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宵獨坐 : 가을밤 홀로 앉아
月谷 吳瑗(1700~1740)
秋夜何寥寥 : 가을 밤은 어쩜 이리 쓸쓸도 한가
我懷方戚戚 : 나의 마음 슬프고도 또 슬프다오
素月紗間照 : 하얀 달은 휘장 사이 내려 비추고
寒露葉上滴 : 찬 이슬은 잎새 가에 맺혀 있다오
憂人坐不眠 : 수심 깊어 앉은 채로 잠 못 드는데
草蟲鳴在壁 : 풀 벌레는 벽 틈에서 칙칙 운다오
之子不可思 : 떠나간 님 그리워도 볼 수 없기에
獨夢寒齋夕 : 외로운 밤 찬 서재서 당신 꿈꾸오
외로운 밤 찬 서재서 당신 그리오[엮은이 : 정선용, 사진 : 이미란]
글머리에-5
글머리에-5 사진 : 이미란 소개 : 열아홉의 어린 나이에 아내를 잃고 쓴 오원의 시 「외로운 밤 찬 서재서 당신 꿈꾸오」, 병자호란 때 절개를 지키기 위해 자결한 아내를 기리는 마음으로 지은 김류의 시 「다정한 저 제비들은 다시 왔건만」, 유배를 간 사이에 아내가 죽자 아내의 상여가 지나갔을 길을 상상하며 지은 홍귀달의 시 「늙은 나는 귀양지서 숨 붙어 있네」……. 이들이 지은 시에 담겨 있는 애틋하고 절절한 마음은 수백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마음에 마음을 타고 우리에게 전해진다.
책에 수록된 한시는 아내와 남편, 친구와 친정을 그리워하는 애달픈 마음이 담겨 있는 시를 엄선해 엮은 것으로서, 크게 두 개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편에는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를 그리워하는 남편이 지은 시를 모아 놓았고, 2편에는 떠나간 연인 혹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여인의 마음이 담겨 있는 시를 모아 놓았다.
1. 장부의 눈물
- 아내에게 바치는 노래
꿈속에선 내 아내와 마주했는데-21
갑작스레 사별할 줄 내 몰랐어라-22
당신 그려 온밤 꼬박 지세운다오-24
백년해로 약속은 다 글러졌구려-27
늙은 나는 귀양지서 숨 붙어 있네-32
중천 가는 당신에게 내 부탁하오-34
당신 무덤 만들고서 돌아온 뒤에-36
빈방에서 잠 못 들고 홀로 앉았네-38
해당화 꽃 바라보니 마음 슬프네-40
내세에도 부부 되잔 말 잊지 마소-42
당신 모습 생각자니 간담 끊기오-43
늙은 눈물 빈 당에다 흩뿌린다오-45
약속의 말 눈물 속에 부쳐 보내오-46
곡하려고 해도 소리 아니 난다오-48
어느 누가 주렴 걷고 달 감상하랴-49
1. 장부의 눈물
- 아내에게 바치는 노래
꿈속에선 내 아내와 마주했는데-21
갑작스레 사별할 줄 내 몰랐어라-22
당신 그려 온밤 꼬박 지세운다오-24
백년해로 약속은 다 글러졌구려-27
늙은 나는 귀양지서 숨 붙어 있네-32
중천 가는 당신에게 내 부탁하오-34
당신 무덤 만들고서 돌아온 뒤에-36
빈방에서 잠 못 들고 홀로 앉았네-38
해당화 꽃 바라보니 마음 슬프네-40
내세에도 부부 되잔 말 잊지 마소-42
당신 모습 생각자니 간담 끊기오-43
늙은 눈물 빈 당에다 흩뿌린다오-45
약속의 말 눈물 속에 부쳐 보내오-46
곡하려고 해도 소리 아니 난다오-48
어느 누가 주렴 걷고 달 감상하랴-49
살아있는 나는 숨만 붙어있다오-50
꽃다운 혼 흩날려서 어디로 갔소-54
아내 없는 집은 온통 쓸쓸만 하리-55
꿈을 꾸자 외로운 혼 꿈속에 드네-57
다정한 저 제비들은 다시 왔건만-58
하늘이여 어찌 차마 이런단 말가-60
당신의 말 나의 귓전 맴돌고 있네-62
사는 동안 당신 온갖 풍상 겪었소-64
새벽 산엔 달빛 흔적 남아있구나-65
갈수록 더 애통한 맘 불어난다오-67
어느 누가 장부의 한 불쌍해 하리-69
뒤에 죽는 나는 슬픔 못 금하누나-71
가을밤의 이내 심정 어떠하리오-72
시집올 때 가져온 옷 보니 슬프네-74
당신 이제 아주 영영 떠나갔구려-75
며느리의 슬픔 당신 모를 것이리-77
꿈을 깨면 당신 모습 아니 보이네-78
백년해로 하잔 약속 저버렸구려-80
누가 당신 아이들을 등지게 했나-81
인간 만사 지금부턴 시름뿐이오-83
아내 쓰던 물건 보자 눈물이 나네-84
곱던 당신 떠올라서 맘 슬퍼지오-86
창 앞에다 벽오동을 심지 말 것을-87
