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六友堂記/산행기록

지리 동북부 적조암에서 쌍계사까지(130517~19)

도솔산인 2013. 5. 20. 08:52

 

지리 동북부 적조암에서 쌍계사까지(130517~19)

 

 

▣ 일   시 : 2013년 5월 17일(금) ~ 19일(일)

▣ 대상산 : 지리산

▣ 코   스 : 적조암 -  쌍계사

 

 적조암 - 환희대 - 선열암 - 유슬이굴 - 선녀굴  - 의논대 - 고열암 - 신열암 - 함양독바위 - 새봉 - 진주독바위 - 청이당  - 영랑재 - 중봉 - 천왕봉

- 장터목 - 촛대봉 - 세석 - 창불대 - 음양수 - 석문 - 삼신봉 - 내삼신봉 - 송정굴 - 쇠통바위 - 하동독바위 - 상불재 - 불일폭포 - 봉명산방 - 쌍계사

 

▣ 인  원 : 선수 3명

 

2008년 12월 27일 쌍계사에서 적조암 종주를 하다가

삼신봉에서 발목 골절로 헬기를 탄 일이 있었는데....

 

081227(삼신봉)

 

문득 당시의 일을 상기하니 함께했던

<미산>님 <공교수>님 <사니조아>님이 보고 싶네요.

 

--------------------------------

 

이른 아침 백무동 <죽비자>님 신세를 진다.

 

용유담 지나고 엄천강 건너서 적조암의 아침!

사찰은 4월 초파일 법회 준비로 분주하다.

 

 

山客들을 절대 반길 수 없다는 팻말이 있음에도

마을 분들의 수고로 등로는 잘 정비 되어 있다.

 

 

순조롭게 환희대에 올라가 잠시 숨을 고른 후

선열암 의논대 고열암 시로 신선 놀음에 들어가니

얼굴에는 잔잔한 미소가 흐르고 즐거움이 넘친다.

 

 

선인들이 올랐던 옛길의 감회 글로 표현할 수 없으니,

점필재의 遊頭流紀行詩를 借하여 산행기로 대신한다.

 

 

 

 

 

 

 

선열암

 

 

 

先涅庵(선열암)

 

 

                                                                                                                金宗直(김종직)

 

                                                            門掩藤蘿雲半扃(문엄등라운반경) : 문은 등나무 덩굴에 가리고 구름은 반쯤 빗장을 질렀는데

                                                            雲根矗矗水冷冷(운근촉촉수냉랭) : 구름이 뿌리내린 우뚝 솟은 바위 석간수 맑고도 시원하구나.

 

                                                            高僧結夏還飛錫(고승결하환비석) : 하안거를 마친 고승은 석장을 날리며 돌아가고

                                                            只有林閑猿鶴驚(지유임한원학경) : 다만 숲은 한가로운데 은거하는 선비가 놀라는구나.

 

 

 

☞ 注  掩藤 : 등나무 扃 : 빗장경 닫을경. 矗矗 : 우뚝솟을 촉. 冷冷 : 맑고 시원하다. 結夏 : 하안거를 마침. 錫 : 錫杖, 禪杖 도사 승려가 짚는 지팡이 只 : 다만. 猿鶴 : '원숭이와 학'의 의미는 猿鶴沙蟲(원학사충)의 준말로 은거하는 선비를 이르는 말.

 

 

 

의논대에서 바라본 상내봉

 

 

議論臺

 

 

                                                                                                                                                       金宗直(김종직)

 

                                                                  兩箇胡僧衲半肩(양개호승납반견) : 호로중 두 사람이 장삼을 어깨에 반쯤 걸치고

                                                                  巖間指點小林禪(암간지점소림선) : 바위 사이 한 곳을 소림선방이라고 가리키네

 

                                                                  斜陽獨立三盤石(사양독립삼반석) : 석양에 넓은 반석(의논대)에 홀로 서있으니

                                                                  滿袖天風我欲仙(만수천풍아욕선) : 소매 가득 가을바람이 불어와 나도 신선이 되려하네

 

 

☞ 注  兩箇 : 두놈. 胡人 : 북방 서역의 이민족, 남을 업신여겨하는 말. 點 : 지점(장소) 한곳. 衲 : 장삼납. 箇 : 낱개 물건을 세는 단위. 三 : 클삼, 넓을삼

 

 

 

함양독바위

 

 

고열암지

 

 

 

宿古涅庵(고열암 박)

 

 

                                                                                                                                                 金宗直(김종직)

 

                                                                             病骨欲支撑(병골욕지탱) : 지친 몸 지탱하려고

                                                                             暫借蒲團宿(잠차포단숙) : 잠시 포단 빌려 잠을 자는데

 

                                                                             松濤沸明月(송도비명월) : 소나무 물결(파도소리) 달빛 아래 들끓으니

                                                                             誤擬遊句曲(오의유구곡) : 국곡선경에 노니는 듯 착각하였네.

