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贈因雲釋 <李達>
山在白雲中 白雲僧不掃
客來門始開 萬壑松花老
산이 구름속에 있으나 스님은 흰구름을 쓸지 않네.
객이 와서야 비로서 문이 열리니 만구렁(온 골짜기)에 송화가루가 흩날리는구나.
* 구름 속에 파묻힌 山寺에는 찾아오는 이도 드문데, 그런 중에도 시간은 흘러 송화가루는 흩날리고 있다. 한적한 산사의 봄날 풍경을 차분하게 묘사하였다.
이달(李 達)(1539-1612)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익지(益之), 호는 손곡(蓀谷), 서담(西潭), 동리(東里)이고, 부(夫)는 영종첨사 수함(秀咸)이고 모(母)는 홍주 관비(官妓)였으므로 서자로 태어났습니다. 서자였기 때문에 일찍부터 문과(文科)에 응시할 생각을 포기하였으며 또한 다른 서얼처럼 기술직인 잡과(雜科)에도 응시하지 않아 일생을 직업 없이 온 나라를 떠돌아다니면서 시(詩)를 지었습니다.
시(詩)에는 신분제한이 없었기에 최경창, 백광훈과 어울려 시사(詩社)를 맺어 교류하며 시를 지었으며 주로 전라도 지방에서 많이 활동을 하였습니다. 임제, 허봉, 양대박, 고경명 등과도 자주 어울려 시를 지었다 합니다.
그리고 그이 전기(傳記)를 쓴 허균과 허난설헌은 그의 제자였으니 그의 문학적 역량은 당시에도 명성을 떨치고 남음이 있었습니다. 허균은 그의 시를 평하길 "그의 시는 맑고도 새로웠고, 아담하고도 고왔다"(淸新雅麗:청신아려). 그 가운데 높이 이른 시는 왕신(王維), 맹호연(孟浩然), 고적(高適), 영삼(岑參) 등의 경지를 드나들면서, 유우석(劉禹錫), 전기(錢起)의 풍운을 잃지 않았다. 신라, 고려 때부터 당나라의 시를 배운 이들이 모두 그를 따르지 못하였다." 하였습니다.
그는 일흔이 넘도록 자식도 없이 평양 여관에 얹혀살다가 죽었다고 하는데 무덤도 전해오지 않고 홍성과 원주 부론면 손곡리에 시비(詩碑)가 있을 뿐입니다. 시집(詩集)은 제자 허균이 역은 <손곡집 (6권 1책)>이 전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