슬픈 바람 빈 휘장에 불어오누나-89
죽기 전엔 나의 슬픔 아니 다하리-90
산새들도 나의 슬픔 아는 듯하오-92
덧없는 삶 달과 같고 꽃과 같구나-93
인간 세상 남은 나만 홀로 상심네-95
창문에는 외로운 등 가물거리네-96
반려 잃은 슬픔 누가 제일 크려나-98
산 밖에선 쉬지 않고 물이 흐르리-102
지던 달만 베게 머리 와서 비추오-103
꿈속서도 당신 모습 흐릿하다오-105
새벽녘에 숲속에서 바람이 이네-106
아내 쓰던 물건 보니 마음 상하네-108
땅속서도 나의 탄식 들을 것이리-109
인생살이 만고토록 덧없을 거네-111
이내 슬픔 그 언제나 끝이 나려나-112
어찌 차마 내 아내를 앗아갔는가-114
당신의 그 잔소리가 되레 그립소-118
아내 죽어 이 세상을 떠나간 뒤에-119
어느 때에 당신 잊기 젤 어려운가-121
내 비로소 아내 잃은 슬픔 알겠네-122
외로운 밤 찬 서재서 당신 꿈꾸오-124
죽은 당신 차가운 재 되어 갈 거리-125
나를 위해 어찌 좀 더 안 머물렀소-127
인간 세상 어느 누가 내 맘 알겠소-128
애통한 맘 당신에게 전할 수 없네-129
이내 신세 가련하여 눈물 흘리오-131
집에 오니 죽은 당신 말이 없구려-132
당신은 달 바라보며 아들 빌었지-133
당신 생전 지어 놓은 하얀 모시옷-136
당신 정말 나의 좋은 벗이었다오-138
아내 묻힌 무덤 위에 다시 돋은 쑥-140
관 앞에서 아이들이 눈물 흘리오-142
예전의 그 당신 모습 아니 보이네-144
당신 보던 원추리는 다시 피었소-145
눈물 애써 참으려도 못 참는다오-147
슬픈 눈물 감추려고 눈길 돌리네-148
당신과 나 처지 바꿔 태어난다면-149
황천에다 무슨 수로 말을 전하랴-151
혼자 된 날 당신 또한 불쌍해 하리-152
가난 속에 당신은 날 걱정하였소-154
추울 당신 생각자니 간장 끊기네-155
당신과 나 어느 쪽이 더 슬프려나-156
우리 집안 당신 덕에 번성했다오-158
당신 죽자 주위 풍경 삭막해졌소-159
나의 옷을 맞게 지을 사람 없으리-161
어린 아들 두고 차마 당신 갔구려-162
당신 없는 집은 남의 집만 같다오-164
죽은 뒤에 보니 당신 어진 아내네-165
2. 여인의 마음
- 아내가 부르는 노래
우리 님을 어이할꼬-169
이내 청춘 어이할꼬-170
아낙의 마음-172
등잔불-173
남편 걱정-176
마음 변한 정인에게-177
님과 함께 지내고파라-179
오랜 이별-180
애달픈 맘-181
봄 시름-182
애간장이 녹을 때-184
대나무와 보름달-185
다듬이질-186
생각이 머무는 곳-188
잠 못 드는 가을밤-190
님을 보내며-191
꿈길-193
가난-194
친정 엄마-196
그리운 친정-197
눈물-199
아니 오시는 님-200
님 그리워 생겨난 병-201
그리움에 지새는 밤-203
사무친 그리움-204
긴 봄날-205
나뭇잎은 지는데-206
강가의 이별-208
여심-210
이별-211
꿈속의 만남-213
그리움-214
내 마음은 어찌하여 괴롭단 말가-216
님 떠난 뒤에-217
여자 마음 남자 마음-219
연지분-220
금비녀-221
홀로 자는 밤-222
낙화-224
난초-225
한스러운 가을밤-227
그리워라 옛적 같이 놀던 친구들-228
여인의 원망-230
잊혀진 여인-232
먼 변방에 계신 님께-234
거울이야 있건마는-235
짝 잃은 제비-236
짝 지어 노는 원앙-238
작은 주머니-240
가을날의 풍경-242
그리워라 내 살던 곳-243
다듬이질-245
이별 시름-246
이불 자락에 스민 눈물-248
이 좋은 봄 올해도 또 그냥 보내네-249
여자의 마음-250
맑은 삶-251
가난한 아내-254
매화-255
사립문-256
님 기다리는 맘-258
친정 생각-259
안 오시는 님-261
애타는 맘-262
시름-264
병을 앓고 나서-265
봄날 저녁-266
소개 :
1957년 충북 괴산에서 태어났다. 충남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에서 수학하였다. 한국고전번역원 수석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의 번역에 참여하였으며, 번역한 책으로 『해동역사』『백제사자료집』『잠곡유고』『학봉전집』『지산집』『사계전서』『우복집』『청음집』『삼탄집』『동명집』 등이 있다.