 

                                                                             浮雲復何意(부운복하의) : 뜬 구름은 또한 무슨 뜻인가?

                                                                             夜半閉巖谷(야반폐암곡) : 한밤중 바위 골짜기 닫혀있구나

 

                                                                             唯將正直心(유장정직심) : 오직 올곧은 마음을 가진다면

                                                                             倘得山靈錄(당득산영록) : 혹시 산신령의 살핌을 얻으려나.

 

 

 

☞ 注  病骨(병골) : 지친 몸, 蒲團(포단) : 부들로 만든 둥근 방석, 浮雲(부운) : 간신. 인생의 덧없음. 不義로 富貴榮達을 누림. 句曲(구곡) : 강소성(江蘇省)에 있는 己山 또는茅山(모산)이라고 함. 巖谷(암곡) : 고열암, 將 : 持也(가질장), 倘 : 혹시당. 錄 : 省(살핌)也

 

 

 

 

贈古涅僧(고열암 중에게 주는 시)

 

 

                                                                                                                                                              金宗直(김종직)

 

                                                             求名逐利兩紛紛(구명축리양분분) : 명예를 구하고 이익을 좇는(따르는) 것 둘 다 어지러우니

                                                             緇俗而今未易分(치속이금미이분) : 지금은 승려와 속인을 구분하기 어렵구나.

 

                                                            須陟頭流最高頂(수척두류최고정) : 모름지기 두류산 상봉에 올라보게나.

                                                            世間塵土不饒君(세간진토불요군) : 세간의 흙먼지는 그대를 배부르게 하지 못한다네.

 

 

 

 

☞ 注   紛紛 : 어지럽다. 緇 : 검은옷치, 승복치, 승려, 중치

 

 

 

신열암지

 

 

 

 

 

이곳은 유두류록에 사람이 살만한 땅으로 기술된 곳이지.

 

 

 

마암능선과 국골사거리 사이 청이당골이 선명하다.

 

 

 

새봉

 

진주독바위

 

 

 

 

 

 

 

 

 

 

 

 

 

 

 

 

 

 

 

 

 

 

 

 

 

 

 

 

 

 

 

 

 

 

 

 

 

 

 

 

 

 

 

 

 

 

 

 

 

 

 

 

 

 

 

 

 

 

 

 

 

 

靈神菴I(영신암)[其一]

 

 

                                                                                              金宗直(김종직)

 

                                                                        箭筈車箱散策回(전괄거상산책회) : 전괄와 거상을 산책하고 돌아오니

                                                                        老禪方丈石門開(노선방장석문개) : 방장의 노선사가 석문을 열어주네

 

                                                                        明朝更踏紅塵路(명조갱답홍진로) : 내일 아침이면 속세의 길 다시 밟으리니

                                                                        須喚山都沽酒來(회환산도고주래) : 모름지기 세석 촌장을 불러 술이나 받아오게

 

 

箭筈과 車箱 : 전괄은 화살 끝처럼 좁은 산마루를 말하고, 거상은 마치 수레의 짐칸처럼 우묵한 골짜기를 말하는데, 또는 전괄령(箭筈嶺)과 거상곡(車箱谷)의 명칭으로도 쓰는바, 두보(杜甫)의 망악시(望岳詩)에 “거상의 골짝에 들어서니 돌아갈 길이 없고 전괄로 하늘을 통하는 문 하나가 있구려[車箱入谷無歸路 箭筈通天有一門]” 한 데서 온 말《杜少陵詩集 卷六》전괄은 창불대 거상은 그 앞의 골짜기인 듯하다.

 紅塵 : 붉운 먼지 속세. 山都 : 狒狒비비 중의 가장 큰 것. 豚尾狒狒 <爾雅, 釋獸> 狒狒. <郭璞注> 其狀如人, 面長, 唇黑, 身有毛, 反踵, 見人則笑. 交․廣及南康郡山中有此物, 俗呼之曰山都. /明, 袁宏道<新安江詩>山都吟復笑, 猩語是耶非. 고전번역원의 국역을 따르지 않고 猿鶴(산에 은거하는 선비:산중군자)의 우두머리.

