 물 먹고도 남으리 

 

                                底 : 밑 저, 이를 저. 无 ; 없을 무(無) (제거) : 천제()가 사는 곳. 喫 : 마실 끽

 

 

 

 

 

 

 

 

                               # 1. 덕산에서 하룻밤을...

 

                               을미 3월 보름 밤 물안개 피어나는 덕천강边...

                               밤새도록 십리 은하 강물이 달리는 소리를 들었다.

                              

 

 

 

 

 

산천재

 

 

 

                               # 2. 덕천강의 아침

 

                               德川江은 해가 떠오르는 동쪽을 향해 흐른다.

                               세시풍속에 음력 6월 15일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 流頭라고 하였다.

 

                               지리에 들면 마음의 안정을 찾으려나.

                               한 달이 넘었으니 생병이 날만도 하지.

                               그래도 덕산 아침 공기를 마시니 살 것만 같다.

 

                               진달래가 피면 두견새가 슬피 우는 곳으로...

                               산친들과 無何有之鄕의 불랙홀로 빨려 들어갔다.

 

                               離俗의 출렁다리를 건너자

                               다음날 아침까지 차가운 바람이 매몰차게 불어댔다.

                               무제치기폭포 전망대 바람이 거세어 발을 붙일 곳이 없었다.

 

 

 

 

 

 

                               봄산 어디에 이렇게 향기로운 풀이 많단 말인가?

                               능선에 오르니 얼레지와 현호색 群落이 산객들을 반겼다.

 

                               꽃은 꽃이 아닌 것을...

                               '누가 감히 식물의 거시기에 자꾸 렌즈를 들이대는겨?'

                              

                              

 

 

                               하봉에 오르니 狂風이 몰아쳐서 일단 후퇴하고...

                               영랑대 포토 전망바위에서 겨우 위풍당당한 영랑의 위용을 담았다.

                               이곳을 화랑봉이라고 하는 이들도 있다.

                                

 

 

                               그대는 지난 해 D팩을 열고 꽃등심을 훔쳐간 범인이 아닌가?

 

 

                               아니 <미산>선생님 손에 저 뭐꼬.

 

 

 

 

 

 

 

 

 

                               # 3. 無何有之鄕에서 노닐다.

 

                               을미 삼월 기망 도솔은 산친들과 영랑재에서 노닐다가

                               폭풍 같은 파도소리와 바람소리에 잠을 이루지 못했다.

 

                               밤새 구상나무와 숲의 정령들이 소곤대는 환청을 들었다.

                               새벽에 새소리에 일어나 여명의 영랑재를 산책를 하였다.                            

 

 

 

                               아니! 선생은 어제 해질 무렵 영랑대에서 三足烏와 노닐던 분이 아니오?                              

                                

 

 

 

 

 

 

 

 

 

 

                               바로 이곳이 지리의 無何有之鄕이 아닐런지.

 

 

 

 

 

 

 

 

 

 

 

 

 

 

 

 

 

 

 

* 無何有之鄕[무하유지향]이란?

 

아무것도 없는 곳. 어디에도 있지 않은 곳. 장자가 말하는 이상향을 말한다. 무하유(無何有)는 ‘어떤 것도 없는 것’ 을 말하고, 향(鄕)은 ‘곳’을 가리킨다.

 

[출전]

「천근(天根)이 은산의 남쪽에서 놀다가 요수의 강가에 이르러 무명인(無名人)을 만나 물었다.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은 어떤 것입니까?” 무명인이 말하였다. “물러가거라. 너는 비천한 사람이로구나. 어찌 그따위 유쾌하지 못한 일을 묻는가? 나는 지금 조물주와 더불어 벗하고 있지만, 싫증이 나면 저 하늘을 나는 새를 타고 천지의 밖으로 나아가 그 어디에도 있지 않은 곳에서 노닐다가 광야에 살고자 한다. 너는 어찌 천하를 다스리는 일 따위로 내 마음을 어지럽히려 드는가?”(天根遊於殷陽, 至蓼水之上, 適遭無名人而問焉. 曰, 請問爲天下. 無名氏曰, 去. 汝鄙人也. 何問之不豫也. 予方將與造物者爲人厭, 則又乘夫莽之鳥, 以出六極之外, 而遊無何有之鄕, 以處壙垠之野. 汝又何以治天下感予之心爲.)」

 

 이 이야기는 《장자(莊子) 〈응제왕(應帝王)〉》에 나온다. ‘무하유지향’이란 이른바 무위자연의 도가 행해질 때 도래하는, 생사도 없고 시비도 없으며 인위적인 것도 없는 참으로 행복한 곳, 또는 마음의 상태를 가리킨다. ‘무하유지향’은 ‘현실적으로는 아무 데도 존재하지 않는 이상향’을 가리키는 말인 유토피아(Utopia)와 동일한 개념을 가진 말이다. Utopia는 그리스 어의 ‘없는(ou-)’과 ‘장소(toppos)’라는 두 말을 결합하여 만든 용어로, 토머스 모어(Thomas More, 1477∼1535)의 공상 소설 제목이다. ‘무하유지향’은 《장자》의 〈소요유(逍遙遊)〉와 〈지북유(知北遊)〉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펌]

 

 

 

 

 

 

 

 

 

 

 

 

 

                               # 4. 꽃이 핀들 봄이런가?(見櫻花有感)

 

 

                                                                  한용운(韓龍雲, 1879~1944)

 

                               昨冬雪如花(작동설여화) : 지난 겨울엔 눈도 꽃이려니

                               今春花如雪(금춘화여설) : 이번 봄날엔 꽃도 눈이런가?

 

                               雪花共非眞(설화공비진) : 눈도 꽃도 다 진리가 아니거늘

                               如何心欲裂(여하심욕렬) : 어찌 마음이 찢어지려 하는가?

 

                           

산천재는 지리산이다(141206~07)

 

 

                               하봉에는 진달래가 피었고,

                               덕천강변에는 碧梧桐이 연보라 꽃을 피웠더라.

 

                               꽃이 핀들 봄이런가? 우리네 인생은 가을인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