1957년 전북 이리에서 태어나 청주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과 석사 과정을 마쳤다. 이후 경기도 고양시 호곡중학교 교감으로 근무하던 중 2011년 6월 11일 경기도 안산의 시화호에서 사진 촬영을 하다가 유명을 달리했다.
이 책에는 다른 한시 번역서나 해설서와 달리 불의의 사고로 아내를 잃은 지아비이자 한 남자로서 느껴야 했던 애틋하고 절절한 그리움이 녹아 있다. 이 책을 엮어 옮긴이는 말한다. 이 책에 실린 시는 올해(2011년) 6월 교장 부임을 앞두고 출사를 나가 사진을 찍던 도중 유명을 달리하게 된 아내에게 바치는 한시(漢詩)이며, 사진은 아내가 찍어 놓은 작품 사진 가운데 자연 풍경을 찍은 사진들이라고…….
이 책에 수록된 한시는 아내와 남편, 친구와 친정을 그리워하는 애달픈 마음이 담겨 있는 시를 엄선해 엮은 것으로서, 크게 두 개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편에는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를 그리워하는 남편이 지은 시를 모아 놓았고, 2편에는 떠나간 연인 혹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여인의 마음이 담겨 있는 시를 모아 놓았다.
이 책에 수록된 한시를 통해서 우리는 앞선 세대들이 남긴 도망시(悼亡詩 : 죽은 아내나 자식, 또는 친구를 그리워하거나 슬퍼하며 지은 시)를 통해 수백 년 전의 선비들이 숨죽여 아내를 그리워하던 마음이 오늘의 우리들 마음과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 해를 마무리해야 하는 12월, 그리고 새롭게 맞이하는 2012년 1월에 우리는 아내나 남편, 혹은 가슴 속 누군가에게 담아 두고 하지 못했던 말들을 한 편의 시를 통해 전한다면 그 또한 한 해를 정리하고 맞이함에 있어 의미 있는 일이 되지 않을까? 또한 한 해를 잘 마무리하고, 내년에는 서로의 사랑을 더 굳건하게 다져 보자는 사랑의 메시지가 아닐까?
우리는 가장 소중했던 사람, 아내에게 바치는 노래를 듣는다.
아내와 나는 스물아홉에 결혼해서 서른 두 해를 함께 살았다. 가난한 집의 장남이었던 내게 시집 온 아내는 우리 세대의 다른 부부들이 그랬던 것처럼 모든 어려움을 참으로 질리도록 겪었다. 그런 삶 속에서도 아내는 특유의 부드러움과 너그러움으로 행복한 가정을 꾸려 오면서 집안을 일으켜 세웠다. 나와 함께 사는 동안에 아내가 겪었을 가장 큰 고통은, 아마도 자신을 살갑게 대해 주지 않는 나에 대한 서운함이었을 것이다.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참으로 나는 못된 남편이었다. 아내에 ...
'♣ 盈科後進 > 고전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산문 347] 서북인(西北人) 차별 관행 (0) | 2014.11.03 |
---|---|
[한시감상 098] 물에 비친 달 (0) | 2014.10.30 |
[고전칼럼 079] 동방무례지국 유감 (0) | 2014.10.29 |
[고전명구 248] 숨어 사는 법 (0) | 2014.10.23 |
[고전산문 345] 국화(菊花) (0) | 2014.10.20 |