 

 

 

 

 

 

 

 

 

송정굴

 

쇠통바위

 

 

 

하동독바위

 

불일폭포

 

 

 

 

 

다른 곳에 불일암이 또 있는지 알 수 없으나

시의 내용으로 보아 손곡 이달선생이 다녀간 듯하여 시를 소개한다.

 

 

손곡 이달 선생은 蛟山교산 허균과 허난설헌의 스승으로

 서자로 태어나 뜻을 펴지 못한 한을 삭히기 위해 이곳을 찾은 것은 아닐까?.

 

 

 

불일암 인운 스님에게[佛日庵贈因雲釋]

 

 

                                                                                                            이달(李達1539~1612)

 

                                                                             寺在白雲中(사재백운중) : 절집이라 구름에 묻혀 살기로

                                                                             白雲僧不掃(백운승불소) : 구름이라 스님은 쓸지를 않아

 

                                                                             客來門始開(객래문시개) : 바깥 손 와서야 문이 비로소 열리니 

                                                                             萬壑松花老(만학송화로) : 온 산의 송화꽃 하마 쇠었네.[펌]

 

 

절이 흰구름 속에 있으나/흰구름을 중은 쓸지 않는구나

客이 와서야 비로소 문을 열어 보니/만구렁에 송화가루 흩날리네

 

 

掃(소) : 쓸다, 壑(학) : 골짜기, 萬壑(만학) : 만구렁

 

 

이달[李達, 1539(중종34년)~1612(광해군4년)] : 조선 선조 때의 시인. 호는 손곡(蓀谷). 문장과 시에 능했음. 최경창, 백광홍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 허균(許筠)에게 많은 영향을 줌, 허균이 이달의 전기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었음. 문집에 <손곡집(蓀谷集)>이 있음.[펌]

 

해설 : 구름 속에 파묻힌, 속세와 멀리 떨어진 절은 평소에 찾아오는 사람도 없으니 문을 닫은 채 길도 쓸지 않는데, 여기서 쓸리는 것이 낙엽이 아니라 구름이라는 데 묘미가 있음. 손님이 와서 비로소 문을 열어 보니 온 산에 송화꽃이 피었다고 하는 것은 봄이 갔다는 뜻으로 시간의 흐름을 초월한 채 자연과 함께 지내는 경지를 잘 표현함.[펌]

 

 

 

 

노란 송화가루 불일암 뜨락에 가득 쌓여있어

주변을 둘러보니 아름드리 적송이 가득하다.

 

 

전주 <에코>님 <구름모자>님 일행

 

불일암 스님이 흰구름을 쓸지 않아서인지....

우연히 <에코>님과 <구름모자>님을 만났다.

 

에코님에게 찍혔습니다.

 

 

 

 

 

점필재 김종직 선생이 걸은 길로 올라가

고운의 발자취가 남아 있는 쌍계사에 닿았으니

지난 5년 동안 마음에 두었던 숙원산행을 했다.

 

 

끝으로 이 코스 산행의 계기가 된 영신암시로 산행기를 마친다.

 

 

 

靈神菴I(영신암)[其四]

 

 

                                                                                                                                                金宗直(김종직)

 

                                                                    雙溪寺裏憶孤雲(쌍계사리억고운) : 쌍계사 안 고운(*)을 생각하니

                                                                    時事紛紛不可聞(시사분분불가문) : 어지러웠던 당시의 일들을 들을 수 없구나.

 

                                                                    東海歸來還浪跡(동해귀래환랑적) : 해동으로 돌아와서 도리어 유랑한 발자취는

                                                                    秖緣野鶴在鷄群(지연야학재계군) : 다만 야학이 군계 속에 있었던 연유로다.

 

 

(*)孤雲 : 최치원의 호

 

 

 

 

세석에서 만난 대구 <다래>님 애기귤과

<친절한 정우>씨의 캔맥주와 생선까스는 산행에 힘이 되었고,

 

창불대에서 만난 <이한희>님과 일행분,

부산 <윤진국>님 반가웠습니다.

 

함께한 두 분 수고하셨습니다.

 

 

점필재 遊頭流紀行詩.hwp

 

 

23649

 

 

점필재 遊頭流紀行詩.hwp
0.0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